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홀로세 기후최적기 잔존집단의 식물지리학적 연구
Phytogeographic study on the Holocene hypsithermal relict plant populations in the Korean peninsula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4 no.3, 2014년, pp.208 - 221  

김진석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정재민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김선유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김중현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이병윤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홀로세 기후최적기는 후빙기 동안에 가장 온난했던 시기로서 현재의 기온보다 $1-4^{\circ}C$ 높았다. 남방계식물들은 홀로세 기후최적기에 북쪽 또는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으로 분포가 확장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남해안아구 또는 남부아구가 주 분포역이고 주 분포의 북방한계선에서 100 km이상 격리된 잔존집단이 존재하는 근거리 산포형의 남방계식물을 '기후최적기 잔존종'으로 규정하였다. 식물상 자료, 표본정보, 생태학적 연구 자료와 현장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기후최적기 잔존종을 선정하고 이들의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화분층위학과 고생태학적 연구 자료를 근거하여 본 가설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히어리, 소사나무, 노각나무와 같은 홀로세 기후최적기 잔존종은 기후최적기 동안에 북쪽으로 이주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olocene Hypsithermal Interval(or climatic optimum) was the warmest post-glacial period: temperatures rose to as much as $1-4^{\circ}C$ above present temperatures. We hypothesize that southern plants expanded northward and upward during the Hypsithermal Interval. The Hypsithermal re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한반도의 남부지역이 분포역의 중심인 남방계 식물들이 수백 km가량 떨어진 중부지방까지 언제, 어떤 경로로 이동을 하였고, 언제 주 분포역의 집단들과 격리가 되었는가?’ 대해서는 논의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 분포역과 원거리 격리된 잔존집단이 한반도의 중부지방에 존재하는 남방계 식물에 대한 식물지리학적 고찰을 통하여 기후최적기의 한반도 식생과 기후환경을 추정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정확한 식물분포 변화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와 남해안아구 또는 남부아구가 주 분포역인 남방계식물로서 주 분포 북방한계선에서 100 km이상 격리된 잔존집단이 존재하고, 중력산포와 기계적 산포 또는 근거리 바람산포 등의 근거리 산포에 의해 큰 개체군을 형성하며 이동하는 종을 기후최적기 잔존종(Hypsithermal relict)으로 규정하였다. 조사대상 종을 선정하기 위하여 현재 한반도의 중부지방에 잔존집단이 존재하는 주요 남방계식물들에 대한 산포형과 주 분포지역과의 격리거리 등을 조사하였다(Table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반도의 특징은? 한반도는 단위 면적에 비해 식물종다양성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평가되는 지역으로서 식물종의 분포역이 복잡한 현상을 보이고, 지질시대에 살았던 잔존종(relict species)과 고유종이 다수 분포하는 것이 특징이다(Kong and Lim, 2008). 이러한 식물상 특징은 한반도의 기후, 지형, 지질 그리고 지리적 위치 등의 무생물적 환경과 과거 기후변천에 따른 식생 이동 과정에서 나타난 식물종들의 생태적 특징 등이 상호작용한 결과이다(Lee and Yim, 2002).
최후빙하기 이후의 식생 경쟁과 이주과정에서 노각나무가 히어리, 소사나무 등과는 이동시기와 분포양상에서 차이를 보였을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의 근거는? 생태적인 특징을 종합해보면 노각나무는 남방계식물로는 비교적 내한성이 강한 편이며, 애추 및 바위지대, 산지 능선을 선호하는 것을 보아서는 내건성이 비교적 강한 양지식물로 분류할 수 있지만 다른 연구대상종에 비해서는 내음성이 강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최후빙하기 이후의 식생 경쟁과 이주과정에서 히어리, 소사나무와 생태적인 특징이 다른 노각나무는 이들 종과는 이동시기와 분포양상에서 차이를 보였을 가능성이 있다.
한반도의 식물상 특징은 무엇의 결과인가? 한반도는 단위 면적에 비해 식물종다양성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평가되는 지역으로서 식물종의 분포역이 복잡한 현상을 보이고, 지질시대에 살았던 잔존종(relict species)과 고유종이 다수 분포하는 것이 특징이다(Kong and Lim, 2008). 이러한 식물상 특징은 한반도의 기후, 지형, 지질 그리고 지리적 위치 등의 무생물적 환경과 과거 기후변천에 따른 식생 이동 과정에서 나타난 식물종들의 생태적 특징 등이 상호작용한 결과이다(Lee and Yim, 2002). 과거 기후의 변천과정에서 식물종과 식생대는 한반도를 거처 남북으로 이동하였으며, 한반도는 흔히 백두대간으로 부르는 다수의 아고산대 산지로 구성된 산맥이 남북으로 길게 뻗어있는 지리적 특성상 과거 식생과 분포의 증거로 인정되고 있는 격리분포종이 한반도의 수평, 수직적인 다양한 피난처(refugia)에 잔존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Chambers, F. M. 1999. Comment on D. M. Wilkinson (1997) 'Plant colonization: are wind dispersed seeds really dispersed by birds at larger spatial and temporal scales?'. Journal of Biogeography 26: 425-427. 

