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 프로젝트에서의 정보관리를 위해 PMIS와 같은 IT기반 서비스들이 활용되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발생 정보에 대한 신속한 대처 및 정보손실, 보안위험 등의 문제를 해결해 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기업 내 참여와 정보공유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SNS를 건설현장에 도입하고 이를 활용한 건설 정보 관리 체계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과 현장 인터뷰를 통해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활용 전략을 수립하여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실제 현장에서의 정보관리 체계 구축 가능성 여부를 위해 성능 테스트를 실시하여, 개발 결과물 및 이를 활용한 정보 관리 체계가 건설 현장에서 효율적인 정보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건설 프로젝트에서의 정보관리를 위해 PMIS와 같은 IT기반 서비스들이 활용되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발생 정보에 대한 신속한 대처 및 정보손실, 보안위험 등의 문제를 해결해 주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기업 내 참여와 정보공유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SNS를 건설현장에 도입하고 이를 활용한 건설 정보 관리 체계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고찰과 현장 인터뷰를 통해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활용 전략을 수립하여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실제 현장에서의 정보관리 체계 구축 가능성 여부를 위해 성능 테스트를 실시하여, 개발 결과물 및 이를 활용한 정보 관리 체계가 건설 현장에서 효율적인 정보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Although various IT-based services including PMIS are used at construction field, there have been limits on communications, such as fast reaction, information loss, and information security in the real world.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o adapt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that has already bee...
Although various IT-based services including PMIS are used at construction field, there have been limits on communications, such as fast reaction, information loss, and information security in the real world.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o adapt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that has already been used for information management and sharing information at the company level in other industries in order to support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in a fast and accurate manner. Following the requirement analysi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ite interviews, the paper presents an SNS-based construc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sharing system named PMIS+. PMIS+ was tested and validated for its feasibility at construction sites and it was proved that the proposed system and information management framework using the system could be helpful for effective information management at construction fields.
Although various IT-based services including PMIS are used at construction field, there have been limits on communications, such as fast reaction, information loss, and information security in the real world.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o adapt a social network service (SNS) that has already been used for information management and sharing information at the company level in other industries in order to support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in a fast and accurate manner. Following the requirement analysi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ite interviews, the paper presents an SNS-based construc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sharing system named PMIS+. PMIS+ was tested and validated for its feasibility at construction sites and it was proved that the proposed system and information management framework using the system could be helpful for effective information management at construction field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현장에 발생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소통 및 공유하고 관리하며 재활용할 수 있는 정보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특히 이미 여러산업에서도 도입하고 있는 SNS기반 의사소통체계가 어떻게 건설사업관리에 활용될 수 있는가를 제안하고 파일럿 테스트와 사용자 인터뷰를 통하여 개발된 시스템의 적용 타당성을 검증함으로써 건설사업관리를 위한 PMIS 및 현장정보관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현장에 발생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소통 및 공유하고 관리하며 재활용할 수 있는 정보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특히 이미 여러산업에서도 도입하고 있는 SNS기반 의사소통체계가 어떻게 건설사업관리에 활용될 수 있는가를 제안하고 파일럿 테스트와 사용자 인터뷰를 통하여 개발된 시스템의 적용 타당성을 검증함으로써 건설사업관리를 위한 PMIS 및 현장정보관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건설현장의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위해서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와 활용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현장에서 PMIS를 활용한 정보관리 개선 및 SNS의 활용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절차는 Fig. 1과 같다.
스마트 디바이스는 과거 PC를 기반으로 처리되어야 했던 업무들을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과 결합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즉각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무선인터넷, GPS, 카메라 등의 성능을 보유함으로서 각각의 개별 장비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 현장 정보관리 및 의사결정 개선을 위한 SNS 구현 도구로 PC 뿐만 아니라 다양한 스마트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으로 고려하고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 현장 정보관리와 커뮤니케이션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경기도 광교 소재의 한 개 공동주택 현장의 원도급자 대리급 이상 실무자 15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현장 커뮤니케이션 및 정보관리에 대한 현황을 중심으로 참여자간 커뮤니케이션 정도, 커뮤니케이션 대상, 커뮤니케이션 개선 필요분야, PMIS 활용 여부 및 정보관리 실태 등의 사항을 위주로 구성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관리자들의 정보 관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3일 동안 실무자의 정보처리과정을 밀착 관찰하였다. 약 60여건 정보가 발생되는 과정의 관찰을 통해 정보의 공유 수단은 Fig.
