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혼합잡곡 증류주 제조를 위한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for Preparation of Distilled Liquor Made of Mixed Grain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6 no.4, 2014년, pp.446 - 455  

이대형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개발과) ,  정재운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개발과) ,  이용선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개발과) ,  서재순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개발과) ,  박인태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개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쌀과 다양한 잡곡 원료를 이용한 증류식 소주의 발효조건 및 증류 품질을 검토하였다. 잡곡 발효주를 제조 후 증류하여 최적 발효조건 및 증류조건 검토 결과 보리 100% 만으로 발효시킨 경우 알코올이 5.6%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쌀을 이용한 경우 15.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수수 첨가량을 달리한 실험에서는 대조구로 설정한 수수 무첨가 시료의 경우 알코올이 19.0%로 나타났으며, 수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알코올이 조금씩 감소하였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평가 결과에서는 수수 5% 첨가 증류주에서 높은 관능결과를 나타내었다. 입국첨가량에 따른 증류주의 관능평가 결과 입국 7% 첨가시에 향과 종합적 기호도가 가장 좋았으며 입국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총 유기산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5분도 쌀 첨가량(40, 50, 60, 70%)에 따른 증류주의 발효특성을 살펴본 결과 알코올과 산도는 첨가량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며 주요 유기산은 초기 발효에서는 malic acid와 lactic acid였으나 발효 후기에는 citric acid와 lactic acid로 바뀌었다. 최종적으로 발효방식은 동일하게 하면서 원료에 있어 쌀과 혼합잡곡을 이용한 증류주의 관능평가 결과와 종합적인 기호도에서는 혼합잡곡 증류주가 약간 높은 점수를 얻었으나 향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을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향기 성분 분석 결과에서는 부드러운 향을 내는 ethyl palmitate의 %area가 잡곡 증류주에서 높게 검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mixed grain-derived hard liquor with enhanced favor and taste. First,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according to the grain used showed that rice and adlay produced high alcohol outputs of 15.2% and 13.3%, respectively, while that of barley was low at 5.6%.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쌀과 다양한 잡곡원료를 이용해 증류식 소주의 발효 조건 및 증류조건 선발을 통해 품질이 향상된 증류식 소주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쌀과 다양한 잡곡원료를 이용한 증류식 소주의 발효조건 및 증류 품질을 검토하였다. 잡곡발효주를 제조 후 증류하여 최적발효조건 및 증류조건 검토 결과 보리 100%만으로 발효시킨 경우 알코올이 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증류식 소주의 특색은? 소주는 제조 원료에 따라 찹쌀소주, 멥쌀소주, 밀소주, 보리소주, 찹쌀과 멥쌀을 혼용하여 만드는 노주, 약소주 등으로 분류하고 증류 방식에 따라 일반증류주와 희석식소주로 분류한다. 오늘날 공장에서는 연속식 증류기를 사용하여 95% 정도의 알코올을 20-35%로 희석하는 희석식소주를 만들며 소주고리나 동고리를 이용하여 증류하는 소주는 증류식 소주로서 원료나 발효과정에서 생성되는 각종 알코올 대사산물 중의 휘발성 물질을 많이 함유하여 희석식소주 보다 특수한 향미가 강한 것이 특색이다(2).
소주는 제조 원료에 따라 어떻게 분류하는가? 페르시아가 기원으로 알려진 소주는 14세기 경 원나라를 통하여 고려에 전래되었으며 도입 당시는 주로 약용으로 이용되었고 가격이 비싼 고급주였다(1). 소주는 제조 원료에 따라 찹쌀소주, 멥쌀소주, 밀소주, 보리소주, 찹쌀과 멥쌀을 혼용하여 만드는 노주, 약소주 등으로 분류하고 증류 방식에 따라 일반증류주와 희석식소주로 분류한다. 오늘날 공장에서는 연속식 증류기를 사용하여 95% 정도의 알코올을 20-35%로 희석하는 희석식소주를 만들며 소주고리나 동고리를 이용하여 증류하는 소주는 증류식 소주로서 원료나 발효과정에서 생성되는 각종 알코올 대사산물 중의 휘발성 물질을 많이 함유하여 희석식소주 보다 특수한 향미가 강한 것이 특색이다(2).
우리 고유의 술인 소주는 무엇의 원료로도 이용가능한가? 소주는 약주나 탁주와 달리 알코올 함량이 높아 저장성이 우수하며 색상이 투명하여 고급 칵테일의 원료로도 이용 가능성이 높다. 또한 소주는 곡류와 누룩으로 빚어 발효시킨 뒤 증류시킨 증류주이기 때문에 원료나 방법에 따라 독특한 맛과 향기에 차이가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Lee SR. Fermented Foods in Korea.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Inc., Seoul, Korea. pp. 9-205 (1986) 

  2. In HY, Lee TS, Lee DS, Noh BS.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ju mashes brewed by Korean traditional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134-140 (1995) 

  3. Bae SM, Jung SY, Jung IS, Ko HJ, Kim TY. Effect of the amount of water on the yield and flavor of Korean distilled liquor based on rice and corn starch.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 439-446 (2003) 