  2. Chang, C. H. and C. H. Kim. 1982. Last-quaternary vegetation in the lake of Korea. Korean Journal of Botany 25: 37-53. 

  3. Choi, K. R. 1998. The post-glacial vegetation history of the lowland in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Ecology 21: 169-174. 

  4. Chung, C. H. 2007. Vegetation response to climate change on Jeju island, South Korea, during the last deglaciation based on pollen record. Geosciences Journal 11: 147-155. 

  5. Chung, C. H. and C. K. Ryu. 2012. Holocene vegetation dynamics and its environmental implications inferred from pollen record in Gimhae area, Korea.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8: 1-10. (in Korean) 

  6. Cox, C. B. and P. D. Moore. 1973. Biogeography: an Ecological and Evolutionary Approach. Blackwell publishing, Oxford. Pp. 428. 

  7. Davis, D. and S. Browne. 1996. Natural History of Nova Scotia, Vol. I: Topics and Habitats. Nova Scotia Museum of Natural History and Nimbus Publishers, Nova Scotia. Pp. 82-84. 

  8. Du, Y., X. Mi, X. Liu, L. Chen and K. Ma. 2009. Seed dispersal phenology and dispersal syndromes in a subtropical broadleaved forest of China.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8: 1147-1152. 

  9. Evstigneeva, T. V. and N. N. Naryshkina. 2012. Holocene vegeta tion changes on the north-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the palynological data. Acta Palaeobotanica 52: 147-155. 

  10. Habel, J. H., T. Assmann, T. Schmitt and J. C. Avise. 2010. Relict species, from past to future. In Phylogeography and Conservation Biology. Habel, J. C and T. Assmann (eds.), Springer, Heidelberg. Pp. 1-5. 

  11. Hamilton, K. G. A. 1994. Leafhopper evidence for origins of northeastern relict prairies (Insecta: Homoptera: Cicadellidae). In Proceedings of the Thirteenth North American Prairie Conference: Spirit of the Land, our Prairie Legacy. Wickett, R. G. et al. (eds.), Preney Print & Litho Inc., Windsor. Pp. 61-70. 

  12. Hampe, A. and A. S. Jump. 2011. Climate relicts: past, present, future. Annual Review of Ecology, Evolution, and Systematics 42: 313-333. 

  13. Huntley, B. 1991. How plants respond to climate change: migration rates, individualism and the consequences for plant communities. Annals of Botany 67: 15-22. 

