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숨은물뱅듸 습지(제주도)의 식물 다양성
Flora of Sumeunmulbaengdui wetland in Jeju-do, Korea 원문보기

식물분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v.44 no.3, 2014년, pp.222 - 232  

고성철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손동찬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학 생명과학과) ,  박범균 (한남대학교 생명.나노과학대학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라산국립공원에 위치한 숨은물뱅듸 습지의 관속식물상 조사를 2010월 9월부터 2014년 5월까지 계절별로 총 9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숨은물뱅듸 습지에 생육하는 관속식물은 69과 148속 202종 2아종 27변종 5품종의 총 236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식물들을 생활형에 따라 구분하면 대형지상식물 37분류군, 소형지상식물 26분류군, 착생식물 2분류군, 지표식물 3분류군, 반지중식물 84분류군, 지중식물 33분류군, 수생식물 21분류군, 일년생식물 30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이중 한국특산식물은 10분류군이,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9분류군이 각각 채집되었다.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은 5등급 3분류군, 4등급 7분류군, 3등급 12분류군, 2등급 8분류군, 그리고 1등급 13분류군의 총 43분류군이, 귀화식물은 붉은서나물과 서양민들레 2분류군이 각각 발견되었다. 숨은물뱅듸 습지는 제주도 내 람사르 습지들과 비교해 볼 때 습지의 규모가 크고, 종 다양성이 우수하여, 식물학적으로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지속적인 관심과 구체적인 보호 관리 방안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Sumeunmulbaengdui wetland located in Hallasan National Park was surveyed 9 times from September, 2010 to May, 2014. This survey resulted in 236 taxa in total composed of 202 species, 2 subspecies, 27 varieties and 5 forms of 148 genera under 69 families. They were cat...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조사는 숨은물뱅듸 습지의 식물 다양성과 과거 자료와의 식물상 변화 및 주요 식물의 분포 특성을 밝히고, 추후 람사르 습지 등록 및 보존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도 습지에 대한 연구는 무엇이 있는가? 제주도 습지에 대한 연구는 환경부의 전국내륙습지조사와 기초학술연구(Chung, 1998; Moon and Kang, 2012; Kang, 2013)가 대부분이며, 그 중 물영아리, 1,100고지를 비롯한 람사르 습지에 대한 조사(Kim, 1999; Kim, 2001; Kim and Song, 2005; Kim et al., 2008; Koh and Moon, 2009)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졌다.
한라산국립공원에 위치한 숨은물뱅듸 습지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는 어떠한가? 한라산국립공원에 위치한 숨은물뱅듸 습지의 관속식물상 조사를 2010월 9월부터 2014년 5월까지 계절별로 총 9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숨은물뱅듸 습지에 생육하는 관속식물은 69과 148속 202종 2아종 27변종 5품종의 총 236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식물들을 생활형에 따라 구분하면 대형지상식물 37분류군, 소형지상식물 26분류군, 착생식물 2분류군, 지표식물 3분류군, 반지중식물 84분류군, 지중식물 33분류군, 수생식물 21분류군, 일년생식물 30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이중 한국특산식물은 10분류군이,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9분류군이 각각 채집되었다.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은 5등급 3분류군, 4등급 7분류군, 3등급 12분류군, 2등급 8분류군, 그리고 1등급 13분류군의 총 43분류군이, 귀화식물은 붉은서나물과 서양민들레 2분류군이 각각 발견되었다. 숨은물뱅듸 습지는 제주도 내 람사르 습지들과 비교해 볼 때 습지의 규모가 크고, 종 다양성이 우수하여, 식물학적으로 가치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습지란 무엇인가? 습지(Wetland)는 담수·기수 또는 염수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지역을 말하며(Ministry of Environment, 1999) 특히, 생물다양성이 높고, 희귀 동·식물 등의 서식처 및 산란지로서 생태계의 보고라고 불리어지고있다(Cowardin et al., 1979; Mitsch and Gosselink, 1993; Cylinde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Chung, G. Y. 1998. Study on flora of bogs in Cheju Island, Korea. Bulletin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17: 3-22. (in Korean) 

  2. Chung, T. H. 1956. Korean Flora. Vol. II. Herbaceous plants. Shinjisa, Seoul. (in Korean) 

  3. Chung, T. H. 1957. Korean Flora. Vol. I. Woody plants. Shinjisa, Seoul. (in Korean) 

  4. Cowardin, L. M., V. Carter and E. T. Laroe. 1979. Classification of wetlands and deepwater habitats of the United States. U. S. Department of the interior Fish and Wildlife Service Office of Biological Services. 

