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황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생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phedra Herba ethyl-acetate fraction on high fat diet induced hyperlipidemic mice 원문보기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Journal of Society of Preventive Korean Medicine, v.18 no.2, 2014년, pp.101 - 113  

하태훈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  권태우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  김영균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Ephedra Herba has been widely used for patients with common cold, asthma in eastern countries, especially china japan and korea. Recently it has been also used for obesity in clinic with high frequency.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phedra Herba ethyl-acetate f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에서는 마황 ethyl-acetate 추출물의 작용 경로를 확인하기 위해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는데 있어 유용한 분자생물학적 기법으로 인정받고 있는 microarray 실험도 함께 수행하였다20,21).
  • 본 연구는 예비 실험을 통해 생쥐에 고지방 식이를 제공함으로써 유발된 고지혈증에 마황 분획들을 투여하여 다양한 활성을 확인한 바 있으며 ethyl-acetate 분획(EEAF)이 혈청 중 지질 개선에 어떠한 과정을 거쳐 작용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위에서와 같은 내용으로 수행된 본 연구를 통해 마황 ethyl-acetate의 항 고지혈증을 효과와 관련된 경로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본 연구에서는 예비 연구를 통해 마황 추출물의 활성도를 조사한 후 그 중 chloroform, ethyl-acetate, hexane의 순으로 활성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저자는 앞서 보고된 hexane과 chloroform에 이어 ethyl-acetate가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고지혈증 생쥐의 혈청 중 지질 함량과 식욕 및 간 독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a) Typical analysis of cholesterol in lard = 0.95 mg/gram.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으로 인해 발병 위험도를 높이는 질환은 무엇이 있는가? 2008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에 의하면 우리나라 만 19세 이상 인구 중 31.9%가 비만에 해당하였으며2), 이로 인해 만성 심장질환, 통풍, 제2형 당뇨병, 골관절염, 우울증, 뇌졸중 등의 발병 위험도를 높이고 사망률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3-5).
비만의 관리 및 치료가 고지혈증을 억제하는 기능을 하는 것을 알려준 연구결과는 무엇인가? 특히 비만은 콜레스테롤(cholesterol)과 지단백(lipoprotein) 대사에 이상을 초래하여 고지혈증의 원인이 되며, 과체중이거나 비만한 사람은 혈장 콜레스테롤이나 중성 지방이 정상인보다 높다고 보고된 바 있다6). 이러한 연구결과는 비만의 관리 및 치료가 고지혈증을 억제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의학계에서 비만을 치료하기 위해 어떤 연구가 진행되었는가? 최근 한의학계에서도 이러한 비만을 치료하기 위해 인진7), 대황8) 등의 약침액을 이용한 연구에서부터 천년초9), 자목10), 사삼11) 등의 약재 추출물 이용한 연구까지 다양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이러한 연구 중에서 비만 치료를 목적으로 마황이 자주 사용되고 있는데, 황 등12)에 의하면 국내에서 비만 치료를 위해 가장 많이 활용된 처방은 四象體質醫學 처방으로 太陰調胃湯과 調胃升淸湯 등이 있으며, 單味 약재로는 마황이 빈도가 제일 높았다고 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leiman S, Ng SW, Popkin B. Drinking to our health: canbeverage companies cut calories while maintaining profits? Obes Rev. 2012; 13(3):258-274. 

  2.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statistics of life table 2008 [Internet]. Daejeon: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9. Available from:http://kosis.kr/common/meta_onedepth.jsp?vwcdMT_CTITLE&listid117_11702. 

  3. George A. Bray. 대한가정의학회 비만연구회편 역. 비만치료의 최신지견. 서울:한미의학. 2005; 20-41. 

  4. George A. Bray. 대한비만학회편역. 비만의 진단과 치료. 서울:도서출판한의학. 2003;8-10,19-27, 37-56. 

  5. Eugenia E, Micahel J, Jennifer M, Carmenrodrgue Z. Body mass index and mortality in a prospective cohort of US adults. N Engl J Med. 1994;341(51):1097-105. 

