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대학병원 공황장애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에 대한 연구 : 다기관, 후향적 연구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nic Disorder Patients in Korean University Hospital : A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원문보기

Anxiety and mood = 대한불안의학회지, v.10 no.1, 2014년, pp.11 - 16  

오재영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재헌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건강의학본부 기업정신건강연구소) ,  한상우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지익성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구본훈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영남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우종민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양종철 (전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민숙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이상혁 (분당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허정윤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유범희 (유범희 정신건강의학과 의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Despite the high prevalence and clinical importance of panic disorder, studies o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ourse of panic disorder are relatively rare. This study is a multi-center, and retrospective study to exa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ourse of Korean panic disor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다기관에서 공황장애 환자들의 임상경과를 조사한 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 먼저 국내 대학병원에 방문한 공황장애 환자들의 질병 특성과 약물치료 반응에 있어서 몇 가지 중요한 임상적 특성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 19,20따라서 공황장애가 갖는 사회경제적, 임상적 중요성을 고려할 때 한국인 공황장애 환자에서 질병의 임상 경과가 어떤지를 알아보는 연구가 매우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국내 여러 대학병원을 찾은 공황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질병의 임상 경과를 의무기록 분석을 통해 후향적으로 알아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국내 대학 병원에 방문한 공황장애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 및 치료 현황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 셋째, 연구 대상 환자들의 남녀 비율이 1 : 1로 기존의 연구들과 다소 상이하였는데,25,30,31 이런 성비의 차이가 결과에 영향을 주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제한점들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국내 공황장애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 및 약물치료 반응에 따른 임상 경과를 조사한 다기관 연구로 국내 공황장애 환자들의 실제 임상 상황을 반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황장애란? 공황장애는 심각한 급성 불안과 빈맥, 발한, 어지러움 등의 자율신경계 증상들이 예기치 않게 반복해서 나타나고, 이러한 증상들이 다시 발생하지 않을까 지속적으로 염려하는 예기 불안과 회피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장애이다.1 공황장애는 한국인에서는 0.
광장공포증의 유무에 따른 유병률이 서구 공황장애 환자들과 얼마나 차이가 나는가? 광장공포증의 유무에 따른 유병률에서도 본 연구 결과는 서구 공황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 결과들과 차이를 보였다. 서구 공황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들에서는 광장공포증을 동반한 환자의 비율이 그렇지 않은 환자들 보다 2~3배 정도 많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광장공포증을 동반하지 않은 공황장애의 유병률이 광장공포증을 동반한 공황장애의 유병률보다 2.8배 가량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지역 사회에서 시행이 된 일부 기존 연구들의 결과들과도 유사하였다.
공황장애의 한국인과 서양인의 평생유병율 차이는? 공황장애는 심각한 급성 불안과 빈맥, 발한, 어지러움 등의 자율신경계 증상들이 예기치 않게 반복해서 나타나고, 이러한 증상들이 다시 발생하지 않을까 지속적으로 염려하는 예기 불안과 회피 행동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장애이다.1 공황장애는 한국인에서는 0.3% 정도의 평생유병율을 보이지만,2 서양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1.5~5% 정도의 평생유병율을 보여서 서로 차이가 있다.3-5 한편 공황장애 환자의 절반 이상은 직업과 사회 또는 가정 내에서 심각한 기능 장애를 겪고 있으며, 경제적 의존도가 높고 의료시설 의존도가 높아 공황장애로 인한 삶의 질 저하 및 직, 간접적인 사회경제적인 손실 또한 매우 클 것으로 추정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Diagnosit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DSM-IV-R.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00. 

  2. 조맹제. 2011년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보건복지부 학술연구 용역사업 보고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3. Lepine JP. The Epidemiology of Anxiety disorders: Prevalence and Societal Costs. J Clin Psychiatry 2002;63(Suppl 14):4-8. 

  4. Kessler RC, Berglund P, Demler O, Jin R, Merikangas KR, Walters EE. Lifetime prevalence and age-of-onset distributions of DSM-IV disorders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Arch Gen Psychiatry 2005;62:593-602. 

  5. Kessler RC, Wang PS. The descriptive epidemiology of commonly occurring mental disorders in the United States.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2008;29:115-129. 

  6. Rubin HC, Rapaport MH, Levine B, Gladsjo JK, Rabin A, Auerbach M, et al. Quality of well being in panic disorder: The assessment of psychiatric and general disabilit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00;57:217-221. 

  7. Waghorn G, Chant D, White P, Whiteford H. Disability, employment and work performance among people with ICD-10 anxiety disorders. Aust N Z J Psychiatry 2005;39:55-66. 

