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엽록체 DNA를 이용한 섬괴불나무(Lonicera insularis Nakai)의 종내변이 및 지리학적 연구
Intraspecific variation and geographic study of Lonicera insularis (Caprifoliaceae) based on chloroplast DNA sequences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4 no.3, 2014년, pp.202 - 207  

정금선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김미선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이웅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박재홍 (경북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섬괴불나무(Lonicera insularis Nakai)는 인동과(Caprifoliaceae) 인동속(Lonicera L.) 에 속하는 관목으로 울릉도와 독도의 해안가 지역에 분포하는 한국특산식물이다. 섬괴불나무와 인동속의 근연종인 괴불나무, 청괴불나무, 각시괴불나무, 길마가지나무, L. morrowii, 병꽃나무 7분류군과의 유연관계를 밝히고, 섬괴불나무의 종내 변이를 확인하기 위해 엽록체 DNA 5개 영역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체 3.2kb의 염기서열이 결정되었고, 섬괴불나무와 L. morrowii 에서 2개의 엽록체 DNA haplotype(CP01-02)이 결정되었다. 섬괴불나무는 한 개의 염기치환으로 CP01 type과 CP02 type으로 구별되었으며, 일본의 L. morrowii와는 CP02 type을 공유하였다. 섬괴불나무에서 확인 된 두 개의 CP type은 1) 진화적으로 뚜렷한 두 개 이상의 계통을 가지며, 이는 하나 이상의 유입경로를 통해 울릉도로 유입되었을 가능성을 높게 지지한다. 그리고, 2) 형태학적으로 구별되는 섬괴불나무와 L. morrowii의 CP type의 공유는 두 종의 지리적인 장벽에 의한 이소적종분화의 결과로 추론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울릉도와 독도의 섬괴불나무의 종내 변이 및 다양성에 관한 결과는 울릉도 및 독도 식물의 분자생물지리학적 연구로 대양섬의 생물학적 진화양상과 종 분화 과정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nicera insularis Nakai (Caprifoliaceae) is Korean endemic plant that lives along the shore of Ulleungdo and Dokd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phylogenetic relationship within six species (L.maackii, L.chrysantha, L.subsessilis, L. harai, L. morrowii) of genus Lonicera L. and Wigela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울릉도와 독도에 분포하는 특산식물인 섬괴불나무의 엽록체 DNA 염기서열을 이용한 분자학적 연구를 통해 근연종간의 유연관계를 밝히고, 기원을 추정하여 울릉도와 독도의 식물지리학적 중요성과 보전의 필요성을 설명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울릉도와 독도의 섬괴불나무의 종내 변이 및 다양성을 분석하고 지리적 분포 양상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울릉도 및 독도 식물의 분자생물지리학적 연구로 대양섬의 생물학적 진화양상과 종 분화 과정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동속은 몇 종이 전세계에 분포하는가? ) 에 속하는 관목으로 울릉도와 독도의 해안가 지역에 분포하는 한국특산식물이다. 인동속은 약 200여종이 전세계에 분포하고 있으며, 중국(약 100여종), 일본(약 25여종), 한국(약 30여종)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지역이 주요 분포지로 알려져 있다(Nakai, 1927; Cronquist, 1981; Ohwi, 1984; Chung, 1985).
섬괴불나무는 무엇인가? 섬괴불나무(Lonicera insularis Nakai)는 인동과(Caprifoliaceae) 인동속(Lonicera L.) 에 속하는 관목으로 울릉도와 독도의 해안가 지역에 분포하는 한국특산식물이다. 인동속은 약 200여종이 전세계에 분포하고 있으며, 중국(약 100여종), 일본(약 25여종), 한국(약 30여종)을 중심으로 동아시아 지역이 주요 분포지로 알려져 있다(Nakai, 1927; Cronquist, 1981; Ohwi, 1984; Chung, 1985).
섬괴불나무의 어떤 부위가 다른 분류군들과 구별 짓는 주요 고유 형질인가? 울릉도와 독도에 분포하는 섬괴불나무는 소지가 비어있고, 꽃은 5-6월에 개화하고 꽃색은 백색에서 황색으로 변한다. 식물체 전체에 밀생하는 부드러운 융모는 다른 분류군들과 구별 짓는 주요 고유 형질이다(Nakai, 1927). 섬괴불나무의 계통학적 연구와 기원에 관한 연구는 Sun(2002), Jeon(1993)등의 연구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ung, M. K. 1985. Trees of China. Vol. 2: 1850-1865. 

