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브로콜리(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잎의 n-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및 distilled water 분획물의 total phenolic 화합물 함량은 chloroform 분획물이 206.8 mg GAE/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BTS radical 소거활성지질 과산화(MDA) 생성 억제효과 실험 결과에서 chloroform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in vitro 항산화 실험들에서 우수한 효과를 보인 chloroform 분획물을 이용하여 $H_2O_2$으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신경세포(PC12 cell)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 생성 억제효과, 세포 생존율 그리고 세포막 손상 억제효과 역시 농도 의존적 경향을 나타내며 positive control 로 사용된 Vit.C와 유의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HPLC 분석 결과 브로콜리 잎 chloroform 분획물에 존재하는 주요 phenolic 화합물은 feulic acid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생리활성 물질로서의 ferulic acid 등을 함유한 브로콜리 잎 chloroform 분획물은 in vitro 항산화 활성과 함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내는 고부가가치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xamine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broccoli (Brassica oleracea var. italica) leaf, the bioavailable compounds in broccoli leaf extract, and its in vitro neuroprotective effects against $H_2O_2$-induced oxidative stres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The chloroform fraction of broccoli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신경세포막을 구성하고 있는 지질성분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취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세포막 손상 및 기타 단백질 손상과도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22).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우스 뇌 세포막 지질과산화 중간생성물인 MDA 생성 억제효과를 살펴보았다(Fig.2(B)). ABTS radical 소거활성과 유사하게 모든 분획물에서 농도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5가지 분획물 중에서 chloroform 분획물과 butanol 분획물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다.
  • 이러한 생리학적인 효능으로 인해 브로콜리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브로콜리에서 꽃봉오리 부위만 식용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그 외의 식용자원으로 활용 가능한 잎과 줄기 부분은 70% 이상이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12,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지만, 대부분 불가식부의 형태로 폐기되고 있는 브로콜리의 잎 부분을 활용하여 in vitro 항산화 활성과 H2O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PC12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밝혀 고부가가치 산업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브로콜리의 생리학적인 효능에 관련한 연구는 어떤 것이 있는가? 브로콜리는 영양학적으로 도 중요한 작물로 전세계적으로 재배 및 식용되고 있으며, 뛰어난 항산화 작용을 가진 dithiolethione, isothiocyanate와 같은 organosulfuric compound, β-carotene, rutin, ascorbic acid, selenium, quercetin, glutathione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재의 관련 연구는 수용성 식이섬유에 의한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와 암 예방 및 돌연변이 억제 등의 생리활성 효과, 브로콜리의 항암성분인 sulforaphane의 함량 및 조리 가공에 따른 sulforaphane의 함량변화, 브로콜리 잎 즙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질과 비타민 C의 함량 분석, 그리고 브로콜리의 항산화성과 항균성 효과 등이 보고되어 있다(9-11). 이러한 생리학적인 효능으로 인해 브로콜리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브로콜리에서 꽃봉오리 부위만 식용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그 외의 식용자원으로 활용 가능한 잎과 줄기 부분은 70% 이상이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12,13).
산소가 반응성이 매우 큰 활성산소로 전환되는 것은 어떤 요인 때문인가? 산소는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원소로서 호기성 생물은 이렇게 풍부한 산소를 전자수용체로 하는 호흡을 통해 에너지를 획득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생명유지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산소이지만 안정한 분자 상태인 기저삼중항산소(3O2)가 체내 효소계, 환원대사, 화학약품, 공해물질, 그리고 광화학반응 등의 각종 물리적화학적 요인 등에 의해 superoxide radical(O2), hydroxyl radical (HO·), hydrogen peroxide (H2O2) 및 일중항산소(1O2)와 같은 반응성이 매우 큰 활성산소(reactive oxygenspecies; ROS)로 전환되면 생체에 치명적인 산소-유도성 독성을 일으키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3). 우리 몸에서 발생하는 질환 중에 90%가 ROS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관련된 대표적인 질환으로 암, 동맥 경화, 당뇨병, 그리고 심혈과 질환 등이 있다.
브로콜리에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 물질은? italica)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채소로서 ‘모란채’라고도 하며 꽃봉오리와 줄기를 식용으로 하는 것으로 양배추의 일종이다(8). 브로콜리는 영양학적으로 도 중요한 작물로 전세계적으로 재배 및 식용되고 있으며, 뛰어난 항산화 작용을 가진 dithiolethione, isothiocyanate와 같은 organosulfuric compound, β-carotene, rutin, ascorbic acid, selenium, quercetin, glutathione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재의 관련 연구는 수용성 식이섬유에 의한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와 암 예방 및 돌연변이 억제 등의 생리활성 효과, 브로콜리의 항암성분인 sulforaphane의 함량 및 조리 가공에 따른 sulforaphane의 함량변화, 브로콜리 잎 즙에 함유되어 있는 무기질과 비타민 C의 함량 분석, 그리고 브로콜리의 항산화성과 항균성 효과 등이 보고되어 있다(9-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Park SH, Hwang HS, Han JH. Development of drink from composition with medicinal plants and evaluation of its physiological function. Korean J. Nutr. 37: 364-372 (2004) 

  2. Jeong EJ, Kim JW, Kim YC. Rhus verniciflua stokes attenuates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in primary cultures of rat cortical cells. Nat. Prod. Sci. 14: 156-160 (2008) 

  3. Fridovich, I. Biological effects of the superoxide radical. Arch. Biochem. Biophys. 247: 1-11 (1986) 

  4. Heo HJ, Kim DO, Choi SJ, Shin DH and Lee CY. Potent inhibitory effect of flavonoids in Scutellaria baicalensis on amyloid a protein-induced neurotoxicity. J. Agr. Food Chem. 52: 4128-4132 (2004) 