  14. Hwang, S. and S. O. Yoon. 2011. Holocene climate characteristics in Korean peninsula with the special reference to sea level changes.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18: 235-246. (in Korean) 

  15. Jang, B. O. 2010. Palynological Study on Development and Differentiation of Cool-Temperate Forests in the Southern Region of DMZ in the Korean Peninsula.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Ulsan, Ulsan. Pp. 163. (in Korean) 

  16. Jang, B. O., D. Y. Yang, J. Y. Kim and K. R. Choi. 2006. Postglacial vegetation history of the central 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9: 573-580. (in Korean) 

  17. Kim, C. S., J. G. Koh, M. O. Moon, G. P. Song, S. Y. Kim, J. Kim, D. S. Kim, J. H. Tho and K. M. Song. 2008. Rare Plants of Jeju Island.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Pp. 403. (in Korean) 

  18. Kim, H., W. C. Kang, K. H. Lee, Y. C. Choi and C. S. Chang. 1998. The ecological respect of rare plants, Corylopsis glabrescens Frachet et Savatier var. totoana (Makino) Yamanaka. Bulletin of The Arboretum Seoul National University 18: 44-56. (in Korean) 

  19. Kim, H. R., S. O. Yoon, S. Hwang and B. C. Lee. 2012. Reconstruction of the paleo-environment during the upper Pleistocene at Seongjeong-dong, Cheonan-si, inferred from pollen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7: 179-192. (in Korean) 

  20. Kim, J. M. 2006. Coastal Landforms of the Postglacail Climatic Optimum Period in the Southeastern Coast, Korea. M.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Pp. 26. (in Korean) 

  21. Kim, J. S., J. M. Chung, B. C. Lee and J. H. Pak. 2006. The plant species composition and phytogeographical significance on algific talus slope in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s Taxonomy 36: 61-90. (in Korean) 

  22. Kominami, Y. 1999. Spatial distribution of seeds dispersed by birds. In Shushi Sanpu: Tasukeai no Shinkaron 1, Tori ga Hakobu Shushi. Ueda, K. (ed.), Tsukiji-Shokan Pub. Co., Tokyo. Pp. 17-26. (in Japanese) 

  23. Kong, W. S. 2006. Biogeography of native Korean Pinacea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1: 73-93. (in Korean) 

  24. Kong, W. S. and J. H. Lim. 2008. Disjunctive distribution of Vaccinium vitis-idaea and thermal condition.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3: 495-510. (in Korean) 

  25. Korea National Arboretum. 2014. Korea Biodiversity Information System. Retrieved Jun. 9, 2014, from http://www.nature.go.kr. 

  26. Kwon, H., J. E. Ryu, C. Seo, J. Kim, D. O. Lim and M. H. Suh. 2012. A study 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orylopsis coreana using SDM.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1: 735-743. (in Korean) 

  27. Lee, E. H., J. E. Ryu, D. O. Lim, H. L. Choung and J. S. Lee. 2007. Micrometeorological factors and restriction to azimuth distribution of Corylopsis coreana popula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5: 363-369. (in Korean) 

  28. Lee, W. C. and Y. J. Yim. 2002. Plant Geograph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nchoen. Pp. 412. (in Korean) 

  29. Lee, Y. S. 2002. Plant Taxonomy. Woosung Publishing Co., Seoul. Pp. 575. (in Korean) 

  30. Lennox, B., I. Spooner, T. Jull and W. P. Patterson. 2010. Post-glacial climate change and its effect on a shallow dimictic lake in Nova Scotia, Canada. Journal of Paleolimnology 43: 15-27. 

  31. Lim, D. O., K. C. Go, C. H. Kim, J. S. Lee, H. W. Lee, J. M. Lee, H. L. Choung and I. C. Hwang. 2011. Corylopsis coreana Uyeki. Gwangilmunhwa publishing, Seoul. Pp. 233pp. (in Korean) 

  32. McFadden, M. A., W. P. Patterson, H. T. Mullins and W. T. Anderson. 2005. Multi-proxy approach to long- and short-term Holocene climate-change: evidence from eastern lake Ontario. Journal of Paleolimnology 33: 371-391. 

