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IS를 활용한 쓰레기 매립지 입지 선정과정의 체계화 연구
The Systematization of Waste Landfill Site Selection Process utilizing GIS 원문보기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22 no.3, 2014년, pp.21 - 30  

한지연 (카이스트 건설 및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쓰레기 매립지는 기피시설로 입지를 선정하는 초기부터 심각한 갈등을 야기하고 설치과정에 있어서도 많은 어려움을 동반하는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매립지의 설치에 있어서 그러한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그 과정을 보다 객관화하는 방법으로 매립지 입지선정과정의 체계화 및 표준화를 제시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매립지 입지선정과정을 구체적 사항들로 세분화하기 보다는 보다 보편적인 내용으로 구성하여 크게 4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별로 대표적인 필요사항들을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경우에도 융통성 있는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이를 통한 매립지 입지 선정과정의 표준화를 유도하였다. 둘째, 단계별로 제시된 과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와 다 기준의사결정방법 중 하나인 PAPRIKA(Potentially All Pairwise RanKings of all possible Alternatives)를 적용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의 활용을 유도하였다. 셋째,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청주 시를 대상으로 가상적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여 최종 결론을 도출함으로써 매립지 입지선정과정의 단계별 적용 실용성과 과정의 객관성을 증명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aste landfill site which is the facility usually rejected by communities is generally perceived as one of the serious social problems. It causes serious conflicts between interested parties from the beginning of the site selection process and produces various difficulties throughout the install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Fig. 1의 매립지 입지 선정 절차를 실제과정에 적용할 때에는 관련 기관, 관련 전문가, 주민 등 가능한 많고 다양한 분야의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위원회를 구성하고 그들의 의견을 골고루 반영하여 각 후보지별 고려 인자에 대한 중요도를 결정함으로써 가장 문제의 요소가 적고 많은 부분의 동의가 이루어진 최적의 매립지를 선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청주 시의 불변의 최종 매립지를 선정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고 하기 보다는 Fig. 1에 제시된 매립지 입지 선정과정과 그 과정에서의 GIS 및 PAPRIKA활용의 타당성 및 유효성을 판단하는 데 그 목적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면서 연구의 현실적 어려움과 제한 사항을 극복할 수 있도록 연구에 필요한 최소한의 참여인원을 선택하여 간소화된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는 매립지 입지 선정 과정을 보편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나누어 체계화하고 이의 실용적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는 해외사례를 비롯한 기존의 국내 관련 연구와 대표적 환경 선진국들의 매립지 관련 가이드라인들을 참고하여 매립지 배제구역기준과 관련 고려인자들을 추출하였고, 그러한 기준과 인자들을 바탕으로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최근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있는 GIS와 다 기준의사결정 방법적용을 제안하였다.
  • 이러한 노력과 더불어 현실적 어려움과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입지선정과정의 합리화를 통한 체계적인 방법도입의 필요성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러한 방법의 하나로 최근 대두되어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는 GIS와 이를 바탕으로 PAPRIKA (Potentially All Pairwise RanKings of all possible Alternatives)라는 다 기준의사결정방법을 매립지 입지선정과정에 적용해 봄으로써 보다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의 활용을 통해 갈등과 문제의 근본적 해결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갈등과 고민의 중심에 있는 매립지 입지선정과정의 체계화를 제시하였고, 그 과정에 있어서 GIS와 PAPRIKA라는 보다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을 도입하여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제안을 바탕으로 청주 시 제2 매립지 선정과정을 가정하여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고 본 연구에서 제안된 단계별 매립지 입지 선정과정의 실용적 적용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갈등과 고민의 중심에 있는 매립지 입지선정과정의 체계화를 제시하였고, 그 과정에 있어서 GIS와 PAPRIKA라는 보다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을 도입하여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제안을 바탕으로 청주 시 제2 매립지 선정과정을 가정하여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고 본 연구에서 제안된 단계별 매립지 입지 선정과정의 실용적 적용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전체 연구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GIS이란 무엇인가? GIS는 디지털 컴퓨터를 바탕으로 한 대량의 다양한 공간관련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다중의 정보를 통합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정보를 이끌어 내며, 도시의 토지이용계획 등 지리환경 분석을 위한 매우 효과 적인 방법이다(Dai et al., 2001).
매립지의 설치에 있어서 그러한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그 과정을 보다 객관화하는 방법으로 매립지 입지선정과정의 체계화 및 표준화를 제시한 방법의 내용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매립지의 설치에 있어서 그러한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그 과정을 보다 객관화하는 방법으로 매립지 입지선정과정의 체계화 및 표준화를 제시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매립지 입지선정과정을 구체적 사항들로 세분화하기 보다는 보다 보편적인 내용으로 구성하여 크게 4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별로 대표적인 필요사항들을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경우에도 융통성 있는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이를 통한 매립지 입지 선정과정의 표준화를 유도하였다. 둘째, 단계별로 제시된 과정을 진행함에 있어서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와 다 기준의사결정방법 중 하나인 PAPRIKA(Potentially All Pairwise RanKings of all possible Alternatives)를 적용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의 활용을 유도하였다. 셋째,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청주 시를 대상으로 가상적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여 최종 결론을 도출함으로써 매립지 입지선정과정의 단계별 적용 실용성과 과정의 객관성을 증명하였다.
쓰레기 매립지의 인식은 무엇인가? 쓰레기 매립지는 기피시설로 입지를 선정하는 초기부터 심각한 갈등을 야기하고 설치과정에 있어서도 많은 어려움을 동반하는 사회적 문제로 인식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매립지의 설치에 있어서 그러한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그 과정을 보다 객관화하는 방법으로 매립지 입지선정과정의 체계화 및 표준화를 제시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e, M. K. and Chang, B. M., 1998, A Study on selection of proposed waste facilities site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1, No.2, pp. 14-25. 

