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 편금사 복원 및 재현을 위한 재료 특성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Characteristic of Materials to Restore Traditional Gold Threads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0 no.3, 2014년, pp.307 - 315  

유지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재예방보존연구소) ,  김지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수리복원학과) ,  한예빈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수리복원학과) ,  이상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무형유산학과) ,  정용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융합대학원 수리복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직금직물은 금사를 이용한 섬유공예 기술로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와 조선시대까지 이어져 온 공예기법이다. 이와 같은 금사 공예 기법은 우리나라의 문헌기록에서 다양하게 기록되고 있으나 영조 9년 문직기의 철폐와 더불어 현재 금사 제작 기술은 단절된 상태이다. 현재까지 이뤄진 전통 금사에 대한 연구는 주로 보존처리를 위한 세척 및 강화 등이 주로 이루어졌으며 전통 금사의 복원과 재현을 위해서는 재료와 제작기법의 규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금사는 금박과 접착제, 배지로 이루어지며 특히 접착제의 경우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금사의 각 층을 이루는 재료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문헌과 국외 금사 제작 공방 조사를 토대로 순금 및 가금, 아교 및 옻칠, 다양한 조건의 한지를 선정하여 의사 시료를 제작하였다. 각 재료별 형태적 특성과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금박은 순금, 접착제는 아교, 배지는 도침지가 가장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통 금사의 복원과 현대화를 위해서 본 연구를 토대로 하여 향후 제작 기법 및 제직 기법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ld textile is Korean traditional weaving technique using the gold thread since 5th century. The making technique of gold thread was written in various references, but it is severed because the gold thread weaving equipment and sumptuous moods were forbidden in the early 18th century. There a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현재 국내 제작 기술이 단절되고 비파괴적 분석 방법의 한계에 따라 현존하는 유물로부터의 접착제 특성규명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문헌과 중국 및 일본의 편금사 제작 공방을 비교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전통 편금사 재료로 추정되는 재료를 선정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의사 시편을 제작하고 재료 및 열화 특성을 평가함으로써 전통 편금사 재현을 위한 최적 재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립문화재연구소의 지원을 받아 2012년 전 통 금사 제작기술 복원을 위한 유물의 과학적 분석 및 기술 조사(R&D) 사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졌으며, 이에 감사드린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문헌과 중국 및 일본의 편금사 제작 공방을 비교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전통 편금사 재료로 추정되는 재료를 선정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의사 시편을 제작하고 재료 및 열화 특성을 평가함으로써 전통 편금사 재현을 위한 최적 재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립문화재연구소 R&D‘전통 금사 제작 기술 복원을 위한 유물의 과학적 분석 및 기술 조사(2012년)’와 ‘전통 금사 제작 기술 복원을 위한 전통 금사 재현(2013년)’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던 연구 결과 중 기 발표된 연구 내용을 제외한 재료 특성 비교 연구에 대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서술하였다(Jeong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금직물이란 무엇인가? 직금직물은 금사를 이용한 섬유공예 기술로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와 조선시대까지 이어져 온 공예기법이다. 이와 같은 금사 공예 기법은 우리나라의 문헌기록에서 다양하게 기록되고 있으나 영조 9년 문직기의 철폐와 더불어 현재 금사 제작 기술은 단절된 상태이다.
금사를 이용한 공예 기법인 직금직물의 기술은 현재 어떤 상태인가? 직금직물은 금사를 이용한 섬유공예 기술로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와 조선시대까지 이어져 온 공예기법이다. 이와 같은 금사 공예 기법은 우리나라의 문헌기록에서 다양하게 기록되고 있으나 영조 9년 문직기의 철폐와 더불어 현재 금사 제작 기술은 단절된 상태이다. 현재까지 이뤄진 전통 금사에 대한 연구는 주로 보존처리를 위한 세척 및 강화 등이 주로 이루어졌으며 전통 금사의 복원과 재현을 위해서는 재료와 제작기법의 규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직금직물은 언제부터 이어져온 공예기법인가? 직금직물은 금사를 이용한 섬유공예 기술로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와 조선시대까지 이어져 온 공예기법이다. 이와 같은 금사 공예 기법은 우리나라의 문헌기록에서 다양하게 기록되고 있으나 영조 9년 문직기의 철폐와 더불어 현재 금사 제작 기술은 단절된 상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Hong, M.K., Bae, S.W. and Lee, M.S. 2009. A Study of Consolidation of Excavated Fabric with Golden Thread. Jo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33, 1315-132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Hong, M.K. and Lee, M.S. 2010. Transactions : A Study of cleaning Method of Excavated Gold Brocade. Jo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34, 1162-11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Jeong, S.H., Yu, J.A., Chung, Y.J. and Sim, Y.O. 2013. Scientific Analysis of Matal in Chinese and Korean Traditional Gold Threa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 764-7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im, S.K., Jeong, H.W., Cho, A.N. and Hong, S.C. 2010. Study on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of the picture book on Crown Prince Entering School. The Journal of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7, Seoul Museum of History. 116-13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Noh, J.S. 2006. Method of making gold threads for traditional textiles. Fiber Technology and Industry. 40. 382-387. (in Korean) 

  6. Noh, S.J. and Oh, J.S. 2008. Analysis and Conservation of Metal Thread Made of Proteinaceous Substrate-Golden Decorative Rank Badge of Official Uniform Excavated from Baekryeong Im's Tomb in the 16th Century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8. 1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Oh, J.S. and Noh S.J. 2007. Conservation of Golden Decorative(Jikgeumdan) Jeogori and Chima of Costumes Excavated from Hangju Gi' Tomb of Angang, Kyungsangbukdo Province:Re-adhesion of Gold Leaves in Gilt Paper Strips. Jo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 67-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Sim, Y.O. 2011. Literature Research for Producing Traditional Gold Thread,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Sim, Y.O. 2012. Research and analysis on cultural properties for restoration of technology of traditional gold thread,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Sim, Y.O. and Lee, S.Y. 2013. Study on the Form and Character of Gold Thread in Weave with Supplumentary Gold Wefts.Embroider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3, 79-9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