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약 복용 후 발생한 유해사례에 대한 연구 -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A Study of Adverse Events that Occurred after Taking Herbal Medicine - Focused on Children and Adolescents 원문보기

大韓韓方小兒科學會誌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v.28 no.3, 2014년, pp.1 - 16  

이지홍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유선애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이승연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and clinical features of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herbal medicine, and to analyze their causality and severity. Metho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159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took herbal medicine in the Department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약 복용 시작 후 7-14일 경과한 시점에서 조사를 시행하였기 때문에 환아가 경험하는 한약 복용 후의 증상에 대해서 보호자가 비교적 정확하게 기억하고 설명할 수 있었다. 또한 직접 설문지 배포 혹은 전화설문을 통한 조사였기 때문에 유해사례의 양상, 유해사례 발생 시점의 상황, 보호자의 약물 중단 여부 등에 대해 자세히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약 처방 시의 주소증 외에 다른 질환에 새로이 이환되거나 양약을 병용하여 복용한 경우, 식사내용의 변화나 생활 환경의 변화가 있었던 경우 등에 대해 파악하여 이를 한약과의 인과성 평가에 고려하였다.
  • 본 연구는 한약 복용 시작 후 7-14일 경과한 시점에서 조사를 시행하였기 때문에 환아가 경험하는 한약 복용 후의 증상에 대해서 보호자가 비교적 정확하게 기억하고 설명할 수 있었다. 또한 직접 설문지 배포 혹은 전화설문을 통한 조사였기 때문에 유해사례의 양상, 유해사례 발생 시점의 상황, 보호자의 약물 중단 여부 등에 대해 자세히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ADR을 명현반응과 감별하고자 주소증의 변화 여부를 조사하였다. 명현반응은 임상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용어로, ADR과 혼동되기 쉽기 때문에 구분이 필요하다.
  • 이에 저자는 선행연구의 한계점으로 지적되는 연구 방법을 수정하여, 한약 복용 후 소아 · 청소년에게 발생한 유해사례를 조사하고 한약과의 인과관계를 평가하여 의미 있는 지견을 득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약의 기전을 설명하기 어려움이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단일성분인 양약의 경우 약의 작용 기전에 대하여 비교적 정확하게 설명이 가능하고, 임상응용 전에 거의 모든 약물에 대해 독성시험이 법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1), 시판되는 약물에 대해 의무적으로 유해사례를 보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4). 반면, 한약은 다양한 성분이 포함되어 있고 성분들 간의 상호작용 문제로 정확하게 기전을 설명하기에 큰 어려움이 있다. 한약에 대한 독성시험은 상대적으로 미약한 편이고, 부작용 여부나 장기간 사용의 적절성은 경험에 의해 평가되어왔다1).
한약이 양약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부작용이 적은 치료법으로 인식된 이유는 무엇인가? 한약은 한국 및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에서 수천 년 동안 임상적으로 응용되었고, 천연의 원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양약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하고 부작용이 적은 치료법으로 인식되었다1). 그러나 치료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어떠한 물질도 원치 않는 유해한 반응을 초래할 수 있으며2) 한약 역시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한약을 복용한 소아의 부작용을 확인하기 쉽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소아는 성인에 비하여 약물에 대한 반응이 민감하고 즉각적이지만 스스로 표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개는 보호자의 관찰에 의해 보고된다. 또한 성인에 비하여 복약기간이 짧고 정기적인 내원횟수가 적으며, 부작용 발생 시 임의로 약물을 중단하기 때문에 부작용을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Lee SD, Park YC. Toxicology for herbal medicine I. Paju: Korean Studies Information. 2012:42-5. 

  2. Edwards IR, Aronson JK. Adverse drug reaction: definitions, diagnosis, and management. Lancet. 2000;356:1255-9. 

  3. Lee SD. The study for activation and development of herbal adverse reaction reporting system. Ministry Food Drug Saf. 2007. 

  4. Kwon YJ, Cho WK, Han CH. Status of herbal-drug-associated adverse drug reactions voluntarily reported by EMR. Korean J Orient Int Med. 2012;33(4):485-97. 

  5. Jung SK, Gok SY, Yu SA, Lee SY. A study of side effects from korean herb medicine on children. J Pediatr Korean Med. 2010;24(3):33-42. 

  6. You HJ, Lee JY, Kim DG. A survey on parent's recognition and retrospective study on effect of herbal medication. J Pediatr Korean Med. 2005;19(2):243-53. 

  7. Korea Institute of Drug Safety & Risk Management. Available from: https://www.drugsafe.or.kr/ 

  8. Korea Institute of Drug Safety & Risk Management. Available from: https://www.drugsafe.or.kr/iwt/ds/ko/bbs/EgovBbs.do? bbsIdBBSMSTR_000000000041&nttId273&pageIndex1&searchCnd&searchWrd 

  9. Chee DH, Kim HK, Bae JW, Sohn DR, Kim IB, Chun YK, Park HY. Guidelines on adverse drug reaction reporting. Kor J Clin Pharmacol Ther. 1998;6(2):109-18. 

  10. Rhew KY, Lee SH. Analysis of th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adverse drug reaction reports. Kor J Clin Pharm. 2011;21(2):138-44. 

