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고등학교 생명 과학 I의 지필평가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일반계 고등학교 10개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2013학년도 생명 과학 I의 문제지 33부(선택형 문항 690개, 서답형 문항 162개)를 분석하였다. 문항에 대해서는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체계의 틀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과학과 평가틀에 근거하여 분류하였다. 선택형 문항의 경우 실제 정답률과 이원목적분류표에 제시된 난이도를 비교하였고, 서답형 문항의 경우 문항유형에 따른 문항 수와 배점을 비교하였다. 서답형 문항 중 서술형 문항에 대해서는 반응의 허용 정도, 자료 제시 여부, 출제 형식에 따라 구분하였다. 지필평가 문항 분석 결과, 서답형 문항의 비율이 19.0%로 선택형 문항의 비율(81.0%)보다 낮았다.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체계에 의한 분석 결과, 지식 차원에서 '개념적 지식'에 해당되는 문항이, 인지과정 차원에서 '이해하다'에 해당되는 문항이 많았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과학과 평가틀에 의한 분석에서 '지식' 영역에 해당되는 문항이 '탐구' 영역에 해당되는 문항보다 약 9배 많았다. 선택형 문항에서 이원목적분류표에 제시된 난이도와 실제 정답률을 비교한 결과, 일치하는 비율은 41.5%였다. 서답형 문항의 유형에 따른 문항 수의 비율을 비교한 결과, 단답형 문항의 비율이 34.0%였고, 그리기 문항은 '세포와 생명의 연속성' 단원에서 주로 출제가 되었다. 서술형 문항에서 반응의 허용 정도에 따라 분류한 결과, 모두 '응답 제한형'에 해당되었고, 그 중 '내용범위 제한형'(67.3%)에 해당되는 문항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자료 제시여부에 따라 분류한 결과 '자료 제시형'(65.4%)에 해당되는 문항이, 출제 형식에 따라 분류한 결과 '지식 서술형'(80.4%)에 해당되는 문항이 가장 많았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학교 현장에서 '탐구' 영역에 해당되는 문항을 더 많이 출제할 필요가 있으며, 서술형 문항의 실제적 비중을 높이면서, 다양한 유형으로 출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 연구는 고등학교 생명 과학 I의 지필평가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일반계 고등학교 10개교를 임의로 선정하여 2013학년도 생명 과학 I의 문제지 33부(선택형 문항 690개, 서답형 문항 162개)를 분석하였다. 문항에 대해서는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체계의 틀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과학과 평가틀에 근거하여 분류하였다. 선택형 문항의 경우 실제 정답률과 이원목적분류표에 제시된 난이도를 비교하였고, 서답형 문항의 경우 문항유형에 따른 문항 수와 배점을 비교하였다. 서답형 문항 중 서술형 문항에 대해서는 반응의 허용 정도, 자료 제시 여부, 출제 형식에 따라 구분하였다. 지필평가 문항 분석 결과, 서답형 문항의 비율이 19.0%로 선택형 문항의 비율(81.0%)보다 낮았다. Bloom의 신 교육목표 분류체계에 의한 분석 결과, 지식 차원에서 '개념적 지식'에 해당되는 문항이, 인지과정 차원에서 '이해하다'에 해당되는 문항이 많았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과학과 평가틀에 의한 분석에서 '지식' 영역에 해당되는 문항이 '탐구' 영역에 해당되는 문항보다 약 9배 많았다. 선택형 문항에서 이원목적분류표에 제시된 난이도와 실제 정답률을 비교한 결과, 일치하는 비율은 41.5%였다. 서답형 문항의 유형에 따른 문항 수의 비율을 비교한 결과, 단답형 문항의 비율이 34.0%였고, 그리기 문항은 '세포와 생명의 연속성' 단원에서 주로 출제가 되었다. 서술형 문항에서 반응의 허용 정도에 따라 분류한 결과, 모두 '응답 제한형'에 해당되었고, 그 중 '내용범위 제한형'(67.3%)에 해당되는 문항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자료 제시여부에 따라 분류한 결과 '자료 제시형'(65.4%)에 해당되는 문항이, 출제 형식에 따라 분류한 결과 '지식 서술형'(80.4%)에 해당되는 문항이 가장 많았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학교 현장에서 '탐구' 영역에 해당되는 문항을 더 많이 출제할 필요가 있으며, 서술형 문항의 실제적 비중을 높이면서, 다양한 유형으로 출제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aper and pencil test items of life science I in high school to diagnose problems of the test items developed by teachers, and to provide some implication for better assessment. 690 selection-type items and 162 supply-type items in life science I were coll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aper and pencil test items of life science I in high school to diagnose problems of the test items developed by teachers, and to provide some implication for better assessment. 690 selection-type items and 162 supply-type items in life science I were collected from 10 general high schools. In the analysis of test items, the ratio of the selection-type item and the supply-type item was 81:19 in the number of items based on item type, while the ratio was 74.4:25.6 in the distribution of marks, indicating that the distribution of marks compared to the number of items was higher in the supply-type items. In the analysis by the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items of 'conceptual knowledge' in the knowledge and those of 'understanding' in the cognition process were shown most in both the selection-type item and the supply-type item. In the analysis by the science assessment frameworks of NAEA, the items of 'knowledge' were shown 9 times more than those of 'inquiry'. When compared to the level of difficulty presented in the two-way