  4. Jang JH.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liquors. Korean J. Dietary Culture. 4: 271-274 (1989) 

  5. FACT institute. Woorisool treasure house. Foundation of Agri. Tech. Commercialization & Transfer Institute, Suwon, Korea (2011) 

  6. Min YK, Yun HS, Jeong HS, Jang YS. Changes in compositions of liquor fractions distilled from samil-ju with various distilla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440-446 (1992) 

  7. Ji IS. Quality of liquor and advanced methods of domestic production whiskey. Liquor Indus. 4: 37-46 (1984) 

  8. Bae SM. Jeungryeski soju jejogisool. Wogok Pub. Co., Seoul, Korea. pp. 166-306 (2001) 

  9. Min YK, Yun HS, Jeong HS. Studies on the distillation operation of baikha-ju. J. Korean Soc. Appl. Biol. Chem. 37: 9-13 (1994) 

  10. Lee DS, Park HS, Kim K, Lee TS, Noh BS. Gas chromatographic and mass spectrometric determination of alcohol homologues in the Korean folk sojues (distilled liquor). J. Korean Chem. Soc. 38: 640-652 (1994) 

  11. Bae SM. Meokeul su itneun modeungeoteun soolyidoenda. Wogok Pub Co., Seoul, Korea. pp. 9-109 (2006) 

  12. Technical Service Institute, National Tax Service Administration. Textbook of alcoholic beverage-making. Technical Service Institute, National Tax Service Administration. Seoul. Korea. pp. 77-82 (1997) 

  13. Lee DH, Kim JH, Lee JS. Effect of pear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makgeoly. Korean J. Food Nutr. 22: 606-611 (2009) 

  14. Zoecklein B, Fugelsang KC, Gumo BH, Nury FS. Wine Analysis and Production, Chapman & Hall, New York, NY, USA. pp. 370-372, 426-428 (1995) 

  15. Kwon YH, Lee AR, Kim HR, Kim JH, Ahn BH. Quality properties of makgeolli brewed with various rice and koji.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70-76 (2013) 

  16. Kim HR, Lee AR, Kwon YH, Lee HJ, Jo SJ, Kim JH, Ahn BH.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compounds of glutinous rice wines depending on the milling degre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75-81 (2010) 

  17. Lee JS, Lee TS, Noh BS, Park SO.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330-336 (1996) 

  18. Technical Service Institute, National Tax Service Administration. Alcoholic liquors quality technic of field. Technical Service Institute, National Tax Service Administration. Seoul. Korea. pp. 117-208 (2008) 

  19. Kim IH, Park WS, Koo YJ. Comparison of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with different input step and treatment of rice and nuruk (Korean-style bran koji). Korean J. Dietary Culture 11: 339-348 (1996) 

  20. Lee YJ, Yi HC, Hwang KT, Kim DH, Kim HJ, Jung CM, Choi YH. The qualities of makgeolli (Korean rice wine) made with different rice cultivars, milling degrees of rice, and nuru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785-1791 (2012) 

  21. Woo KS, Ko JY, Song SB, Lee JS, Oh BG, Kang JR, Nam MH, Ryu IS, Jeong HS, Seo MC.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wines prepared by addition of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using different nuru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548-553 (2010) 

  22. Lee JS, Lee TS, Park SO, Noh BS.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316-323 (1996) 

  23. Kim CJ, Kim KC, Kim DY, Oh MJ, Lee SK, Lee SO, Chung ST, Chung JH. Balhyo gonghak. Sunjinmunwhasa, Seoul, Korea. pp. 79-103 (1990) 

  24. So MH, Lee YS, Noh WS. Changes in microorganism and main components during takju brewing by a modified nuruk. Korean J. Food Nutr. 12: 226-232 (1999) 

  25. Baek CH, Chol JH, Choi HS, Jeong ST, Kim JH, Jeong YJ, Yeo SH.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makgeolli produced under differing condition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1: 168-175 (2013) 

  26. Song JC, Park HJ. Takju brewing using the uncooked germed brown rice at second stage mas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847-854 (2003) 

  27. Ito K, Yoshida K, Ishikawa T, Kobayashi S. Volatile compounds produced by the fungus Aspergillus oryzae in rice koji and their changes during cultivation. J. Ferment. Bioeng. 70: 169-172 (1990) 

  28. Park YS, Lee YJ, Lee KT. Analysis of formaldehyde and acetaldehyde in alcoholic beve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412-1419 (2006) 

  29. Yoshida K, Inahashi M, Nakamura K, Akiyama H, Nojiro K. Breeding of yeast strains having high malic acid-producing and low succinic acid-producing abilities. J. Brew. Soc. Japan 89: 647-652 (1994) 

  30. Ryu LH, Kim YM. Esterification of alcohols with organic acids during distilled spirit distillation. Korean J. Food Nutr. 15: 295-299 (2002) 

  31. Lee TS, Choi JY.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akju fermented with mashed glutinous rice and barley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38-643 (1998) 

  32. Lee HS, Lee TS, Noh BS.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he mashe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93-599 (2007) 

  33. Kwon YH, JO SJ, Kim HR, Kim JH, Ahn BH.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compounds in yakju made with various brewing conditions; glutinous rice and pre-treatment.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8: 46-52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