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형태형질에 기초한 동아시아산 황기속 식물의 계통분류
Phylogenetic study of East-Asia Astragalus L.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4 no.3, 2014년, pp.191 - 201  

송일배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  허권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자원응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아시아산 황기속의 외부형태학적 특징과 과피, 종피의 해부구조 및 표면 형태를 조사하여 분류학적으로 유용한 형질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황기속의 외부형태, 과피, 종피의 형태 및 해부학적 특징 중 생활사, 소엽의 형태, 꽃차례, 꽃잎의 색, 종자의 색, 과피의 형태, 과피 표면에서 털의 존재유무, 봉선의 구조, 그리고 내과피 층의 두께가 종을 나누는 식별형질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에서 황기라는 약재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4종의 형태 및 해부학적인 특성을 비교한 결과, 서로 같은 군으로 유집되었다. 한편, 분류학적으로 논쟁이 되고 있는 정선황기와 갯황기에서는 두 분류군간에 형태적 차이점을 발견 할 수 없었다. 따라서 금후 정선황기, 갯황기, A. bhotanensis의 종간 분류학적 처리를 명확히 규명하기 위하여 염기서열 및 분자세포학 수준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find useful taxonomic morphological characters, 17 taxa from East-Asia Astragalus and Oxytropis anertii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seed coat structure, fruit surface, and fruit anatomical structures were selected to classify the species in Astragalus. As a results, useful morpho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현재까지 수집된 동아시아산 황기속의 외부형태학적 특징은 물론 종자 및 과피의 횡단면 구조와 표면 형태를 조사하여 분류학적으로 유용한 형질을 찾고자 수행되었으며, 그 자료를 토대로 황기속내의 종간 유연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에서 황기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종의 유연관계를 파악하고 아울러 분류학적으로 논쟁의 여지가 있는 정선황기와 갯황기의 형태 및 해부학적 특성을 비교하여 형태형질 수준에서 종간 유연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현재까지 수집된 동아시아산 황기속의 외부형태학적 특징은 물론 종자 및 과피의 횡단면 구조와 표면 형태를 조사하여 분류학적으로 유용한 형질을 찾고자 수행되었으며, 그 자료를 토대로 황기속내의 종간 유연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에서 황기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종의 유연관계를 파악하고 아울러 분류학적으로 논쟁의 여지가 있는 정선황기와 갯황기의 형태 및 해부학적 특성을 비교하여 형태형질 수준에서 종간 유연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황기는 어디에 분포하는가? adsurgens var. alpina)는 한국 특산식물로 제주도의 고지대에만 분포하는 희귀식물이며,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알려져 있다(Kim, 2004). 정선황기(A.
황기속의 꽃은 무슨 색인가? 황기속에 대한 형태학적 특징은 잎이 기수우상복엽이고, 탁엽이 있거나 없으며, 잎자루와 붙는 것도 있다. 꽃은 홍자색 또는 노란색이며, 6-8월에 총상화서로 달린다. 꽃받침은 통형, 선단의 거치는 고르고 자방은 자루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Lee, 1980).
황기속은 어디에 분포하는가? 황기속(Astragalus L.)은 약 2,500종의 초본과 관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Lock and Simpson, 1991; Mabberly, 2008), 동아시아, Sino-Himalayan, 미국 북서부, 그리고 남아메리카의 안데스 지역 등 세계적으로 폭넓게 분포하고 있다(Kim, 2004). 황기속에 대한 형태학적 특징은 잎이 기수우상복엽이고, 탁엽이 있거나 없으며, 잎자루와 붙는 것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gohary, I. H. and A. H. Mohamed. 2007. Seed morphology of Acacia in Egypt and its taxonomic signific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Agriculture and Biology 9(3): 435-438. 

  2. Choi, I. S., S. Y. Kim and B. H. Choi. 2013. Taxonomic position and genetic differentiation of Korean Astragalus mongholicus Bunge.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3(1): 12-21. 

  3. Chung, T. H. 1957. Korean Flora. Sinjisa, Seoul. pp. 336-339. (in Korean) 

  4. Dong, T. T. X., X. Q. Ma, C. Clarke, Z. H. Song, Z. N. Ji, K. L. Chun and K. W. K. Tsim. 2003. Phylogeny of Astragalus in China: molecular evidence from the DNA sequences of 5S rRNA spacer, ITS, and 18S rRNA. Journal of Agriculture Food Chemistry 51: 6709-6741. 