  5. Cylinder, P. D., K. M. Bogdan, E. M. Davis and A. I. Herson. 1995. Wetlands Regulation: A Complete Guide to Federal and California Programs. Point Arena: Solao Press Books. 

  6. Kang, D. H. 2013. Flora of Aquatic and Wetland habitats in Jeju Island.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in thesis) 

  7. Kim, C. H. 1999.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Mullyeongari monticule Flora. In Jeju Mullyeongari oreum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Pp. 27-34. (in Korean) 

  8. Kim, C. H. 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I. Selection of plants tax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18: 163-198. (in Korean) 

  9. Kim, H., S. C. Chung and M. S. Chung. 2008. Flora of Mullyeongari oreum wetland protection area. In 2008 Detailed investigation of Wetlands protection are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Pp. 97-117. (in Korean) 

  10. Kim, M. H. 2001. Higher plants. In 2000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of National inland wetlands. Jeju-do Muljangori.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Pp. 15-27. (in Korean) 

  11. Kim, M. H. and K. M. Song. 2005. Flora. In 2005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of National inland wetlands. Dongbaekdongsan wetland.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Pp. 23-40. (in Korean) 

  12. Koh, J. G., M. O. Moon and C. S. Kim. 2008. Flora of Baengnokdam Crater and Dongsuak Crater of Mt. Halla,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lant and Environmental Design. 4(1): 1-11. (in Korean) 

  13. Koh, J. G. and M. O. Moon. 2009. Flora. In 2008 Detailed investigation of National inland wetlands. 1,100 Altitude wetland.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Pp. 449-468. (in Korean) 

  14. Koh, J. G. and S. H. Ko. 2008. Status and Flora of wetlands on Mt. Halla. In Symposium on scientific value and task of wetlands on Mt. Halla. Jeju Institute of Environment and Resources. Pp. 1-41. (in Korean) 

  15.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6.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7. Korean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Annual Report of Automatic Weather Station Data. Korean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in Korean) 

  18. Korean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2012. Annual Report of Automatic Weather Station Data. Korean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in Korean) 

  19. Korean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2013. Annual Report of Automatic Weather Station Data. Korean Meterological Administration, Seoul. (in Korean) 

  20. Lee, T. 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in Korean) 

  21. Lee, T. 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in Korean) 

  22. Lee, Y. M., S. H. Park, S. Y. Jung, S. H. Oh and J. 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41(1): 87-101. (in Korean) 

  23. Lee, Y. N. 1996. Flora of Korea. Gyohaksa, Seoul. (in Korean) 

  24. Lee, Y. N. 2006. New Flora of Korea. Gyohaksa, Seoul. (in Korean) 

  25. Melchior, H. 1964. An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 

  26.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6. Third Round of the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Guidelines. Ministry of Environment and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Gwacheon and Incheon. (in Korean) 

  27. Ministry of Environment. 1999. Wetland Conservation Act. (in Korean) 

  28. Ministry of Environment. 2008. Third Round of the National inland wetlands Research Guidelines.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in Korean) 

  29.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http://www.me.go.kr. 

  30. Mitsch, W. J. and J. G. Gosselink. 1993. Wetlands 2nd. ed. John Wiley and Song, Inc. 

  31. Moon, M. O. and D. H. Kang. 2012. Flora. In 2012 Detailed investigation of National inland wetlands. Sumeunmulbaengdui.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Pp. 449-468. (in Korean) 

  32. Oh, B. U., D. G. Jo, B. H. Choi, W. K. Paik and K. O. Yoo. 2010.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of Korean Peninsula. VIII. Jeju-do Province. Oh, B. U. (ed.), Korean Forest Service and Korean National Arboretum, Daejeon and Pocheon. (in Korean) 

  33. Oh, B. U., D. G. Jo, K. S. Kim and C. G. Jang. 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1st Step Result).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34. Park, C. W. 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Park, C. W. (ed.), Academy Publishing Co., Seoul. 

  35. Park, S. 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in Korean) 

  36. Raunkiaer, C. 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Londo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