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상후 울분장애의 이해
Understanding of 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 (PTED) 원문보기

Anxiety and mood = 대한불안의학회지, v.10 no.1, 2014년, pp.3 - 10  

고한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한창수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채정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active disorder is a group of diagnosis with a definitely known etiology and whose etiological factor is essential to the diagnosis. In DSM system, such reactive disorders are listed as adjustment disorder, acute stress disorder, brief psychotic disorder with marked stressor and posttraumatic st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저자들은 이러한 반응 중의 하나로 부당함과 함께 울분(embitterment)을 주로 호소하는 특정한 증상 군이라고 할 수 있는 PTED를 소개하였다. PTED는 독일의 통일 이후 국민들이 나타내는 정서를 연구하면서 제안된 진단이기는 하지만 직장에서의 갈등, 해직, 친척의 죽음, 이혼, 심각한 질병, 상실 및 분리의 경험과 같은 드물기는 하나 일상생활에서 나타날 수 있는 부정적 생활 사건 경험에 의해 촉발되어 나타날 수 있다.
  • 본 종설에서 저자들은 국내 최초로 PTED의 개념을 소개하고, 그 발생 원인, 증상 및 진단 기준, 치료 방법, 다른 질환과의 감별점 등을 검토하며, 국내의 임상 상황에서 적용 점을 타진하고 새로운 진단기준으로 PTED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적응장애는 어떤 때 내려지는 진단인가? 적응장애는 대표적인 반응성 장애로 증상의 발현에 있어 확실한 원인 인자가 있으며 다른 진단이 I축 진단을 충족시키지 않을 경우에만 내려질 수 있는 진단이다. 그러나 DSM-IV의 다른 진단과는 달리 적응장애만의 분명하고 특별한 증상이 없기 때문에 다소 애매한(vague) 진단 기준이며, 환자를 평가함에 있어 핵심이 되는 스트레스 인자 및 그러한 스트레스 인자로 인한 영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진단 기준이 없이 다른 정신질환이 없다는 근거하에 내려지는 배제진단이라는 단점이 있다.
PTED self-rating scale은 누구에 의해 개발되었는가? 증상의 심한 정도를 자가 보고형식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척도로 개발된 것으로 PTED self-rating scale(이하 PTED scale) 이 있다.20) Linden 등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총 19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5점(0~4) 척도이며, 각 문항당 점수가 높을수록 고통이 큰 상태임을 나타낸다. 각 19개의 문항은 크게 심리적 상태와 사회적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항목들과 사건에 대한 감정적 반응 및 복수에 대한 생각을 평가하는 항목들로 이루어져 있다.
반응성 장애란 무엇인가? 이와 같은 다른 원인인자로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개인의 스트레스 대처 양식 등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증상의 발현에 있어 스트레스성 생활 사건이 직접적인 원인인자가 되는 질환이 있는데 이러한 질환들을 반응성 장애(reactive disorder)라고 통칭할 수 있다. DSM-IV4 진단체계에서 이러한 반응성 장애는 적응장애(adjustment disorder),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이하 PTSD), 급성 스트레스 장애(acute stress disorder, 이하 ASD)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Van der Kolk BA, Herron N, Hostetler A. The history of trauma in psychiatry. Psychiatr Clin North Am 1994;17:583-600. 

  2. Van der Kolk BA, McFarlane AC, Weisaeth L. Traumatic Stress. New York, Guilford;1996. 

  3. Paykel ES. Stress and affective disorders in humans. Semin Clin Neuropsychiatry 2001;6:4-11. 

  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ed 4. Washington, American Psychiatric Press;1994. 

  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ed 5. Washington, American Psychiatric Press;2013. 

  6. Andreasen NC, Wasek P. Adjustment disorders in adolescents. Arch Gen Psychiatry 1980;37:1166-1170. 

  7. Fabrega H, Mezzich JE, Mezzich AC. Adjustment disorder as a marginal or transitional illness category in DSM-III. Arch Gen Psychiatry 1987;44:567-572. 

