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꽃노랑총채벌레 산란에 의한 포도 과피 달무리 반점: 종 특이적 분자진단법을 이용한 종동정과 반점 증상의 형태적 특징
Halo Spot Symptom Induced by Oviposition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on Grape Fruits: Molecular Diagnosis by a Species-specific DNA Amplification and Microscopic Characterization of the Symptom 원문보기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v.53 no.3, 2014년, pp.281 - 286  

안승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조명래 (농촌진흥청 기술협력국 국제기술협력과) ,  박철홍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강택준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김형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김동환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  양창열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특작환경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국내 포도원에서 과실 표면에 구름모양의 흰색 얼룩이 자주 발견되고 있으나, 그 원인에 대해 명확히 알려진 바가 없어 방제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흰색의 달무리 반점은 포도 과실 표면에 부정형으로 퍼져 있으며, 그 중앙에는 총채벌레가 산란할 때 만들어진 작은 구멍의 상처가 남아 있다. 이 상처부위는 시간이 지나면서 코르크화되고 표피세포와 분리되어 딱지로 남거나 떨어져 나가게 된다. 이러한 증상은 총채벌레의 섭식이나 노린재의 흡즙에 의한 상처와는 구별된다. 산란구멍에서 발견한 총채벌레 알껍질에서 DNA를 추출하여 ITS2 부위의 염기 서열PCR-RFLP 방법으로 분자동정을 실시한 결과 꽃노랑총채벌레의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토콘드리아 COI 염기서열은 이러한 분자 동정 결과를 재확인하여 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포도 과피에 꽃노랑총채벌레 산란에 의해 유발되는 독특한 피해 증상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포도원에서 이 해충에 대한 방제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grape vineyards, whitish spots in a cloud shape have been often observed on the fruit surface recently. However, the cause of the halo spot symptom was unknown, hindering countermeasures to be properly designed for the control. A small hole in the middle of the formless halo spot remained as a s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최근 국내 포도원에서 나타나고 있는 포도 과실 달무리 반점 증상의 미세구조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 수준에서 관찰하여 그 형태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반점 조직에서 발견한 총채벌레 알껍질에서 유전자를 추출하여 분자진단법을 이용한 종 동정을 통해 어떤 총채벌레에 의한 산란피해인지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국내 포도원에서 나타나고 있는 포도 과실 달무리 반점 증상의 미세구조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 수준에서 관찰하여 그 형태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한, 반점 조직에서 발견한 총채벌레 알껍질에서 유전자를 추출하여 분자진단법을 이용한 종 동정을 통해 어떤 총채벌레에 의한 산란피해인지를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국과 국내의 발생하는 총채벌레의 종류는 각각 무엇인가? 총채벌레는 포도의 잎과 과실에 피해를 주는 중요한 해충으로 약충과 성충이 잎과 과실 표면을 직접적으로 섭식하거나 또는 산란을 통해 피해를 유발하고, 간접적으로는 신초와 잎의 성장을 저해하여 결국 과실의 품질 저하에 영향을 미친다(Childers, 1997). 외국의 포도원에서는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볼록총채벌레(Scirotothrips dorsalis), 포도류 가해 총채벌레류 (Drepanothrips reuteri) 등 10여 종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Bettiga, 2013), 우리나라 포도원에는 볼록총채벌레의 발생과 피해 외에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Yang, 2010).
총채벌레는 무엇에 피해를 주는 해충인가? 총채벌레는 포도의 잎과 과실에 피해를 주는 중요한 해충으로 약충과 성충이 잎과 과실 표면을 직접적으로 섭식하거나 또는 산란을 통해 피해를 유발하고, 간접적으로는 신초와 잎의 성장을 저해하여 결국 과실의 품질 저하에 영향을 미친다(Childers, 1997). 외국의 포도원에서는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 볼록총채벌레(Scirotothrips dorsalis), 포도류 가해 총채벌레류 (Drepanothrips reuteri) 등 10여 종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Bettiga, 2013), 우리나라 포도원에는 볼록총채벌레의 발생과 피해 외에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Yang, 2010).
미국 포도원에서는 달무리 반점의 원인이 무엇이라고 알려져 있는가? 포도 재배 농가에서는 약해 또는 공해에 의한 증상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으며 포도 과피가 녹색일 때는 증상이 보이다가 착색되면서 반점이 사라지기 때문에 재배자들이 잘 모르고 넘어 가는 경우도 있다. 미국 포도원에서는 이러한 달무리 반점 증상이 꽃노랑총채벌레의 산란에 의해 생긴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에(Jensen, 1973), 국내 포도원에 발생하는 이러한 피해증상도 꽃노랑총채벌레의 산란에 의한 것인지 확인이 필요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hn, S.-J., Park, C.H., Kang, T.J., Kim, H.H., Yang, C.Y., Kim, D.-H., 2013. Occurrence of mites and thrips in protected grape vineyards in Korea. Proceedings of the Autumn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p. 183. 