  11. Kyung EJ, Rew JH, Oh MN, Kim EK. A survey on attitude and awareness of health-care professionals regarding pharmacovigilance system and experience for Adverse Drug Reaction (ADR) from a single university hospital. Kor J Clin Pharm. 2013;23(3):256-7. 

  12. Kim MH, Jung HY, Sohn MK, Kim SE, Lee YW, Park JW, Hong CS. Clinical features of adverse drug reactions in a tertiary care hospital in korea. Kor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08;28(1):35-9. 

  13. Kim MG, Kang HR, Kim JH, Ju YS, Park SH, Hwang YI, Jang SH, Kim DG, Jung KS. Analysis of adverse drug reactions collected by an electronic reporting system in a single hospital. Kor J Med. 2009;77(5):601-9. 

  14. Shin HK, Jeong SJ, Lee MS, Ernst E. Adverse events attributed to traditional korean medical practices: 1999-2010. Bull World Health Organ. 2013;91:569-75. 

  15. Barnes J. Pharmacovigilance of herbal medicines : a UK perspectives. Drug Saf. 2003;26(12):829-51. 

  16. Firenzuoli F, Gori L, Menniti-Ippolito F. Symposium on pharmacovigilance of herbal medicines. London, March 28, 2006. eCAM. 2008;5(1):117-8. 

  17. Yun YJ, Shin BC, Lee MS, Cho SI, Shin WJ, Park HJ, Lee HJ. Korean herbal medicine on liver function : a systematic review in korean literature. Korean J Orient Int Med. 2009:30(1)153-72. 

  18. Yun YJ, Shin BC, Lee MS, Cho SI, Park JH, Lee HJ. Systematic review of the cause of drug-induced liver injuries in korean literature. J Korean Orient Med. 2009;30(2):30-45. 

  19. Jung JM, Son CG. Consideration of adverse effects of herbal drug : focussing on hepatic damage. J Daejeon Orient Med. 2008;17(1):53-7. 

  20. Ko SG, Jang BE, Choi JS. ADR of herbal medicines. Kor J Orient Physiol Pathol. 2004;18(4):957-64. 

  21. Kang HJ, Kim HD, Park HJ, Lee BK, Park SH, Lee JC. Analysis study of articles about 'side effect' published in the japanese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Kor J Orient Med. 2011;17(2):47-56. 

  22. Lee E, Park BW, Hea GJ, Ko H. A study on the side effects and toxicity of herbal medicine. Korean J Orient Int Med. 2002;23(2):222-7. 

  23. Kim MK, Jung JH, Ahn JS, Yim JH, Lee HJ, Park EJ. A study on the state of health functional foods & herbal medicine consum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Pediatr Korean Med. 2009;23(3):143-53. 

  24. Ahn YJ. A study of elementary school pupils usin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Korean J Pediatr. 2007;50(4):381-5. 

  2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 survey of the medical use of korean medicine and the consumption of herbal medicine. December 2011:143-62. 

  26. Choi YH, Sohn UD. The surveillance of Adverse Drug Reaction(ADR) reported. Kor J Clin Pharm. 2003;13(2):72-81. 

  27. Zopf Y, Rabe C, Neubert A, Janson C, Brune K, Hahn EC. Gender-based differences in drug prescription: relation to adverse drug reactions. Pharmacology. 2009;84(6):333-9. 

  28. Aagaard L, Christensen A, Hansen EH. Information about adverse drug reactions reported in children: a qualitative review of empirical studies. Br J Clin Pharmacol. 2010;70(4):481-91. 

  29. Rashed AN, Wong IC, Cranswick N, Hefele B, Tomlin S, Jackman J, Lee K, Hon KE, Ong J, Ghaleb M, Chua SS, Hui TM, Rascher W, Neubert A. Adverse drug reactions in children - international surveillance and evaluation (ADVISE), a multicentre cohort study. Drug Saf. 2012;35(6):481-94. 

  30. The pharmaceutical affairs law, section 2, subsection 5. Avialable form : http://www.law.go.kr/%EB%B2%95%EB%A0%B9/%EC%95%BD%EC%82%AC%EB%B2%95 

  31. Kim YK. The standardization of herbal medicine preparations in Korea. KFDA. January 2012. 

  32. Kim KB, Kim DG, Kim YH, Kim JH, Baek JH, Min SY, Park EJ, Yu SA, Lee SY, Lee JY, Chae JW, Jang GT, Han YJ, Han JK. Hanbangsoacheongsonyeonuihak. Seoul: Ui Seoung Dang Publishing Co. 2010:347, 449-54. 

  33. Shin MK. Clinical Traditional Herbology. Seoul: Yeong Lim's Publisher. 2002:457, 464, 466, 469, 477. 

  34. Lee SJ, Lee SY, Yu SA. A Survey of actual guides for children to take the oriental medicine in the oriental clinics & the oriental hospitals. J Pediatr Korean Med. 2013;27(3):12-9. 

  35. Son MK, Lee YW, Jung HY, Yi SW, Lee KH, Kim SU, Jeong JH, Park JJ, Park JW, Hong CS. Comparison of the naranjo and WHO-uppsala monitoring centre criteria for causality assessment of adverse drug reactions. Kor J Med. 2008;74(2):181-7. 

  36. Yoon CH. A study of reports about dizziness reaction - focus on the china academic journal -. J Korean Orient Med. 2009;30(5):635-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