  8. Snyder S, Strain JJ, Wolf D. Differentiating major depression from adjustment disorder with depressed mood in the medical setting. Gen Hosp Psychiatry 1990;12:159-165. 

  9. Maerker A. Therapie der posttraumatischen Belastungsstorungen. Berlin, Springer;1997. 

  10. Fischer G, Riedesser P. Lehrbuch der Psychotraumatologie. Munich, Reinhardt;1999. 

  11. Linden M, Baumann K, Rotter M, Schippan B. The psychopathology of 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s. Psychopathology 2007; 40:159-165. 

  12. Linden M. The 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 Psychother Psychosom 2003;72:195-202. 

  13. Winkler G. Sozialreport. Berlin: Sozialwissenschaftliches Forschungszenturm Berlin Brandenburg;2002. 

  14. Janoff-Bulman R. Assumptive world and the stress of traumatic events: Applications of the schema construct. Soc Cogn 1989;7:113-136. 

  15. Magwaza AS. Assumptive world of traumatized South African adults. J Soc Psychol 1999;139:622-630. 

  16. Staudinger UM, Lopez D, Baltes PB. The psychometric location of wisdom-related performance: Intelligence, personality, and more? Pers Soc Psychol Bull 1997;23:1200-1214. 

  17. Sheehan DV, Lecrubier Y, Sheehan KH, Amorim P, Janavas J, Weiller E, et al. The Mini-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 (M.I.N.I.):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tructured diagnostic interview for DSM-IV and ICD-10. J Clin Psychiatry 1998;59:22-33. 

  18. Franke G. SCL-90-R: Die Symptom-Checkliste von Derogatis- Deut-sche Version. Manual. G?ttingen, Beltz Test;1995. 

  19. Maercker A, Schutzwohl M. Erfassung von psychischen Belastungsfolgen: Die Impact of Event Skala - revidierte Version (IES-R). Diagnostica 1998;44:130-141. 

  20. Linden M, Baumann K, Rotter M. The 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 self-rating scale (PTED scale). Clin Psycho Psychother 2009; 16;139-147. 

  21. Shin C, Han C, Linden M, Chae JH, Ko YH, Kim YK, et al.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 Self-Rating Scale. Psychiatry Investig 2012;9:368-372 

  22. Maercker A, Einsle F, Kollner V. Adjustment disorders as stress response syndrome: A new diagnostic concept and its exploration in a medical sample. Psychopathology 2007;40:135-146. 

  23. Linden M, Baumann K, Rotter M, Schippan B. 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 in comparison to other mental disorders. Psychopther Psychosom 2008;77:50-56. 

  24. Sensky T. Chronic embitterment and organizational justice. Psychother Psychosom 2010;79:65-72. 

  25. Linden M, Baumann K, Rotter M, Lieberei B. 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 Hogrefe & Huber Publishers;2007. 

  26. Schippan B, Baumann K, Linden M. Weisheitstherapie: Kognitive Therapie der Posttraumatischen Verbitterungsstorung. Verhaltenstherapie 2004;14:284-293. 

  27. Baumann K, Linden M. Weisheitskompetenzen und Weisheitstherapie. Lengerich, Pabst;2008. 

  28. Linden M, Baumann K, Lieberei B, Lorenz C, Rotter M. Treatment of 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 with cognitive behavior therapy based on wisdom psychology and hedonia strategies. Psychother Psychosom 2011;80:199-205. 

  29. Bale TL. Stress sensitivity and the development of affective disorders. Horm Behav 2006;50:529-533. 

  30. Boelen PA, Lensvelt-Mulders GJML.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grief cognition questionnaire. J Psychopathol Behav Assess 2005; 27:291-303. 

  31. Mancini AD, Bonanno GA. Resilience in the face of potential trauma: clinical practices and illustrations. J Clin Psychol 2006;62:971-985. 

  32. Dobricki M, Maercker A. (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 Critical evaluation of its stressor criterion and a proposed revised classification. Nord J psychiatry 2010;64:147-15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