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가시나무(참나무과)의 분포 및 자생지 현황
The distribution and population status of Quercus myrsinifolia (Fagaceae) on the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4 no.3, 2014년, pp.165 - 170  

이정현 (인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이동혁 (인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최혁재 (창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 ,  () ,  최병희 (인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상록성 참나무류는 한반도 상록활엽수림을 구성하는 주요 수종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가시나무(Quercus myrsinifolia Blume)의 한반도 분포지와 자생현황은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와 표본에 근거한 현지조사를 토대로 가시나무의 자생지를 밝혀 한반도 내 분포를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또한 보존대책의 첫 단계로 자생 개체수 전수 조사를 실시 하였다. 조사결과, 한반도 내에서 가시나무는 전남 진도에 단 3개의 아집단으로 구성된 169개의 성체만이 제한적으로 자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오동정과 식물표본의 채집지 오기재가 종의 분포에 대한 혼란을 야기하는 주된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금번 조사결과는 한국산 가시나무의 효과적 보전을 위한 중요한 지표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식물표본의 정확한 데이터 기재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에서 이 종의 분포가 진도에만 제한되게 된 원인에 대해 논의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evergreen Quercus species are typical, dominant members of Korean evergreen forest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distribution status of Q. myrsinifolia Blume there. To enhance our knowledge about their natural range in Korea, we conducted field surveys based on specimen records and an ex...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Photographs of Quercus myrsinifolia on Jin Island: a, leaves with inflorescences - aments or catkins. b, The stems separated from a trunk. c, habitat deforested for cultivat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ang, C. S. 2007. Quercus L. In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W.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271-274. 

  2. Chang, C. S., H. Kim and Y. S. Kim. 2001. Reconsideration of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in Korea based on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1: 107-142. (in Korean) 

  3. Chang, C. S., H. S. Lee, T. Y. Park and H. Kim. 2005. Reconsideration of rare and endangered plant species in Korea based on the IUCN Red List Categories.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28: 305-320. (in Korean) 

  4. Cho Y. H. and H. G. Gwak. 1996. Studies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Mt. Yudal Urban Natural Park in Mokpo Ci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4: 79-96. (in Korean) 

  5. Choi T. B. 2001. Genetic Structure and Diversity of Three Oak Species (Quercus, Subgen. Cyclobalanopsis) in Korea and Conservation Strategy for Q. acuta Thunb. ex Murray. Ph. D.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in Korean) 

  6. Chung M. Y., J. D. Nason, J. Lopez-Pujol, T. Yamashiro, B. Y. Yang, Y. B. Luo and M. G. Chung. 2014. Genetic consequences of fragmentation on populations of the terrestrial orchid Cymbidium goeringii. Biological Conservation 170: 222-231. 

  7. Ito, S., K. Ohtsuka, and T. Yamashita. 2007. Ecological distribution of seven evergreen Quercus species in southern and eastern Kyushu, Japan. Vegetation Science 24: 53-63. 

  8. Kim, C. S. and Y. S. Jang. 1989.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vegetation of Daehksan Island.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12: 145-160. (in Korean) 

  9. Kim, J. S. and T. Y. Kim. 2011.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Gyeongi-do. Pp. 175. (in Korean) 

  10. Kondo, T., M. D. Crisp, C. Linde, D. M. Bowman, K. Kawamura, S. Kaneko and Y. Isagi. 2012. Not an ancient relic: the endemic Livistona palms of arid central Australia could have been introduced by humans.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279: 2652-2661. 

  11. Koo, K. A., W. S. Kong and C. K. Kim. 2001. Distribu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plants and climatic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36: 247-257. (in Korean) 

  12. Lee, B. Y., S. J. Lee, J. H. Yoon and J. H. Kim. 2009.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Biogeographical Subregions in Korea. National Institution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Pp. 167. (in Korean) 

  13. Lee, I. K., W. Kim, H. J. Lee and H. S. Yun. 1973. Notes on the flora of Dolsan Island.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5: 23-32. (in Korean) 

  14. Lee, J. H. 2012. Phylogeography of East Asian Evergreen Broad Leaved Trees and Taxonomy on the Korean Quercus Subgenus Cyclobalanopsis. Ph. D. Thesis, Inha University, Incheon. 

  15. Lee, J. H. and B. H. Choi. 2010. Distribution and northernmost limit on the Korean Peninsula of three evergreen trees.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0: 267-273. (in Korean) 

  16. Lee, J. H., D. H. Lee and B. H. Choi. 2013. Phylogeography and genetic diversity of East Asian Neolitsea sericea (Lauraceae) based on variations in chloroplast DNA sequences. Journal of Plant Research 126: 193-202. 

  17. Lee, J. S. and B. H. Choi. 2006. Distribution and red data of wild orchid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6: 335-360. (in Korean) 

  18. Lee, T.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oon Publishing Co., Seoul. Pp. 279. (in Korean) 

  19. Lee, W. C. 1996.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Pp. 624. (in Korean) 

  20. Lee, Y. N. 2006. New Flora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Seoul. (in Korean) 

  21. Liu, M. H., X. Y. Chen, X. Zhang and D. W. Shen. 2008. A population genetic evaluation of ecological restoration with the case study on Cyclobalanopsis myrsinaefolia (Fagaceae). Plant Ecology 197: 31-41. 

  22. Nakao, K., T. Matsui, M. Horikawa, I. Tsuyama and N. Tanaka. 2011. Assessing the impact of land use and climate change on the evergreen broad-leaved species of Quercus acuta in Japan. Plant Ecology 212: 229-243. 

  23. Ohashi, H., Y. Sasaki and K. Ohashi. 2006. The northernmost limit of distribution of Quercus acuta Thunb. (Fagaceae). Journal of Japanese Botany 81:173-187. (in Japanese) 

  24. Petit, R. J., J. Carlson, A. L. Curtu, M. L. Loustau, C. Plomion, A. Gonzalez-Rodriguez, V. Sork and A. Docousso. 2013. Fagaceae trees as models to integrate ecology, evolution and genomics. New Phytologist 197: 369-371. 

  25. Yang, S. J. 2013. The Distribution Analysis for the Flora of Uninhabited Islands in the Gyeongsangnamdo. M. S.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hangwon. (in Korean) 

  26. Wu, Z. Y. 1980. Vegetation of China. Science Press, Beijing.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