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제조공장에서 생산된 아이스크림류의 미생물학적 오염실태 조사
Monitoring on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of Packed Ice Creams from Manufacturing Factorie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29 no.3, 2014년, pp.202 - 206  

허은정 (식품의약품안전처) ,  고은경 (농림축산검역본부) ,  김영조 (식품의약품안전처) ,  서건호 (건국대학교 KU식품안전연구소) ,  박현정 (식품의약품안전처) ,  위성환 (농림축산검역본부) ,  문진산 (농림축산검역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여름철 성수기를 앞두고 생산된 아이스크림류에 대하여 대장균군E. coli O157:H7, S. aureus, C. perfringens, L. monocytogenes, Salmonella spp. 등 식중독균 검출여부를 조사한 결과 모든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이에 반하여 세균수에 있어서는 11개 제조공장별로, 그리고 아이스크림류 유형별로 $2.5{\times}10^3$에서부터 $5.5{\times}10^5cfu/g$까지 다양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또한, OEM 생산업체에서 제조된 아이스크림을 포함하여 아이스크림 제품별로는 과자류, 찰떡, 초코렛, 과일쥬스 등의 부원료가 추가적으로 사용되거나, 손작업이 필요로 하는 stic bar type 등 7개 제품에서 세균수 허용기준이 초과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균수 허용기준을 초과한 제품에 대하여 아이스크림류 유형별로 분석한 바, 아이스크림은 10개중 3개 제품(30.0%), 아이스밀크는 6개중 3개 제품(50.0%), 샤베트는 2개중 1개 제품(50.0%)으로 조사되어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아이스크림류 제조공정 중 미생물의 품질관리를 위하여 포장용기에 대한 미생물 모니터링 검사를 포함하여 동결 공정에 추가적인 CCP 설정 등과 같은 HACCP제도의 도입 및 보완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bacteriological survey was examined on ice creams at manufacturing factories in Korea during the summer season of 2011. The nineteen selected among 166 samples by preliminary test were collected from 11 different manufacturing factories in four major manufacturers in May 2011. Sa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름철 성수기를 맞은 다소비 축산 식품인 아이스크림의 위생관리 확보 차원에서 국내에서 제조 중인 다양한 아이스크림류를 대상으로 오염지표세균인 세균수와 대장균군수를 포함하여 식중독 세균 5종의 미생물학적 오염실태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이스크림류의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원인은? 최근 식생활의 서구화와 더불어 간식으로 선호도가 높 은 아이스크림류의 생산과 보급이 증가되면서 기호성이 높은 다소비 식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13). 아이스크림류는 풍부한 영양성분, 중성의 pH, 냉동상태에서 장기간 보관 가 능한 반면 원재료인 우유는 미생물 성장의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고 아이스크림 제조 공정상 미생물을 완전히 제어 할 수 없으며 섭취 전 재가열 과정이 없기 때문에 미생물학적 위해요소 관리의 어려움과 어린이 기호식품이기 때문에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9). 특히, 최근에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 상승으로 소비자들 의 아이스크림 구입이 해마다 늘어나고 있는 반면 유통기한이 설정되어 있지 않아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2000년 국내 아이스크림류에서 분리된 Listeria monocytogenes의 분리율은? 국내의 경우에 Baek 등(2000)1)이 아이스크림류에서 6.1%의 Listeria monocytogenes를 분리하여 보고한 바 있다. 또한, 2011년에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아이스크림류의 위해사례 (부패·변질) 69건 중 54건에서 배탈, 두드러기 등의 부작용이 보고 되었으며, 서울시에서 판매되는 아이스크림의 일부에서 제조일 이후 2년 이상 경과제품 및 제조일자 미표시 제품이 발견되어 ‘품질유지기한’ 제도 도입을 2011년 12월에 한국소비자원에서는 정부에 건의한 바 있다.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에서 규정하는 아이스크림류의 유지방과 유고형분 함량 기준은? 한편, 아이스크림류는 유지방과 유고형분 함량에 의하여 아이스크림, 아이스밀크, 샤베트, 저지방아이스크림, 비유지방아이스크림으로 분류된다. 아이스크림은 유지방 6%이상이면서 유고형분 함량이 16% 이상, 아이스밀크는 유지방 2% 이상이면서 유고형분 7% 이상, 샤베트는 무지고형분 2% 이상, 저지방아이스크림은 조지방 2%와 무지고형분이 10% 이상, 비유지방아이스크림은 조지방 5%와 무지고형분 5% 이상 함유해야 한다고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에는 규정하고 있다19). 또한, 아이스크림류 포장용기는 stic bar, cone, cup, sand, pencil type 등 매우 다양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ek S.Y., Lim S.Y., Lee D.H., Min K.H., Kim C.M.: Incidence and characterization of Listeria monocytogenes from domestic and imported foods in Korea. Journal of Food Protection, 63, 186-89 (2000). 