전화기나 무전기를 이용한 의사소통은 즉시성은 있으나 실제 상황을 참여자들 각자 상상을 하거나 확인을 위해 현장까지 와야하는 어려움을 SNS를 통해 보완할 수 있다. 현장 발생상황을 사진으로 공유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문자로 정확히 의사소통하고 기록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SNS활용 의사소통은 동료나 참여자간 정보공유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PMIS로부터의 필요한 정보를 얻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MIS와 SNS기반 정보소통체계와 연계 기능을 개발함으로써 PMIS도 하나의 참여자로 시스템이 인식하도록 하고 허가받은 참여자에 한하여, 채팅하는 것처럼 PMIS로부터 출역이나 안전일정 등의 정보를 실시간 조회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4와 같이 본 시스템 개발에 사용된 SignalR은 HTML5의 Web Socket 방식을 지원하는 실시간으로 사용자간의 상호 작용 및 데이터 갱신이 필요한 응용프로그램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제공되는 .NET 라이브러리로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같이 실시간으로 데이터 갱신이 필요한 Real-Time 응용 프로그램 구축에 활용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타임노트와 마찬가지로 지식관리 및 정보 재활용을 위한 기능으로 현장에서 사진 기록 및 공유를 위해 소모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이기 위해 구현되었다. 사용자들이 업로드하거나 공유받은 모든 사진은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되기 때문에 협의방을 통해 주고 받거나 타임노트를 통해 업로드 한 모든 사진들을 날짜별, 그룹별로 관리하여 업무 사진 축적에 대한 안정성과 편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테스트는 개발된 협의기능이 의사소통과 정보관리에 활용되어 이슈해결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인지를 검증하기위해 수행되었다. 현장 실무자들이 프로트타입 시스템으로 실제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에 연구진에 의해 현장상황을 바탕으로 진도, 인원, 품질, 안전, 자재, 공사관리 등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대상 업무에 대한 적용성과 효과를 실무진과 공동으로 분석하였다.
최근 건설현장에서 정보 관리를 위해 사업관리 시스템 등 많은 정보기술이 도입되고 있으나 현장정보관리의 한계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정보 관리 체계의 실시간적 대응과 공유 그리고 정보의 재활용성 향상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 최근 기업 내 참여와 정보공유의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SNS 개념을 기반으로 건설현장의 실시간 정보 공유 및 관리를 할 수 있는 전략과 SNS기반 정보소통 및 공유를 위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개발하고, 현장적용 테스트를 통해 적용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가설 설정
1) 프로젝트 참여자들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네트워크가 구성되어야 한다. 인터뷰 결과에서 나타나듯 협력업체를 포함한 참여자들과 별도의 어려움 없이 인맥을 구축하고 쉽게 정보와 업무협의를 주고받을 수 있는 환경이 요구되어진다.
제안 방법
첫째, 기존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정보관리 기술 및 동향과 SNS를 활용한 업무 적용 현황을 문헌고찰 및 기존사례조사를 통해 파악하였다.
셋째, 도출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기존 기술을 개선한 시스템의 개발 방향과 활용전략을 제시하고 이를 반영한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장 적용성 테스트를 통해 건설현장용 SNS기반 정보관리 체계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고 기대효과를 도출하였다.
현장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기존 정보관리 및 의사소통의 문제점, 그리고 PMIS의 한계를 분석하였다. 인터뷰 대상이 15명 밖에 되지 않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는 아니라는 한계는 있지만, 현장에서 다자간의 협의가 필요하고 다량의 정보가 발생하는 현장에서 커뮤니케이션 및 정보관리에 한계가 있고 참여자간의 원활한 정보공유와 의사결정이 어렵다는 점은 파악할 수 있었으며, 다음과 같은 보완 점이 도출되었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개인단위로 관리되어야 하는 정보, 현장 및 본사간의 내부적으로 공유되어야 하는 정보, 프로젝트 참여자 모두에게 공유될 필요가 있는 정보 등으로 구분되는 특징을 고려하여 개인/회사/프로젝트 단위의 정보 공유 및 소통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성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시스템 관리자를 통해 OBS(Organization Breakdown Structure)를 관리하여 정보공유의 범위 설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SNS의 인적 네트워크 구성을 건설현장의 특성에 맞추어 OBS를 반영토록 하고 발생하는 정보의 공개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시스템 관리자를 통해 OBS(Organization Breakdown Structure)를 관리하여 정보공유의 범위 설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SNS의 인적 네트워크 구성을 건설현장의 특성에 맞추어 OBS를 반영토록 하고 발생하는 정보의 공개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실시한 요구사항 분석과 활용 전략을 바탕으로 시스템의 기능을 구성하고 개발을 진행하였다.