specification table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the selection-type item, the concurrence was 41.5%. When compared to the ratio of number of items based on the item type of the supply-type items, the short-answer items were 34.0%, the descriptive items were 61.1%, and the drawing items were 4.9%. The drawing items were mainly developed in the unit of 'Cells and Continuity of Life'. When the descriptive items were classified by the acceptance of response, all the items were 'response restricted' type, and the items of 'restricted in content range' type among them were highest. When the items were classified by presentation of data, the items of 'presentation of data' type were highest(65.4%), and when classified by type of question, the items of 'knowledge description' type were highest(80.4%). In conclusion, it is needed to develop items belonging to 'inquiry' area more in the school, and to increase the ratio of the descriptive items, presenting various types of it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aper and pencil test items of life science I in high school to diagnose problems of the test items developed by teachers, and to provide some implication for better assessment. 690 selection-type items and 162 supply-type items in life science I were collected from 10 general high schools. In the analysis of test items, the ratio of the selection-type item and the supply-type item was 81:19 in the number of items based on item type, while the ratio was 74.4:25.6 in the distribution of marks, indicating that the distribution of marks compared to the number of items was higher in the supply-type items. In the analysis by the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items of 'conceptual knowledge' in the knowledge and those of 'understanding' in the cognition process were shown most in both the selection-type item and the supply-type item. In the analysis by the science assessment frameworks of NAEA, the items of 'knowledge' were shown 9 times more than those of 'inquiry'. When compared to the level of difficulty presented in the two-way specification table and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in the selection-type item, the concurrence was 41.5%. When compared to the ratio of number of items based on the item type of the supply-type items, the short-answer items were 34.0%, the descriptive items were 61.1%, and the drawing items were 4.9%. The drawing items were mainly developed in the unit of 'Cells and Continuity of Life'. When the descriptive items were classified by the acceptance of response, all the items were 'response restricted' type, and the items of 'restricted in content range' type among them were highest. When the items were classified by presentation of data, the items of 'presentation of data' type were highest(65.4%), and when classified by type of question, the items of 'knowledge description' type were highest(80.4%). In conclusion, it is needed to develop items belonging to 'inquiry' area more in the school, and to increase the ratio of the descriptive items, presenting various types of items.
과학과 지필평가에 대한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교사 대상 설문 결과에서 학교급, 성별, 교직 경력과 상관없이 ‘지식’ 영역의 비율이 50% 이상으로‘탐구’ 영역보다 출제 비율이 높았다(정은영, 최원호, 2014). 그런데 문항을 분석한 결과, ‘지식’ 영역에 해당되는 문항의 비율이 7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고(박현주, 2012; 오현석, 이기영, 2006), ‘지식’ 영역에서도 ‘기억’에 해당되는 문항의 비율이 높았다(김윤희 등, 2010).
지필평가는 어떤 면에서 적합한가?
지필평가는 다수의 학생들의 능력을 신속하고 쉽게 측정할 수 있으며, 과학지식의 기억과 이해, 적용 능력의 측정과 학습 결과적인 면을 평가하기에 적합하다(정미라, 2003). 이러한 이유로 지필평가는 학교 현장에서 내신의 70~80%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높은 타당도와 신뢰도를 얻기 위하여 검사 시행 후 얻은 문항 응답 자료를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NAEA의 과학과 평가틀에 의한 분석을 통해 어떤 점이 개선되어야 한다 보는가?
이는 초 ‧중학교 과학과 문항을 분석한 선행 연구 결과의 탐구 영역에 해당되는 문항의 비율보다 낮은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지식, 탐구, 태도 등을 고루 평가하도록 명시된 점을 고려할 때 생명 과학 I 에서 탐구 영역에 해당되는 문항의 비율을 높여야 할 것이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