  33. Moon, H. S., I. Roh and J. K. Kim. 2004. Site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of Corylopsis coreana communities in Gokseong, Jeonnam Provinc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6: 196-203. (in Korean) 

  34. Mullins, H. T., W. P. Patterson, M. A. Teece and A. W. Burnett. 2011. Holocene climate and environmental change in central New York (USA). Journal of Paleolimnology 45: 243-256. 

  35. Nahm, W. H. and J. Lim. 2011. Holocene climate optimum and environmental change in the Paju and the Cheollipo areas of Korea.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25: 15-30. (in Korean) 

  36. Nesje, A. and S. O. Dahl. 1993. Lateglacial and Holocene glacier fluctuations and climate variations in western Norway: A review. Quaternary Science Reviews 12: 255-261. 

  37. Ni, J., G. Yu, S. P. Harrison and I. C. Prentice. 2010. Palaeovegetation in China during the late quaternary: biome reconstructions based on a global scheme of plant functional types. Palaeogeography, Palaeoclimatology, Palaeoecology 289: 44-61. 

  38. Park, J. and M. Kim. 2011. Mid-Holocene palaeoenvironmental change at the Yeonsan-dong, Gwangju.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6: 414-425. (in Korean) 

  39. Park, J. H. and S. Yi. 2008. Postglacial environments of the Chungnam province inferred from pollen analysis: with emphasis of change in climate and vegetation together with human impact.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24: 55-75. (in Korean) 

  40. Park, Y. A. et al. 2001. Quaternary Environment of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Seoul. Pp. 564. (in Korean) 

  41. Roh, I. and H. S. Moon. 2004. Analysis of site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of Corylopsis coreana communities.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38: 41-51. (in Korean) 

  42. Oh, Y. J., J. H. Bang and W. K. Paik. 2012.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Corylopsis gotoana var. coreana community at Mt. Baegun in Pocheon.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25: 447-455. (in Korean) 

  43. Shibata, M. and T. Nakashizuka. 1995. Seed and seedling demography of four co-occurring Carpinus Species in a temperate deciduous forest. Ecology 76: 1099-1108. 

  44. Shim, K. K., B. K. Seo, K. W. Lee, N. H. Cho and S. C. Shim. 1992. Study on the Korean native Stewartia (Stewartia koreana): . study on the native distribution of Korean Stewartia (Stewartia koreana) in Mt. Sobae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33: 413-424. (in Korean) 

  45. Song, Y. J. 2002. A Palynological Study of the Vegetation History of the Southern Lowland in the Korean Peninsula.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Ulsan, Ulsan. Pp. 90. (in Korean) 

  46. Strong, W. L. and L. V. Hills. 2003. Post-hypsithermal plant disjunctions in western Alberta, Canada. Journal of Biogeography 30: 419-430. 

  47. Takahara, H., S. Sugita, S. P. Harrison, N. Miyoshi, Y. Morita and T. Uchiyama. 2000. Pollen-based reconstructions of Japanese biomes at 0,6000 and $18,000^{14C}$ yr BP. Journal of Biogeography 27: 665-683. 

  48. Wood, K. D. 1989. Paleoecology of range limits: beech in the upper peninsula of Michigan. Ecology 70: 681-696. 

  49. Yang, B. H., S. D. Han, Y. B. Koo and Y. G. Park. 2006. Genetic variation in the natural populations of Korean Stewartia (Stewartia koreana Nakai) based on I-SSR analysis.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19: 189-195. (in Korean) 

  50. Yi, S. and J. Y. Kim. 2009. Pollen indication of Holocene vegetation and environments in the Sacheon-dong archaeological site, Cheongju, Chungbuk Province. Journal of the Paleontological Society of Korea 25: 63-76. (in Korean) 

  51. Yun, J. H., J. H. Kim, K. H. Oh and B. Y. Lee. 2011. Distributional change and climate condition of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 47-56.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