개발 시스템은 기존 사업관리시스템의 정보관리의 범위를 현장까지 넓힌다는 의미로 ‘PMIS+’로 명명되었다. 현장, 사용자, 그리고 스마트폰의 특성을 반영한 기능구성과 User Interface(UI), 처리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Web service를 통해 기존 PMIS와 연동되는 구조로 설계되었다. 본 시스템에 사용되는 Database는 PMIS의 DB를 공유하게 되며, PMIS와 스마트폰의 데이터 교환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을 활용한다.
그리고 새로 등록된 정보에 여러 조건으로 접근하기 위해 강력한 라우팅 경로 설정을 지원하는 Nancy를 Controller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Web Service를 통해 기존의 PMIS와 연동되는 구조로 설계하여 XML형식을 기반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인증된 Key를 발급 받아 PMIS 시스템의 내부를 모르더라도 공개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해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새로 등록된 정보에 여러 조건으로 접근하기 위해 강력한 라우팅 경로 설정을 지원하는 Nancy를 Controller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Web Service를 통해 기존의 PMIS와 연동되는 구조로 설계하여 XML형식을 기반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인증된 Key를 발급 받아 PMIS 시스템의 내부를 모르더라도 공개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해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별도의 모바일 PMIS를 구축하지 않더라도 SNS에서 PMIS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여 수립된 활용전략을 달성할 수 있었다.
5와 같이 구성하였다. 타임노트(Time note) 기능, 동료(Co-Worker)기능, 협의 및 PMIS 연계 (Chat)기능, 일정관리(Schedule) 기능, 사진첩(Gallery) 기능 등으로 구성하였으며 스마트 디바이스 뿐만 아니라 PC등의 다양한 기기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UI 커스터마이징 없이도 자동으로 화면이 변화되는 반응형 웹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동료 기능은 인적 네트워크 관리방안이라는 활용전략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관련된 참여자 간의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기능으로써 건설 산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회사, 프로젝트, 친구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OBS가 관리되어 별도로 인적네트워크 구성을 하지 않더라도 동료설정이 되어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으며 기존 건설현장에서 미리 형성되어 있는 프로젝트 조직을 기반으로 하는 폐쇄형 성격을 반영하되, 본사, 협력업체, 현장 동료 등 다양한 참여자들 간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먼저 협의를 위한 참여자들의 연락망 구성을 위해 PMIS의 참여자 정보를 활용하여 OBS를 구성하였으며 진도, 인원, 품질, 안전, 자재, 공사관리 등의 Issue 발생을 가정하여 협의기능을 활용하여 도면, 사진, 문서 등을 공유하며 단·장기적 해결방안을 수립하도록 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의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스템 활용 테스트가 종합건설업체 2개 현장에서 2차례에 걸쳐 실시되었다. 첫 번째 테스트는 1차 시스템 개발 완료 후 2 주일 동안 진행되었고, 테스트 결과를 통해 도출된 시스템의 보완 사항을 반영한 후 2차 테스트를 3일 동안 진행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의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스템 활용 테스트가 종합건설업체 2개 현장에서 2차례에 걸쳐 실시되었다. 첫 번째 테스트는 1차 시스템 개발 완료 후 2 주일 동안 진행되었고, 테스트 결과를 통해 도출된 시스템의 보완 사항을 반영한 후 2차 테스트를 3일 동안 진행하였다.
테스트는 개발된 협의기능이 의사소통과 정보관리에 활용되어 이슈해결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인지를 검증하기위해 수행되었다. 현장 실무자들이 프로트타입 시스템으로 실제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에 연구진에 의해 현장상황을 바탕으로 진도, 인원, 품질, 안전, 자재, 공사관리 등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대상 업무에 대한 적용성과 효과를 실무진과 공동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발생 정보의 축적 및 재활용에 대한 테스트를 위해 사무실에서 컴퓨터로 시스템에 로그인하여 현장 습득 정보를 바탕으로 문서작성을 수행하게 하였으며 마이노트기능을 활용하여 특이사항에 대한 기록을 남기도록 하였다.