  2. Bettiga, L.J., 2013. Grape pest management, 3rd ed., University of California, USA. 

  3. Brunner, P.C., Fleming, C., Frey, J.E., 2002. A molecular identification key for economically important thrips species (Thysanoptera: Thripidae) using direct sequencing and a PCR-RFLP-based approach. Agric. For. Entomol. 4, 127-136. 

  4. Childers, C.C., 1997. Feeding and oviposition injuries to plants, in: Lewis, T. (Eds.), Thrips as crop pests. CABI International, Oxon, New York, pp. 505-537. 

  5. Cho, M.R., Jeon, S.-W., Kang, T.J., Kim, H.H., Ahn, S.-J., Yang, C.Y., 2013. Pests occurring on Cymbidium. Korean J. Appl. Entomol. 52, 403-408. 

  6. Hilker, M., Meiners, T., 2002. Induction of plant responses to oviposition and feeding by herbivorous arthropods: a comparison. Entomol. Exp. Appl. 104, 181-192. 

  7. Hortensteiner, S., Krautler, B., 2011. Chlorophyll breakdown in higher plants. Biochim. Biophys. Acta-Bioenerg. 1807, 977-988. 

  8. Jensen, F., 1973. Timing of halo spotting by flower thrips on table grapes. Calif. Agr. 27, 6-8. 

  9. Kim, D.S., Cho, M.R., Jeon, H.Y., Yiem, M.S., Lee, J.H., Na, S.Y., Lee, J.O., 2000. Damage patterns caused by Lygocoris spinolae (Hemiptera: Miridae) on 'Campbell Early' grapes. J. Asia-Pac. Entomol. 3, 95-101. 

  10. McNally, P.S., Fogg, C., Flynn, J., Horenstein, J., 1985. Effects of thrips (Thysanoptera: Thripidae) on shoot growth and berry maturity of 'Chenin Blanc' grapes. J. Econ. Entomol. 78, 69-72. 

  11. Reitz, S.R., 2009. Biology and ecology of the western flower thrips (Thysanoptera: Thripidae): The making of a pest. Fla. Entomol. 92, 7-13. 

  12. Salguero-Navas, V.E., Funderburk, J.E., Olson, S.M., Beshear, R.J., 1991. Damage to tomato fruit by the western flower thrips (Thysanoptera: Thripidae). J. Entomol. Sci. 26, 436-442. 

  13. Soler, M., Serra, O., Molinas, M., Huguet, G., Fluch, S., Figueras, M., 2007. A genomic approach to suberin biosynthesis and cork differentiation. Plant Physiol. 144, 419-431. 

  14. Terry, L.I., De Grandi-Hoffman, G., 1988. Monitoring western flower thrips (Thysanoptera: Thripidae) in 'Granny Smith' apple blossom clusters. Can. Entomol. 120, 1003-1016. 

  15. Toda, S., Komazaki, S., 2002. Identification of thrips species (Thysanoptera: Thripidae) on Japanese fruit tree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of the ribosomal ITS2 region. B. Entomol. Res. 92, 359-363. 

  16. Yang, C. Y., 2010. Occurrence of grape pests and their control, in: Ahn, J.G. (Eds), Manual of grape growing. Rural Development Adminstration. pp. 209-220. 

  17. Yokoyama, V.Y., 1977. Frankliniella occidentalis and scars on table grapes. Environ. Entomol. 6, 25-30. 

  18. Yokoyama, V.Y., 1979. Effect of thrips scars on table grape quality. J. Am. Soc. Hortic. Sci. 104, 243-24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