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용자 반응 기반 이미지 감정 접근점 확장에 관한 연구
An Expansion of Affective Image Access Points Based on Users' Response on Image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5 no.3, 2014년, pp.101 - 118  

정은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컴퓨터 정보기술의 발전과 함께 감정 기반 컴퓨팅이 다양한 분야에 빠르게 발전하여 확산되고 있다. 감정 기반 컴퓨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이미지와 같은 멀티미디어의 콘텐츠의 감정 기반 색인과 검색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감정과 같은 추상적 개념은 주관적이며 이미지의 하위 수준 속성에서 유추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감정 색인은 통상적으로 난제로 여겨진다. 본 연구는 감정 색인 개선을 위해서 이미지에 대하여 이용자가 느끼는 감정 반응을 활용하여 이미지를 감정으로 접근하는데 있어서 확장된 접근점을 제공하는 방안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로피아나 DB에서 사랑, 행복, 분노, 공포, 슬픔의 5가지 기본 감정을 표현한 이미지 15건을 선정하여 20명의 연구 참여자에게 보여주고 용어를 수집하였다. 이용자의 이미지 반응에서 수집한 용어는 정련 후 총 399건의 고유한 용어로 나타났다. 고유한 399건의 용어는 전체 1,093회 출현하였으며, 동시출현단어분석을 수행하여 상위 출현한 용어 네트워크를 구현하였다. 동시출현단어분석 기반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기본 감정 용어와 함께 빈번하게 출현하는 용어를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기본 감정용어와 함께 확장되어 제시될 수 있는 용어는 형용사, 동작/행위 표현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iven the context of rapid developing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it is imperative for users to search and use images based on affective meanings. However, it has been difficult to index affective meanings of image since emotions of image are substantially subjective and highly abstract. In a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미지에 대한 이용자의 반응은 O'Connor, O'Connor, and Abbas(1999)가 제시한 바와 같이 이미지 접근에 있어서 중요한 속성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미지에 대한 이용자의 감정 반응을 이미지 감정 접근점 확장에 활용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이용자가 제시한 이미지의 감정 반응에 나타난 용어를 기반으로 동시출현단어분석을 수행하였다.
  • 감정색인을 위해서 이용자의 반응을 활용하는 관점의 연구가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용자의 반응을 감정 색인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이미지 감정 접근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 동시출현단어분석은 함께 빈번하게 등장한 용어가 개념적으로 유사하다는 가정에서 출발하여 학문의 지적구조 분석 등에 자주 사용되어 왔다 (He 1999). 본 연구는 이용자 감정 반응에서 동시에 빈번하게 출현한 용어를 분석하여 이를 네트워크 기반의 감정용어 확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동시출현단어와 네트워크분석 방식은 전통적인 매뉴얼 시소러스 구축 방식에 비해서 비용과 시간 측면에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이미지의 감정용어 관련 네트워크 구현과 시각적인 제시에 있어서 효과적이라고 기대한다.
  • 본 연구는 이용자의 감정 반응을 동시출현단어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기 위해서 연구 참여자의 감정반응 응답을 처리하고 정련과정을 거쳤다. 5가지 기본 감정을 표현하는 이미지에 대하여 이용자의 반응은 399건의 고유 용어로 나타났다.