전화기, 무전기, 면대면 의사소통 등 기존 현장의 정보통신수단을 SNS도입하여 보완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이론/모형
현장, 사용자, 그리고 스마트폰의 특성을 반영한 기능구성과 User Interface(UI), 처리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있으며, Web service를 통해 기존 PMIS와 연동되는 구조로 설계되었다. 본 시스템에 사용되는 Database는 PMIS의 DB를 공유하게 되며, PMIS와 스마트폰의 데이터 교환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을 활용한다. 기존 웹에서 실시간으로 정보를 받기 위해서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실시간 통신 방식인 COMET을 이용하여 서버에 푸쉬하는 방식으로 실시간 정보공유를 구현하였다.
성능/효과
둘째, 현장 조사와 인터뷰를 통해 현재 건설현장 정보 관리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SNS를 활용한 정보관리를 위한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첫째, 현장에서 참여자간 커뮤니케이션 현황은 15명 중 12명이 보통이하로 답하여 현장 커뮤니케이션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특히 항상 주기적으로 쉽게 연락을 주고받는 현장 및 본사직원들에 비해 특정 공정만 작업하는 협력업체 직원들에 대한 연락망을 관리하고 커뮤니케이션 하는 것은 쉽지 않음을 지적하였다.
둘째, 건설 현장의 커뮤니케이션 및 정보관리를 위해 활용되고 있는 PMIS는 현장 정보관리에 기대만큼의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장 관리자가 현장에서 수집한 정보를 보존한 후 사무실에서 가공하고 업로드하는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현장 발생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대처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셋째, 현장에서 다양한 정보 조회를 필요로 하는 상황이 발생하면, PMIS나 사무실 내 각종 문서, 동료 등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정보를 획득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관리자들의 정보 관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3일 동안 실무자의 정보처리과정을 밀착 관찰하였다. 약 60여건 정보가 발생되는 과정의 관찰을 통해 정보의 공유 수단은 Fig. 2에서와 같이 주로 무전기와 전화기인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이를 통해 습득한 정보는 주로 메모나 기억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C와 모바일 환경의 UI를 대응할 수 있도록 Bootstrap을 프론트 엔드 개발 라이브러리로 구성하여 HTML, CSS(Cascading Style Sheets), JavaScript 템플릿과 다양한 UI 컴포넌트, 인터랙션을 제공하여 한 번의 작업으로 PC나 모바일기기 등 다양한 기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다중기기 지원이라는 목표를 만족시켰다.
마지막으로 Web Service를 통해 기존의 PMIS와 연동되는 구조로 설계하여 XML형식을 기반으로 연동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인증된 Key를 발급 받아 PMIS 시스템의 내부를 모르더라도 공개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해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별도의 모바일 PMIS를 구축하지 않더라도 SNS에서 PMIS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하여 수립된 활용전략을 달성할 수 있었다.
먼저 협의를 위한 참여자들의 연락망 구성을 위해 PMIS의 참여자 정보를 활용하여 OBS를 구성하였으며 진도, 인원, 품질, 안전, 자재, 공사관리 등의 Issue 발생을 가정하여 협의기능을 활용하여 도면, 사진, 문서 등을 공유하며 단·장기적 해결방안을 수립하도록 하였다. 또한 PMIS와의 연계기능을 통해 현장에서 사업관리 시스템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출역관리, 안전일지 등의 정보 출력을 테스트하였고 실시간으로 정보가 업데이트가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현장 적용성 테스트 후 사용자 인터뷰를 토대로 시스템의 활용 방안을 살펴본 결과 현장에서 SNS의 활용을 통해 실시간 정보공유 및 의사소통 관리가 개선될 수 있음을 기대할 수 있었다. 인터뷰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면대면 의사소통 및 정보공유를 하지 않더라도 상당수 문제해결이 가능하고 심도 있는 검토가 필요한 경우에도 최소한의 조치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관리자의 생산성 및 작업 관리 효율성이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 출역현황, 안전일지 등의 PMIS 연계기능은 별도로 PMIS에 접속하지 않고도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PMIS의 활용도를 더욱 높여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양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건설 현장에서는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접속할 수 있는 모바일 디스플레이를 활용하여 의사소통을 할 수 있어야 하며, 모바일 기기뿐만 아니라 PC나 다른 기기에서도 동시 접근이 가능해야 한다. 이는 참여자간 실시간 정보 공유와 의사소통에 매우 효과적이며 향후 정보관리 재활용 측면, 예컨데 모바일기기에서 수집한 정보를 데스크탑 PC에서 문서작성시 재활용하는 과정에서도 매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