  2. Chug K.: Salmonella outbreak from ice cream. Indian Pediatrics, 33, 976-77 (1996). 

  3. CDC.: Outbreak of Salmonella enteridis associated with home made ice-cream Florida, 1993. Morbidity and Mortality Weekly Report, 43, 669-671. (1994). 

  4. Daniels N.A., Mackinnon L., Rowe S.M., Bean N.H., Griffin P.M., Mead, P.S.: Foodborne disease outbreaks in United States schools. Pediatrics Infectious Disease Journal, 21, 623-628 (2002). 

  5. Djuretic, T., Wall, P., Nichols, G.: General outbreaks of infectious intestinal disease associated with milk and dairy products in England and Wales: 1992 to 1996. Communicable Disease Report Review, 7, R41-45 (1997). 

  6. El-Sharef, N., Ghenghesh, K.S., Abognah, Y.S. Gnan, S.O. Rahouma, A.: Bacteriological quality of ice cream in Tripoliibya. Food Control 17, 637-41 (2006). 

  7. Fernandes R.: Ice cream and related products. pp. 91-101. Microbiology handbook: dairy products. Leatherhead Pub., Royal Society of Chemistry, UK. http://www.qia.go.kr/livestock/ clean/listCpsyWebAction.do?clear1. (2009). 

  8. Jo., C., Kim H.J., Kim D.H., Lee, W.K., Ham J.S., Byun M.W.: Radiation sensitivity of selected pathogens in ice cream. Food Control. 18, 859-865 (2007). 

  9. Kanbakna, U., Con, A.N., Ayar, A.: Determination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sources during ice cream production in Denizli, Turkey. Food Control 15, 463-470 (2004). 

  10. Lee, J. W., Kim H. J. Yoon Y. H., Kim J. H., Ham J. S., Byun M. W., Baek, M. Jo C., and Shin M. G.: Manufacture of ice cream with improved microbiological safety by using gamma irradiation. Radiation Physics and Chemistry. 78, 593-595 (2009). 

  11. Lu J, Pua X.H, Liu C.T, Chang C.L,: The implementation of HACCP management system in a chocolate ice cream plant. Journal of food and drug analysis XXX 1-8 (2013). 

  12. Massa, S., Poda, G., Cesaroni D., Trovaelli L.D.: A bacteriological survey of retail ice cream. Food Microbiology, 6, 129-134 (1989). 

  13. Warke, R., Kamat, A., Kamat, M., Thomas, P.: Incidence of pathogenic psychrotrophs in ice creams sold in some retail outlets in Mumbai, India. Food Control, 11, 77-83 (2000). 

  14. WHO.: Food borne Listeriosis, World Health Organization. Report Of Informal Working Group On Listeriosis, WHO/EHE/FOS. 88.5 Geneva. (1988). 

  15. 김성택: 아이스크림 산업의 발전방향. 제52회 춘계유가공심포지움 자료집. pp. 27-33. (2001). 

  16. 김정수: 아이스크림 HACCP 일반 모델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7. 박승용, 노봉수: 아이스크림 위생관리방안.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연구용역과제 (2011). 

  18. 배진규, 전오숙, 박혜원, 복민순, 양호열, 박준조, 고태오: 경기 남부지역 HACCP 인증 아이스크림 업체와 미인증 업체의 미생물 관리 수준 비교. 한국가축위생학회지 36, 95-103 (2013). 

  19. 식품의약품안전처: 축산물의 가공기준 및 성분규격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