  2. Ban, Y. U., Lee, T. H., Lee, W. H., Woo, H. M. and Baek, J. I., 2008, Waste landfill site selection through public participation using GIS, internet poll, and personal interview in Cheongju City,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Vol.21, No.3, pp. 267-289. 

  3. Dai F. C., Lee C. F., Zang X. H., 2001, GIS-based geo-environmental evaluation for urban land-use planning: a case study, Engineering Geology, Vol.61, No.4, pp. 257-271. 

  4. Department for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London) (C)Crown copyright 2009, Multi-criteria analysis: a manual. 

  5. 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 (England and Wales)((C)Crown copyright 2010), 2010, Environmental permitting guidance; The landfill directive for the environmental permitting regulations 2010 version 3.1, http://www.defra.gov.uk. 

  6. Environmental Regulatory Practice,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Heritage Protection, State of Queensland, 2013, Guideline-landfill siting, design, operation and rehabilitation, http://www.ehp.qld.gov.au/era/prescribed/gl-bi-landfill-siting-design-operation-rehabilition-em2319.pdf. 

  7. EPA Victoria(Australia), 2010, Best practice environmental management siting, design, operation and rehabilitation of landfills, http://www.epa.vic.gov.au/. 

  8. Forman E. and Selly M., 2001, Decision by objectives,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 

  9. Ghobadi, M. H., Babazadeh, R. and Bagheri V., 2013, Siting MSW landfills by combining AHP with GIS in Hamedan province, western Iran,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Vol. 70, No. 4, pp.1823-1840. 

  10. Hansen, P. and Ombler, F., 2008, A new method for scoring additive multi-attribute value models using pairwise rankings of alternatives, Journal of Multi-Crteria Decision Analysis, Vol. 15, No. 3-4, pp.87-107. 

  11. Kim, H. T., Lee, H. J., Kim, Y. U., Kim, J. H. and Kim, H. S., 2002, Prediction of long - term settlement in the big reclamation site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18, No. 2, pp. 107-121. 

  12. Lee, J. D., Yeon, S. H. and Kim, S. G., 2000, A case study on suitability analysis of solid waste landfill site utiliz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3, No.4, pp. 33-49. 

  13. Lee, S. et al, 2005, Research on the installation and management of waste disposal facilities ( 폐기물 매립시설 설치 및 관리기준 연구), Metropolitan Landfill Management Corporation of Korea. 

  14. Melo, AndreL. O., Calijuri, M. L., Duarte, Izabel C. D., Azevedo, R. F. and Lorentz, J. F., 2006, Strategic decision analysis for selection of landfill sites, Journal of Surveying Engineering, Vol. 132, No. 2, pp. 83-92. 

  15. Ministry of Environment of Korea, 2004, Manual installation of waste disposal facilities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업무 편람). 

  16. Olson, D. L., Moshkovich, H. M., Schellenberger R. and Mechitov, A. I., 1995, Consistency and accuracy in decision aids: experiments with four multiattribute systems, Decision Sciences, Vol.26, No.6, pp. 723-748. 

  17. 1000Minds Ltd, 2002-2014, 1000Minds software, http://www.1000minds.com/. 

  18. Park, S. W., Kim, H. T., Park, S. W., Baek, S. C. and Park, S. K., 2006, A prediction of long-term settlement in large reclamated sites using laboratory consolidation tests and GIS techniques,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7, No.3, pp. 5-19. 

  19. Poyhonen M. and Hamalainen R. P., 1997, On the convergence of multiattribute weighting method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 129, No. 3, pp. 569-585. 

  20. Sener, S., Sener, E., Nas, B. and Karaguzel,, R., 2010, Combining AHP with GIS for landfill site selection: Acase study in the Lake Beysehir catchment area (Konya, Turkey), Waste Management, Vol. 30, No. 11, pp. 2037-2046. 

  21. Siddiqui, M. Z., Everett, J. W., and Vieux, B. E., 1996, Landfill siting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 demonstr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22, No. 6, pp.515-523. 

  22. The Ministry of Environment of British Columbia (Canada), 1993, Landfill criteria For municipal solid waste, http://www.env.gov.bc.ca/epd/mun-waste/. 

  23.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Oreg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Quality, 1993, Criteria for solid waste disposal facilities a guide for owners/operators, Solid Waste Landfill Guidance, http://www.deq.state.or.us/lq/sw/disposal/landfillguidance.htm. 

  24. Uyan, M., 2014, MSW landfill site selection by combining AHP with GIS for Konya, Turkey, Environmental earth sciences, Vol. 71, No. 4, pp.1629-1639. 

  25. Wang, G., Qin, L., Li, G., Chen, L., 2009, Landfill site selection using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AHP: A case study in Beijing, China,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90, No. 8, pp.2414-2421. 

  26. WasteMINZ (New Zealand), 2013, "Technical guidelines for the disposal to land of residual waste and other material (Land disposal technical guidelines) Draft for consultation", http://www.wasteminz.org.nz/wp-content/uploads/Consultation-Draft-Land-Disposal-Technical-Guidelines.pdf. 

  27. Yoo, H. H., Kim, J. O. and Kim, E. M., 1996, Applic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for selection of waste landfill sites, Journal of Institut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Vol.4, No.1, pp. 55-6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