이러한 SNS의 효과는 앞서 언급한 기존 건설사업 관리 시스템의 한계인 실시간 정보 공유 및 의사결정 기능을 보완함으로써 현장의 정보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장에서 발생하는 정보에 대한 즉각적인 대처 및 공유, 활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극복하여 업무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과거 산업계에서 비즈니스 업무 수행을 하기 위해 고려되었던 별도의 장비 비용 없이 다양한 업무에 제품을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도래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상의 인터뷰 결과는 현업에서 실무자 대상의 조사 결과 건설현장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및 정보처리 프로세스에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SNS 기반의 정보관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건설현장에 활용한다면 업무 보안을 반영한 동료관리 기능을 바탕으로 다양한 참여자들과 실시간 협업을 할 수 있고 습득한 정보의 재활용을 통한 문서작성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존 PMIS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개인의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하여 기업단위의 지식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즉, SNS 기반의 정보관리 시스템을 활용하여 건설현장에 활용한다면 업무 보안을 반영한 동료관리 기능을 바탕으로 다양한 참여자들과 실시간 협업을 할 수 있고 습득한 정보의 재활용을 통한 문서작성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기존 PMIS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개인의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하여 기업단위의 지식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디바이스와 SNS에 기반한 정보 소통 및 공유체계는 발주자, 본사, 시공현장, 협력업체, 작업자 등의 이해당사자들이 현장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해결책을 논의하며 신속한 대응과 조치가 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한 PMIS의 주요 기능과 연동되어 참여자간 커뮤니케이션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정보를 쉽게 조회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습득된 정보를 활용하여 사무실에서 정형화된 정보로 가공하거나 문서화함으로써 문서작성의 질과 생산성이 향상됨으로써 기존 현장정보관리의 한계를 보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다양한 디바이스와 SNS에 기반한 정보 소통 및 공유체계는 발주자, 본사, 시공현장, 협력업체, 작업자 등의 이해당사자들이 현장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해결책을 논의하며 신속한 대응과 조치가 가능하게 할 것이다. 또한 PMIS의 주요 기능과 연동되어 참여자간 커뮤니케이션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정보를 쉽게 조회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습득된 정보를 활용하여 사무실에서 정형화된 정보로 가공하거나 문서화함으로써 문서작성의 질과 생산성이 향상됨으로써 기존 현장정보관리의 한계를 보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건설 산업에 있어 경험과 지식은 프로젝트의 성공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시스템을 기반으로 개인 및 프로젝트와 회사 단위의 정보관리를 함으로써 개인에게는 경험 및 노하우의 축적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회가, 마이노트 기능을 통해 회사에게는 프로젝트 단위의 경험을 그룹차원에서 관리하고 구성원들 간의 공유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건설현장 정보관리 체계 현황 분석에서는 인터뷰 대상이 15명으로 숫자가 적어 그 요구사항 분석결과에 대하여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는 점이 한계이지만, 추후 발주자, 건설사업관리자, 시공자 등 다양한 관점에서 건설현장정보관리 체계 분석과 요구사항 분석이 수행된다면 건설정보관리분야에 매우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이라 판단되며, 향후 연구주제로 제안하고자 한다.
- 협의 내용을 향후 사무실로 돌아와 다른 디바이스를 통해 다시 조회하여 이를 기반으로 정확한 업무문서를 작성함으로 문서작성의 질과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건설 현장에 도입된 정보기술의 한계점은?
그동안 효과적인 현장 관리를 위하여 건설 산업에서는 PMIS, Web Camera,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 다양한 시스템 및 정보기술을 도입하였다. 그러나 건설 현장에 도입된 정보기술들은 현장 기록의 번거로움, 장비의 한계 등으로 실시간 정보 수집 및 의사결정이 어렵기 때문에 건설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실시간으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Social Network Service란 무엇인가?
Social Network Service는 사람과 사람을 사회적인 관계 기반으로 연결해주는 서비스로 사용자 간의 자유로운 의사 소통과 정보 공유, 그리고 인맥 확대 등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생성하고 강화시켜주는 온라인 플랫폼을 의미한다. SNS서비스는 사용자들 간의 관계를 기반으로 웹 2.