  • 감정 색인은 기존의 연구들이 밝힌 바와 같이 본질적으로 이미지가 내포하고 있는 추상적이고 함의적 개념을 색인하는 난제 중에 하나이다. 이에 대하여본 연구는 최근 연구 흐름과 같이 이미지 감정 색인을 위해서 이용자의 반응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용자의 반응을 분석하여 동시에 빈번하게 출현하는 용어를 네트워크로 표현하여 이미지의 감정 접근점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이용자가 이미지에 대해서 반응한 결과를 분석하여 감정 접근점을 이용자 중심으로 확장하고자 하는 연구 목적을 수행하며, 궁극적으로 이미지 감정 접근과 이용 향상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서 두 가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 이에 대하여본 연구는 최근 연구 흐름과 같이 이미지 감정 색인을 위해서 이용자의 반응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용자의 반응을 분석하여 동시에 빈번하게 출현하는 용어를 네트워크로 표현하여 이미지의 감정 접근점을 확장하고자 하였다. ‘사랑’, ‘행복’, ‘분노’, ‘슬픔’, ‘공포’와 같은 5가지 기본 감정을 표현하는 이미지에 대하여 연구 참여자의 반응을 기반으로 동시출현단어분석과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기본 감정 용어의 확장을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1976)의 기본단계이론을 활용하여, 시소러스 설계를 위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시소러스 설계 시에 색상과 일반 범주를 위해서는 기본단계 용어에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하였다. 일관된 일련의 용어 구축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추상개념을 위해서는 용어의 계층구조와 연관구조를 통해 브라우징 기능을 확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멀티미디어 감정 기반의 접근과 이용연구에 있어 키워드와 같은 텍스트를 활용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따라서 감정 기반 컴퓨터 정보기술 환경에서 이미지와 같은 멀티미디어 감정 기반의 접근과 이용은 매우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그러나 여러 학자들은 이미지의 특성상 키워드와 같은 텍스트는 이차적인 표현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감정 색인과 검색에 있어서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고 동의한다(Fidel 1997; Jörgensen 2003; Wang and Wang2005). 이미지는 특히 시각적인 구성 요소에 기반을 둔 복합적이며 함축적 의미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미지 접근에 있어서 감정과 같은 추상적이고 함의적 접근점을 제공하는 것은 이미지 색인과 검색의 본질적인 어려움을 해결하려는 시도라고도 볼 수 있다.
감정의 색인과 검색 과정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실제적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용어에 대해서 색인가와 이용자, 이용자와 이용자 사이에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감정의 색인과 검색은 색인가와 이용자 사이의 주관적인 판단과 함께 이를 표현하는 용어 사용의 차이로 인해 검색 결과의 불일치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색인 가는 A라는 이미지에 ‘행복’이라는 감정 용어를 사용하여 색인한 경우에, 이용자 관점에서 ‘따뜻하다’, ‘즐겁다’ 등의 시각이 다른 용어를 사용하여 검색하는 경우에 검색 결과에 있어서 불일치가 일어나기 마련이다.
감정 기반 컴퓨팅 기술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최근 컴퓨터 정보 기술과 이용이 빠른 속도로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감정 기반의 컴퓨팅은 가장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분야이다(Rho and Yeo 2013; Tao and Tan 2005). 감정 기반 컴퓨팅 기술 발전을 위한 핵심 과제 중의 하나는 콘텐츠와 정보에 대하여 감정 기반의 접근과 이용이다. 따라서 감정 기반 컴퓨터 정보기술 환경에서 이미지와 같은 멀티미디어 감정 기반의 접근과 이용은 매우 중요한 연구 분야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유소영, 문성빈. 2004. 심미적 인상을 이용한 이미지 검색에 관한 실험적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1(4): 187-208. (Yu, So-Young and Sung-Been Moon. 2004. "An Exploratory Study of Image Retrieval Using Aesthetic Impress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1(4): 187-208.) 