  5. Bidchol AM, Wilfred A, Abhijna P and Harish R.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queous and ethanolic extract of Brassica oleracea L. var. italic. Food Bioprocess Technol. 4: 1137-1143 (2011) 

  6. Nohl H and Jordan, W. The mitochondrial site of superoxide formation. Biochem. Biophy. Res. Commun. 138: 533-539 (1986) 

  7. Yoon MY, Lee BB, Kim JY, Kim YS, Park EJ, Lee SC, Park HR. Antioxidant activity and neuroprotective effect of psoralea corylifolia linne extracts. Korean J. Pharmacol. 38: 84-89 (2007) 

  8. Matucsheski NV, Juvik JA, Jeffery EH. Heating decreases epithiospecifier protein activity and increases sulforaphane formation in broccoli. Phytochemistry 65: 1273-1281 (2004) 

  9. Caudhary A, Sharma U, Vig AP, Singh B, Arora S. Free radical scavenging,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and profiling of variations in the level of phytochemicals in different parts of broccoli (Brassica oleracea italica). Food Chem. 148: 373-380 (2014) 

  10. Lee HS, Park YW.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from different parts of broccoli extracts under high temperatur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759-764 (2005) 

  11. Kim CH, Cho KR.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made with different quantities of broccoli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459-467 (2010) 

  12. Stoewsand G.S. Bioactive organosulfur phytochemicals in Brassica oleracea vegetables-a review, Food Chem. Toxicol. 33: 537 (1995) 

  13. Arnaiz E, Bernal J, Martin MT, Nozal MJ, Bernal JL, Toribio L.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of free amino acids from broccoli leaves. J. Chromatogr. A 1250: 49-53 (2012) 

  14. Kim, DO, Jeong SW, Lee CY. Antioxidant capacity of phenolic phytochemical from various cultivars of plums. Food Chem. 81: 321-326 (2003) 

  15. Kwak JH, Choi GN, Pack JH, Kim JH, Jeong HR, Jeong CH, Heo HJ. Antioxidant and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 of purple sweet potato extract. J. Agric. Life Sci. 44: 57-66 (2010) 

  16. Chang ST, Wu JH, Wang SY, Kang PL,Yang NS, Shyur, LF.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Acacia confusa Bark and Heartwood. J. Agr. Food Chem. 49: 3420-3424 (2001) 

  17. Kim JK, Choi SJ, Cho HY, Hwang HJ, Kim YJ, Lim T, Kim CJ, Kim HK, Peterson S, Shin DH. Protective effects of kamepferol(3,4',5,7-tetrahydroxyflavone) against amyloid beta peptide( $A{\beta}$ )-induced neurotoxicity in ICR mice. Biosci. Biotechnol. Biochem. 74: 397-401 (2010) 

  18. Kim SS, Park RY, Jeon HJ, Kwon YS, Chun W. Neuroprotective effects of 3,5-dicaffeoylquinic acid on hydrogen peroxide-induced cell death in SH-SY5Y cells. Phytother. Res. 19: 243-245 (2005) 

  19. Heo HJ, Cho HY, Hong BS, Kim HK, Kim EK, Kim BK, Shin DH. Protective effect of 4',5-dihydroxy-3',6,7-trimethoxyflavone from Artemisia asiatica against $A{\beta}$ -induced oxidative stress on PC12 cells. Amyloid 8: 194-201 (2001) 

  20. Kim KH, Kim HJ, Byun MW, Yook HS. Antioxidna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six vegetables containing different sulfur compoun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577-583 (2012) 

  21. Yoo KM, Kim DO, Lee CY. Evaluation of different methods of antioxidant measurement. Food Sci. Biotechnol. 16: 177-182 (2007) 

  22. Re R, Pl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 Med. 26: 1231-1237 (1999) 

  23. Uchida K, Stadtman ER. Covalent attachment of 4-hydroxynonenal to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A possible involvement of intra and intermolecular cross-linking reaction. J. Biol. Chem. 268: 6388-6393 (1993) 

  24. Zhao B. Natural antioxidants protect neurons in Alzheimer's disease and Parkinson's disease. Neurochem. Res. 34: 630-638 (2009) 

  25. Hurst RD, Wells RW, Hurst SM, McGhie TK, Cooney JM, Jensen DJ. Blueberry fruit polyphenolics suppress oxidative stress-induced skeletal muscle cell damage in vitro. Mol. Nutr. Food Res. 54: 353-363 (2010) 

  26. Kim HY, Lee YA, Cho EJ.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protective activity from oxidative stress of broccoli flowers and sprouts. CNU J. Agric. Sci. 39: 81-86 (2012) 

  27. Heo HJ, Choi SJ, Choi SG, Shin DH, Lee JM, Lee CY. Effect of banana, orange, and apple on oxidative stress-induced neurotoxicity in PC12cells. J. Food Sci. 73: H28-32 (2008) 

  28. Zhao Z, Moghadasian MH. Chemistry, natural sources, dietary intake and pharmacokinetic properties of ferulic acid: A review. Food Chem. 109: 691-702 (2008) 

  29. Kanski J, Aksenova M, Stoyanova A, Butterfield A. Ferulic acid antioxidant protection against hydroxyl and peroxyl radical oxidation in snaptosomal and neuroal cell culture systems in vitro: structure-activity studies. J. Nutr. Biochem. 13: 273-281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