기존 PMIS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기존 PMIS의 문제점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의 현장관리 시스템은 프로젝트 단위로 구성되어 있어 해당 프로젝트가 진행 중인 기간 동안만 활용되고, 프로젝트가 종료되면 개인 차원에서 지식 축적이 어렵다. 또한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PMIS정보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기는 하나 접속과 구동이 원활하지 않고 정해진 업무 이외의 자료 수집 및 작업자 간의 커뮤니케이션 등의 개인적인 활용이 낮다. 그리고 PMIS에 입력하는 과정에서 현장에서 수집된 정보들을 재가공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현장 관리자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정보들을 기록 및 보존하여 현장 사무실로 이동 후, 필요한 정보들을 분류하고 가공하여 PMIS에 업로드 해야 한다. 그런데 이런 정보들은 기록 작성 과정 중 손실 또는 누락될 수 있고 수작업으로 정보를 작성하는 과정에서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참고문헌 (25)
Ahn, C. S., Lee, M. K., Kim, Y. J., Kim, S. A., Yoon, S. W., and Chin, S. Y. (2010). "A study on the smart phone application development and its direction considering construction site characteristics", Proceedings of KICEM Annual Conference, KICEM, 10, pp. 113-114.
Back, J. G. (2003). "Managing Field-related Knowledge based on Knowledge Management System(KM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9(2), pp. 159-166.
Bayir, M. A., Demirabas, M. and Cosar, A. (2011). "A Web-based Personalized Mobility Service for Smartphone Applications." The Computer Journal, 54(5), pp. 800-814.
Bukowitz W. (1998). "At the core of a knowledge base", Journal of Knowledge Management, 1(3), pp. 215-224.
Choi, S. Y., Shin, T. H., Chin, S. Y., Kim, Y. S., and Kwon, S. W. (2009). "Construction Materials Management Process using RFID/USN-based Intelligent Portable Equipmen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9(1), pp. 669-672.
Google, and Ipsos MediaCT (2013). "Our Mobile Planet", (Mar. 25, 2014)
Han, D. G., and Lim, H. C. (2012). "Construct business process improvement research by analysing backup in data department - Prior to quality control business process", Journal of the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12(12), pp. 515-516.
Kang, M. S. (2003). "A study on Efficiency Increase of Construction Field Operations Using PDA", Proceedings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3(1), pp. 807-810.
Kim, B. S., Kang, Y. M., Kim, M. J., Park, J. M., Kim, O. K., and Choi, B. J. (2011). "Labor management Process of a construction site using Smart Phone", Proceedings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p. 357-350.
Kim, E. J., Park, M. S., and Lee, H. S. (2010). "Suggestion of Safety Management Smartphone Application based on PMIS", Proceedings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0(1), pp. 343-344.
Kim, T. H. (2009). "A Study on a Quantitative Analysis of Business Process - Information Technology Divide for a Construction Company", Soong-Sil University.
Kim, Y. W. (2006). "Problem Analysis through PMIS Case Studies", Chung-Ang University.
Kostova, T. (1999). "Transnational transfer of strategic organization practices: A contextual perspective", Acadeof Management Review, 24(2), pp. 308-324.
Lee, M. G., Ahn, C. S., Kim, Y. J., Kim, S. A., Yoon, S. W., and Chin, S. Y. (2010). "A Proposal on Efficient Construction Site Work Management Plan Using Smart-Phone", Proceedings of KICEM Annual Conference, KICEM, 10, pp. 317-318.
Lee, W. J., Shin, T. H., Chin, S. Y., Yoon, J. S., Kwon, S. Y., and Kim, Y. S. (2009). "A Process Reference Model and Information Model Development for RFID/USN based Construction Supply Chain Managemen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5(6), pp. 147-158.
Lee, W. J., and Choi, W. W. (2010). "A Case Introduction for Smart Phone Application in Constructi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1(5), pp. 30-34.
Park, C, S. (2009). "A Study on the Improvement for Efficient Model of PM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ark, M. S., Jang, Y. J., Lee, H. S., and Yoon, Y. S. (2010). "Integrate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based on Construction Portal",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1(4), pp. 12-21.
Pena-Mora, F. and Dwivedi, G. (2002). "Multiple device collaborative and real time analysis system for project management in civil engineering",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16(1), pp. 23-38.
Thanmhain, H. J. and D. L. Wilemon (1986). "Criteria for Controlling Project According to Plan", Project Management Journal, 17(2).
Tserng, H. P., Dzeng, R. J., Lin, Y. C., and Lin, S. T. (2005). "Mobile Construction Supply Chain Management Using PDA and Bar Codes", Computer-Aided Civil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20(4), pp. 242-264.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