  2. Cronquist, A. 1981. An inter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Columbia Univ. Press. Pp.1002-1016. 

  3. Doyle, J. J. and J. L. Doyle 1987. A rapid DNA isolation procedure for small quantities of fresh leaf tissue. Phytochemical Bulletin 19: 11-15. 

  4. Hamilton, M. B. 1999. Four primer pairs for the amplification of chlotoplast intergenic regions with intraspecific variation. Molecular Ecology 8: 521-523. 

  5. Heuertz, M., S. Fineschi and M. Anzidei. 2004. Chloroplast DNA variation and postglacial recolonization of common ash (Fraxinus excelsior L.) in Europe. Molecular Ecology 13: 3437-3452. 

  6. Hewitt, G. 2000. The genetic legacy of the Ice Ages. Nature 405: 907-913. 

  7. Howe, H. F. and J. Smallwood.1982. Ecology of seed dispersal.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13: 201-228. 

  8. Jeon, S. H. 1993. Taxonomic Studies on the Genus Lonicera in Korea.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9. Johnson, L. A., and D. E. Soltis. 1994. matK DNA-sequences and phylogenetic reconstruction in Saxifragaceae s-str. Systematic Botany 19: 143-156. 

  10. Kim, Y. S. 1998. Plant ecosystem of Ulleung and Dokdo islands. A Synthetic Research of Ulleung and Dokdo islands, Pp.621-678. Yeungnam University Institute of Korean Culture, Gyeongsan. (in Korean) 

  11. Lee, C. and J. Wen. 2004. Phylogeny of Panax using chloroplast trnC-trnD intergenic region and the utility of trnC-trnD in interspecific studies of plant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31: 894-903. 

  12. Lee, T. B. 1979.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Pp. 696-701. 

  13. Lee, W. T. 1996.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amy Press, Seoul. (in Korean) 

  14. Lee, W. and J.-H. Pak. 2010. Intraspecific sequence variation of trnL/F intergenic region (cpDNA) in Sedum takesimense Naku (Crassulaceae) and aspects of geographic distribution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0: 157-162. 

  15. Nakai, T. 1927. Trees and shrubs indigenous in Japan Proper. Tokyo, Vol.1: 628-687. 

  16. Nakai, T. 1938. A new classification of the genus Lonicera in the Japanese Empire together with the diagnoses of new species and new varieties. The Journal of Japanese Botany Vol. XIV(6): 359-375. 

  17. Ohwi, J. 1984. Flora of Japan. National Science Museum. Tokyo. Pp. 839-843. 

  18. Jakubowsky, M. G., P. M. Schluter, T. Fer, H. Kato, T. F. Stuessy and B.-Y. Sun. 2006. Evolution of Dystaenia takesimana (Apiaceae) edemic to Ulleung Island, Korea. Plant Systematics and Evolution 256: 159-170. 

  19. Rendell, S. and R. A. Ennos. 2003. Chloroplast DNA diversity of the dioecious European tree Ilex aquifolium L. (English holly). Molecular Ecology 12: 2681-2688. 

  20. Schaal, B. A., D. A. Hayworth, K. M. Oseni, J. Rauscher and W. A. Smith. 1998. Phylogeographic studies in plants: problems and prospects. Molecular Ecology 7: 465-474. 

  21. Sun, B. Y. and T. F. Stuessy. 1998. Preliminary observations on the evolution of endemic angiosperms of Ulleung Island, Korea. Evolution and Speciation of island plants. Combridge University Press, UK. Pp. 181-202. 

  22. Sun, B. Y., M. R. Sul, J. A. Im, C. H. Kim and T. J. Kim. 2002. Evolution of endemic vascular plants of Ulleungdo and Dokdo in Korea-floristic and cytotaxonomic characteristics of vascular flora of Dokdo.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32: 143-158. 

  23. Swofford, D. L. 2002. PAUP*. Phylogenetic analysis using parsimony (*and other method). Version 4.0b10. Sinauer Associates, Sunderland, Mass. 

  24. Taberlet, P., L. Gielly, G. Pautou and J. Bouvet. 1991. Universal primer for amplification of three non-coding regions of chloroplast DNA. Plant Molecular Biology 17: 1105-1109. 

  25. Taberlet, P., L. Fumagali, A. G. Wust-Saucy and J. F. Cosson. 1998. Comparative phylogeography and postglacial colonization routes in Europe. Molecular Ecology 7: 453-464. 

  26. Thompson, J. D., T. J. Gibson, F. Plewniak, F. Jeanmougin and D. G. Higins. 1997.The CLUSTAL X windows interface: flexible strategies for multiple sequence alignment aided by quality analysis tools. Nucleic Acids Research 22: 4676-48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