$\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아동센터 급식을 위한 적정 배식량 제안
Recommendation of Serving Size of the Meal Service of Community Child Centers in Korea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9 no.4, 2014년, pp.361 - 371  

이상은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심재은 (대전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권수연 (호남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여윤재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윤지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t easily applicable portion sizes by sex and age for children at the Community Child Centers (CCC) in Korea. Methods: Considering the age and gender specific energy level at Target Patterns for children aged 6-18 years, which were suggested as a part of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음식별 배식량은 지역아동센터의 기본 식사구성을 기초로 주재료의 차이가 큰 음식을 구분하여 조리 후 분량의 분포를 확인한 뒤 각 음식군의 중간값으로 설정하였다.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몇 개의 음식군으로 나누어 배식량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개별음식의 정확한 배식량이 제시되지는 못하였으나 급식관리 전문 인력이 부족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간소화된 형태의 기준을 마련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층이 이용하는 지역아동센터 급식에서 이들의 영양소 필요량을 충족시킬 수 있고, 급식을 담당하는 현장 실무자가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적정 배식량을 설정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경제적 취약계층 어린이들이 영양적으로 균형있는 식사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근거에 기반한 적정 배식량 설정을 목적으로 하였다. 음식별 배식량은 지역아동센터의 기본 식사구성을 기초로 주재료의 차이가 큰 음식을 구분하여 조리 후 분량의 분포를 확인한 뒤 각 음식군의 중간값으로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영양학회의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 수록된 식사구성안의 권장식사패턴과 제 4기 국민건강영양자료(2007~2009년) 중 정상체중인 6~18세 아동 및 청소년 3,096명의 24시간 회상법을 통한 1일 식사섭취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급식관리 전문인력이 부재한 지역아동센터에서 실무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적정 배식량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를 주로 이용하는 아동 및 청소년들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음식의 1인 적정분량’을 배식할 수 있도록 세 가지 수준의 배식량을 제안하였고 밥, 국이나 찌개 한 가지, 단백질반찬 한 가지, 채소반찬 한 가지, 김치 한 가지씩 포함하는 식단구성을 기본 식단으로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아동센터의 배식기준별 ‘음식의 1인 적정 배식량’ 설정을 위해 제 4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07년~2009년) 자료 중 정상체중인 6~18세 아동 및 청소년 3,096명을 대상으로 24시간 회상법을 통해 수집한 1일 식사섭취자료를 분석하였다.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의 연령층이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해당 연령층인 6~18세 아동의 식사 섭취자료 통해 이들의 식품 섭취현황자료를 본 연구의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한국영양학회의 2010년 식사구성안(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에서 제안된 권장식사패턴(Target Pattern)을 바탕으로 배식기준과 배식기준별 ‘식품군의 권장섭취횟수’, ‘1식 식품 제공량’과 ‘음식의 1인 적정 배식량’을 구하였다.

가설 설정

  • 1) Proportion of each meal by food group is a mean value of proportions of each meal by food group calculated by each person. Proportion of each meal by food group per person (%) = food consumption by each food group per meal (g) / food consumption by each food group per day (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아동센터는 무엇인가? 지역아동센터는 2004년 법제화를 거쳐 아동복지법상의 아동복지시설로 지정되면서(Child Welfare Act 2006) 2004년 895개소에서 2013년 4,036개소로 8년 동안 급격히 증가하였고 센터를 이용하는 아동수도 매년 증가하여 2013년 6월 기준 109,256명의 아동이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Headquarters for Community Child Center 2013). 아동복지법(Child Welfare Act 2006) 상에 지역아동센터는 ‘지역사회 아동의 보호·교육, 건전한 놀이와 오락의 제공, 보호자와 지역사회의 연계 등 아동의 건전육성을 위하여 종합적인 아동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로 명시되어 있듯이 지역 아동 및 청소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제공하고 있다. 전국 지역아동센터 실태조사 보고서(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Headquarters for Community Child Center 2013)에 의하면 전국 지역아동복지센터의 98.
지역아동센터에서 급식을 먹는 아동들의 특징은? 특히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대부분의 아동들은 신체발달을 위한 영양소 필요량이 크게 증가하는 성장기의 아동 및 청소년이며 경제적으로도 취약한 가정의 아동이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Headquarters for Community Child Center 2013). 이들 취약계층 아동을 대상으로 영양소와 식품섭취를 평가한 선행연구들(Kwon 등 2010; Shim 등 2009)에 의하면 취약계층 아동의 전반적인 영양소 섭취와 단백질군의 섭취가 낮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들의 적절한 영양섭취를 위한 급식관리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아동센터의 급식관리를 위한 영양사 배치가 드문 이유는? 현재 지역아동센터는 학교급식과 마찬가지로 이용 아동이 50인 이상인 경우 영양사를 배치하도록 하고 있으나, 센터당 평균 아동수는 30명 미만으로 대부분이 개인에 의해 소규모로 운영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Headquarters for Community Child Center 2013). 따라서 급식관리 전문 인력인 영양사의 배치율이 상당히 낮기 때문에 학교급식과 같은 급식관리는 어려운 실정이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Headquarters for Community Child Center 2013; Kwon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sano K, Yoon J, Yoon B (2009): Appropriate size and dish combination of nutritional-balanced lunch boxes delivered to children under the government-funded meal service program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14(5): 565-575 