  6. Hwang GH, Huh YR. A study of hyperlipidemia in Koreans-Specially related to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it's risk factors for hypercholesterolemia. Korean J Food Nutr. 1999; 12(3):279-289. 

  7. Youh EJ, Seo BK, Huang B, Kim JI, Kang SK. Artemisia capillaries Herbal Acupuncture Improves Metabolic Abnormalities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ICR Mice,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11;28(1):1-14. 

  8. Ryu HS, Kim SP, Kim SM, Lee DG, Lee OJ, Lee JH, Wei TS. The Effects of Rhei Radix et Rhizoma Pharmacopuncture at Bi-Su (BL20) on the Obese Rars Induced by High Fat Diet.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2012;29(3):9-18. 

  9. Kim DJ, Jung JH, Kim SG, Lee HK, Lee SK, Hong HD, Lee BY, Lee OH. Antioxidants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Hot Water and Ethanolic Extracts from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Korean J Food Preserv. 2011; 19(3):366-373. 

  10. Lee CM, Lee TJ, Kim BH. Improving Effect of Cudrania Tricuspidata Ethanol Extract on Lipid Profile and Blood Glucose in HFD-induced Obese Mice.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2011;7(3):309-318. 

  11. Kim GT, Go H, Shin SM, Kim HJ. Study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adenophorae radix extract" in the Obese Patients or Overweight.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2007;7(1):39-54. 

  12. 전국한의과대학본초학교수공저. 본초학. 서울:영림사. 2004;154-156. 

  13. Shin DJ, Kim AL, Kim SH. Study of the Effects of Tae-Eum-Jo-Wi-Tang and Ephedrae Herba on Changes of Leptin Level in the Obese Rats.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2001;13(1):79-87. 

  14. Park JM, Kim HJ, Kim JA, Kim SJ, Ko BP. The Effects of Evodia Rutaecarpa and Ephedra Sinica on the Resting Metabolic Rate and Body Composition of Obese Women on a Low-Calorie Diet: A Double-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ine. 2005;26(3):249-262. 

  15. Joh HG, Yang JM, Kim DI. Effects of the oral administration of Ephedra Sinica Extract on suppression of body weight gains and the DNA chip expression of obese rats. THE JOURNAL OF ORIENTAL OBSTETRICS & GYNECOLOGY. 2007;20(3):65-80. 

  16. Lee YJ, Lee MJ. The efficiency of Ephedrae herba on the obese zucker rat's lipid of blood serum and fatty acid metabolism of skeletal muscles. Th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2005;33 (3):99-111. 

  17. Kim KM. Effects of Ephedra Herba Hexane Fraction (EH1) on lipid levels in serum and lipid accumulation in liver tissue in Hyperlipidemic mice. Seoul: Graduate School of Dongguk University;2012. 

  18. Jung HY. Effects of ephedra herba chloroform fraction on hyperlipidemic mice. Busan:Graduate School of Dong-Eui University;2013. 

  19. Oh MK. Research Trends of Bioinformatics Using DNA Microarray Data.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2006;9(5):43-48. 

  20. Kim SC, Lee JW, Kim BS. A Corcordance Study of the Preprocessing Orders in Microarray Data.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009;22(3):585-594. 

  21. 식품의약품안전청. 대한약전(제9개정). 서울 : 신일북스. 2008;922-923. 

  22. Park HB, Kim KS, Kim BT, Lee KW, Ahn CW, Choi WH. Double-blind, Randomized, Multi-center, Comparative Clinical Trial of Sibutramine Mesilate with Sibutramine Hydro chloride for Evaluating Efficacy and Safety in Obes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08;17(2):82-90. 

  23. 윤지성. 식후 고혈당과 심혈관질환. 임상당뇨병. 2012;13(1):18-22. 

  24. Sheu WH, Rosman A, Mithal A, Chung N, Lim YT, Deerochanawong C, Soewondo P, Lee MK, Yoon KH, Schnell O. Addressing the burden of type 2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through the management of postprandial hyperglycaemia: an Asian-Pacific perspective and expert recommendations. Diabetes Res Clin Pract. 2011;92:312-3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