  8. Cramer V, CandPolit C, Torgersen S, Kringlen E. Quality of life and anxiety disorders: a population study. J Nerv Ment Dis 2005;193: 96-202. 

  9. Saarni SI, Suvisaari J. Impact of psychiatric disorder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General population survey.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2007;190:326-332. 

  10. Davidoff J, Christensen S, Khalili D, Nguyen J, IsHak WW. Quality of life in panic disorder: Looking beyond symptom remission. Qual Life Res 2012;21:945-959. 

  11. Roy-Byrne PP, Cowley DS. Course and outcome in panic disorder: a review of recent follow-up studies. Anxiety 1994;1:151-160. 

  12. Noyes R Jr, Clancy J, Woodman C, Holt CS, Suelzer M, Christiansen J, et al.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the outcome of panic disorder. A seven-year follow-up study. J Nerv Ment Dis 1993;181:529-538. 

  13. Bruce SE, Yonkers KA, Otto MW, Eisen JL, Weisberg RB, Pagano M, et al. Influence of psychiatric comorbidity on recovery and recurrence i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ocial phobia, and panic disorder: a 12-year prospective study. Am J Psychiatry 2005;162:1179-1187. 

  14. Albus M, Scheibe G, Scherer J. Panic disorder with or without concomitant depression 5 years after treatment: a prospective follow-up. J Affect Disord 1995;34:109-115. 

  15. Keller MB, Yonkers KA, Warshaw MG, Pratt LA, Gollan JK, Massion AO, et al. Remission and relapse in subjects with panic disorder and panic with agoraphobia: a prospective short-interval naturalistic follow-up. J Nerv Ment Dis 1994;182:290-296. 

  16. Barlow DH, Gorman JM, Shear MK, Woods SW. Cognitive-behavioral therapy, imipramine, or their combination for panic disord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000;283:2529-2536. 

  17. Hirschfeld RM. Panic disorder: diagnosis, epidemiology, and clinical course. J Clin Psychiatry 1996;57 Suppl 10:3-8; discussion 9-10. 

  18. Pollack MH, Otto MW. Long-term course and outcome of panic disorder. J Clin Psychiatry 1997;58 Suppl 2:57-60. 

  19. Gelernter J, Cubells JF, Kidd JR, Pakstis AJ, Kidd KK. Population studies of polymorphisms of the serotonin transporter protein gene. Am J Med Genet 1999;88:61-66. 

  20. Roy-Byrne PP, Perera P, Pitts CD, Christi JA. Paroxetine response and tolerability among ethnic minority patients with mood or anxiety disorders: a pooled analysis. J Clin Psychiatry 2005;66:1228-1233. 

  21. Warshaw MG, Keller MB, Stout R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longitudinal interval follow-up evaluation for assessing outcome of anxiety disorders. J Psychiatr Res 1994;28:531-545. 

  22. Leucht S, Kane JM, Kissling W, Hamann J, Etschel E, Engel R. Clinical implications of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scores. Br J Psychiatry 2005;187:366-371. 

  23. Weissman MM, Bland RC, Canino GJ, Faravelli C, Greenwald S, Hwu HG, et al. The cross-national epidemiology of panic disorder. Arch Gen Psychiatry 1997;54:305-309. 

  24. Sheikh JI, Swales PJ, Carlson EB, Lindley SE. Aging and panic disorder: phenomenology, comorbidity, and risk factors. Am J Geriatr Psychiatry 2004;12:102-109. 

  25. Kessler RC, Chiu WT, Jin R, Ruscio AM, Shear K, Walters EE. The epidemiology of panic attacks, panic disorder, and agoraphobia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Replication. Arch Gen Psychiatry 2006; 63:415-424. 

  26. Keller MB, Baker LA. The clinical course of panic disorder and depression. J Clin Psychiatry 1992;53 Suppl:5-8. 

  27. Gardos G. Long-term treatment of panic disorder with agoraphobia in private practice. J Psychiatr Pract 2000;6:140-146. 

  28. Kim MH, Lee DE, Chung SH, Song HC, Hahn OS, Lee SH, et al. One Year Naturalistic Outcome Study of Panic Disorder Patients. Anxiety and Mood 2006;2:108-114. 

  29. Segui J, Marquez M, Garcia L, Canet J, Salvador-Carulla L, Ortiz M. Differential clinical features of early-onset panic disorder. J Affect Disord 1999;54:109-117. 

  30. Katon WJ. Clinical practice. Panic disorder. N Engl J Med 2006;354: 2360-2367. 

  31. Cho MJ, Chang SM, Hahm BJ, Chung IW, Bae A, Lee YM, et al.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major mental disorders among Korean adults: A 2006 national epidemiologic surve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09;48:143-1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