  2. Chang H, Ko E (2007): The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provided by dietitians in child care centers. Korean J Community Nutr 12(3): 299-309 

  3. Child Welfare Act 2006, Act No.7591, Partial Amendment Jul. 13, 2005. Article 16. Kinds of the child welfare facilities, Amended by Act No. 7143, Jan. 29, 2004. (Jan. 14, 2006). 

  4. Cho HS (1998):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for portion control of meal served by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operation. Korean J Food Nutr 11(1): 54-60 

  5. Cho HS (1999):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perly portioned meal sizes in the industry foodservice. Korean J Food Nutr 12(1): 26-32 

  6. Choi MK, Lee HS, Kim SB, Kim SN, Kim SY, Kim MH (2010): Establishment of one portion size of foods frequently consumed by Korean children aged 6-11 using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nd its comparison with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15(5): 625-635 

  7. Chung M, Lee YM, Lee KW (2000): A study on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food service managements of snack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J Korean Home Econ Assoc 38(4): 99-113 

  8. Fisher JO, Kral TV (2008): Super-size me: portion size effects on young children's eating. Physiol Behav 94(1): 39-47 

  9. Fisher JO, Liu Y, Birch LL, Rolls BJ (2007): Effects of portion size and energy density on young children's intake at a meal. Am J Clin Nutr 86(1): 174-179 

  10. Hwang JK, Lim JK, Shin YJ, Choi Y, Kim MS, Park YS, Kim SA (2009): Evaluation report of community child centers in 2009. Report of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Korea, Seoul, Program Evaluation Support Group for Community Child Centers 

  11. Kim HY, Kim CM, Ko SH (1997):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for portion control of meal served by food service operation. Korean J Diet Cult 12(1): 79-86 

  12. Kim MS, Kim HR, Cho AJ, Lee HW, Hong M, Kim, HJ (2007): Status on foodservice program for low-income children. Report of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Seoul,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13. Kwon S (201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support model for foodservice management of community child centers in Korea.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pp. 37-87 

  14. Kwon S, Lee K, Yoon J (2010): Diet of children under the government-funded meal support program in Korea. Nutr Res Pract 4(6): 515-521 

  15. Lee Y, Oh YJ (2007): A study on the meal portion size of kindergarten. Korean J Nutr 40(1): 89-96 

  16. Lee YJ, Chang KJ (1998): Preliminary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roper portion using consumed size and food preference of frequently served meals in the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 in Inchon: I. a study on food preference of frequently served meals in the elementary school. J Korean Diet Assoc 4(2): 123-131 

  17. Lee YJ, Chang KJ (1998): Preliminary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roper portion using consumed size and food preference of frequently served meals in the elementary school lunch program in Inchon: II. a study on the consumption size of frequently served meals in the elementary. J Korean Diet Assoc 4(2): 132-144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eadquarters for Community Child Center (2013): Report of current status of community child centers in Korea (2013. 06), Seoul, Headquarters for Community Child Center 

  19. Ramsay SA, Branen LJ, Johnson SL (2012): How much is enough? Tablespoon per year of age approach meets nutrient needs for children. Appetite 58(1): 163-167 

  20. Shim JE, Yoon J, Lee K, Kwon S (2009): Evaluation of dietary intake of Korean school-aged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by comparing with the Korean food guide: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42(8): 691-701 

  21. Son JH, Chyun JH (2002): Comparative study of satisfaction level on hospital meal size and actual intake rate between elderly and middle age patients. Korean J Food Cult 17(5): 619-628 

  22. The Korean Nutirit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st revision. Seoul, The Korean Nutiriton Society, pp. 524-547 

  23. Yoon J (2010): Study on safety management in food service for children from low income families. Report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in Korea,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