  5. Hong, L. W. 2005.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Medicago truncatula pod wall and seed coat. Annals of Botany 95: 737-747. 

  6. Huh, M. K., K. H. Bang and J. H. Cho. 2004. Genetic diversity and discrimination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and A. membranaceus var. mongholicus using RAPD makers.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and Pathology 18(3): 825-829. (in Korean) 

  7. Im, R. J. 1975. Flora of Coreana 4. Science and Technology Publishing House Pyongyang, Korea. Pp. 115-120. (in Korean) 

  8. Kim, S. Y. 2004. Taxonomic study on the genus Astragalus (Leguminosae) in Korea. Submitted to the faculty of Inha Univ.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biology. (in Korean) 

  9. Lee, C.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Press, Seoul. pp. 491-492. (in Korean) 

  10. Lee, C. B., Y. S. Kim, J. S. Kim and J. S. Lee. 1985. Plant Taxonomy. Hyangmunsa Press, Seoul. (in Korean). 

  11. Lee, W. 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Pp. 555-558. (in Korean) 

  12. Lee, Y. N. 1981. New taxa of Korean flora. Korean Journal of Botany 24: 27-30. (in Korean) 

  13. Lim, J. H., D. C. Kim, J. S. Sung, K. H. Bang, O. T. Kim, S. W. Cha and H. W. Park. 2007. Discrimination of Astragalus membranaceus (Fisch) Bunge from A. membranaceus (Fisch) Bunge var. mongholicus (Bunge) with SCAR marker.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5: 51-55. (in Korean) 

  14. Liston, A. and J. A. Wheeler. 1994.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genus Astragalus (Fabaceae): evidence from the chloroplast genes rpoC1 and rpoC2. Journal of Biochemical Systematics and Ecology 22: 377-388. 

  15. Lock, J. M. and K. Simpson. 1991. Legumes of West Asia, a check list. Royal Botanical Gerdens, Kew, England. 

  16. Ma, X. Q., J. A. Duan, D. Y. Zhu, T. T. X. Dong and K. W. K. Tsim. 2000. Species identification of radix Astragali (Huangqi) by DNA sequence of its 5S-rRNA spacer domain. Phytochemistry 54: 363-368. 

  17. Mabberley, D. J. 2008. Mabberley's plant book. 3rd edition. Cambridge. Pp. 77, 474. 

  18. Moise, J. A., S. Han, L. Gudynaite-Savitch, D. A. Johnson and B. I. A. Miki. 2005. Seed coats: structure, development, composition, and biotechnology. In Vitro Cell and Development Biology-Plant 41: 620-644. 

  19. Osaloo, S. K., A. A. Maassoumi and N. Murakami. 2003. Molecular systematics of the genus Astragalus L. (Fabaceae): Phylogenetic analyses of nuclear ribosomal 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and chloroplast gene ndhF sequence. Plant Systematics and Evolution 242: 1-32. 

  20. Park, J. W.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 of Korea.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21. Riahi, M. and S. Zarre. 2009. Seed development in Astragalus cemerinus and A. ruxcifolius (Fabaceae), and ITS systematic implications. Acta biologica cracoviensia series Botany 51: 111-117. 

  22. Sanderson, M. J. and M. F. Wojciechowski. 1996. Diversification rates in a template legume clade: are there so many species of Astragalus (Fabaceae). American Journal of Botany 83: 1488-1502. 

  23. Tiwari, S. P. and V. S. Bhatia. 1995. Characters of pod anatomy associated with resistance to pod-shattering in soybean. Annals of Botany 76: 483-485. 

  24. Toh, C. A. 1959. Histological comparison of Astragalus membranaceus vs. Astragalus membranaceus var. alpinus. A master's thesis of Ehwa Womans University. Pp. 1-17. (in Korean) 

  25. Toh, C. A. 1971. A cytotaxonomic study on the Astragalus membranaceus and Astragalus membranaceus var. alpinus.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 57-61. (in Korean) 

  26. Yaklich, R. W., E. L. Vigil, E. F. Erbe and W. P. Wergin. 1992. The fine structure of aleurone cells in the soybean seed coat. Protoplasma 167: 108-1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