  2. 이지연. 2002. 이용자 관점에서 본 이미지 색인의 객관성에 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9(3): 123-143. (Lee, Jee-Yeon. 2002. "An Investigation of the Objectiveness of Image Indexing from Users' Perspectiv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19(3): 123-143.) 

  3. 정선영, 정은경. 2014. 이미지 감정색인을 위한 시각적 요인 분석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1): 53-73. (Chung, SunYoung and EunKyung Chung. 2014. "An Exploratory Investigation on Visual Cues for Emotional Indexing of Im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1): 53-73.) 

  4. Armitage, Linda H. and Peter G. B. Enser. 1997. "Analysis of User Need in Image Archives."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23: 287-299. 

  5. Chung, Eun Kyung and Jung Won Yoon. 2009. "Categorical and Specificity Differences between User-Supplied Tags and Search Query Terms for Images. An Analysis of Flickr Tags and Web Image Search Queries." Information Research: An International Electronic Journal, 14(3). 

  6. Enser, Peter. G. B., Christine. J. Sandom, Jonathon. S. Hare, and Paul H. Lewis. 2007. "Facing the Reality of Semantic Image Retrieval." Journal of Documentation, 63(4): 465-481. 

  7. Europeana. . 

  8. Fidel, Raya. 1994. "User-centered Indexing."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45: 572-576. 

  9. Fidel, Raya. 1997. "The Image Retrieval Task: Im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Image Databases." The New Review Hypermedia and Multimedia, 3: 181-200. 

  10. He, Qin. 1999. "Knowledge Discovery through Co-Word Analysis." Library Trends, 48(1): 133-159. 

  11. J rgensen, Corinne. 1998. "Attributes of Images in Describing Tasks."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34(2-3): 161-174. 

  12. J rgensen, Corinne. 2003. Image Retrieval: Theory and Research. Lanham, MD: Scarecrow Press. 

  13. J rgensen, Corinne. 2004. "The Visual Indexing Vocabulary: Developing a Thesaurus for Indexing Images across Diverse Domain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41(1): 287-293. 

  14. Knautz, Kathrin and Wolfgang G. Stock. 2011. "Collective Indexing of Emotions in Videos." Journal of Documentation, 67(6): 975-994. 

  15. O'Connor, Brian, Mary O'Connor, and June Abbas. 1999. "User Reactions as Access Mechanism: An Exploration based on Captions for Image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50(8): 681-697. 

  16. Rho, Seungmin and Sang-Soo Yeo. 2013. "Bridging the Semantic Gap in Multimedia Emotion/Mood Recognition for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Supercomputing, 65(1): 274-286. 

  17. Robertson, Stephen E., M. E. Maron, and William S. Cooper. 1982. "Probability of Relevance: A Unification of Two Models for document retrieval." Inform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1: 1-21. 

  18. Rorissa, Abebe. 2008. "User-generated Descriptions of Individual Images versus Labels of Groups of Images: A Comparison Using Basic Level Theory."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44(5): 1741-1753. 

  19. Rorissa, Abebe. 2010. "A Comparative Study of Flickr Tags and Index Terms in a General Image Collection."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1(11): 2230-2242. 

  20. Rosch, Eleanor, Carolyn B. Mervis, Wayne D. Gray, David M. Johnson, and Penny Boyes-Braem. 1976. "Basic Objects in Natural Categories." Cognitive Psychology, 8: 382-439. 

  21. Schmidt, Stefanie and Wolfgang G. Stock. 2009. "Collective Indexing of Emotions in Images: a Study in Emotional Information Retrieval."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0(5): 863-876. 

  22. Shatford Layne, Sara. 1994. "Some Issues in the Indexing of Image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45: 583-588. 

  23. Stvilia, Besiki and Corinne J rgensen. 2009. "User-generated Collection-level Metadata in an Online Photo-sharing System."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1(1): 54-65. 

  24. Stvilia, Besiki, Corinne J rgensen, and Shuheng Wu. 2012. "Establishing the Value of Sociallycreated Metadata to Image Indexing."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4: 99-109. 

  25. Tao, Jianhua and Tieniu Tan. 2005. "Affective Computing: A Review." Affective Computing and Intelligent Interaction.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3784: 981-995. 

  26. Wang, Shangfei and Xufa Wang. 2005. "Emotion Semantics Image Retrieval: an Brief Overview."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3784: 490-497. 

  27. Yoon, Jung Won. 2009. "Towards a User-oriented Thesaurus for Non-domain-specific Image Collections." Information Processing & Management, 45(4): 452-4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