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통과교통량을 고려한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 방안 연구
A Methodology for CO2 Emissions Estimation with Through-Traffic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2 no.4, 2014년, pp.303 - 314  

김태균 (명지대학교 교통공학과) ,  홍기만 (명지대학교 교통공학과) ,  백바름 (명지대학교 교통공학과) ,  우왕희 (명지대학교 교통공학과) ,  홍영석 (명지대학교 교통공학과) ,  조중래 (명지대학교 교통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나라 도로 교통부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관리를 위한 지역별 배출량 산정 방법에 대한 연구로서 지역별로 서로 다른 통행패턴(기종점 통행, 통과 통행)을 고려하였다. 기초자료는 국가교통DB센터(KTDB)에서 제공하는 O/D 및 Network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 연구에서 제공하는 수도권의 총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매우 유사한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경기도를 중심으로 권역을 설정하여 분석한 결과, 경기도 남부 지역에서는 통과교통량에 의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지역 배출량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북부 지역에서는 지역 배출량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통행의 구분에 따라 지자체에서 관리할 수 있는 배출량과 국가 차원에서 관리할 수 있는 배출량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velops a $CO_2$ emissions estimation method, which considers different O/D travel patterns and through traffic volumes, in different regions for $CO_2$ emissions management in the field of transportation. In the research, O/D and network data provided by the Kore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통행배정모형을 이용하여 지역별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통과 교통량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구분하여 추정하며, 배출량의 구분으로 지역별관리 가능한 범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매년 한국교통연구원에서 현행화하는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분석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장래의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개략적인 예측 및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Tier 3방법을 적용하여 현재 배출량 산출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통행배정모형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추정하였다. 또한 각 지역별로 관리 가능한 범위의 통행량을 O/D를 이용한 기 · 종점 통행량과 통과통행량으로 구분하여 지역별 통행유형에 따른 배출량을 추정하였으며, 현실적인 배출량 추정을 위해 배출량 집계범위는 읍 · 면 · 동 단위로 구분하고 관리범위에 따른 배출량을 나타내기 위해 시 · 군단위로 집계하였다.
  • 하지만 이산화탄소 감축 정책의 효과적인 도입과 효율적인 감소효과를 판단하기 위한 지역별 이산화탄소 감축정책 도입의 가능범위를 산정할 수 있는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지자체별 관리 가능한 통행의 이산화 탄소 지역 배출량을 통과교통량과 기․종점교통량으로 구분하여 통행배정 모형을 이용한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가설 설정

  • Link의 From Node와 To Node 모두 같은 행정구역일 경우, 해당 링크에 그대로 행정구역을 반영하였으며, From Node와 To Node가 행정구역이 다른 경우, From Node를 기준으로 행정구역을 반영하였다. 이는 각 지역별 관리가능 범위의 통행을 고려할 때 지역별 발생통행이 유입통행에 비하여 지역별 관리범위 성격에 부합하다 가정하여 From Node 를 기준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세계 각국의 온실가스 배출통계 중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기본적으로 어디에서 제시된 방법론을 사용하여 구축하는가? 세계 각국의 온실가스 배출통계 중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기본적으로 IPCC Guideline에서 제시된 방법론을 사용하여 구축하고 있다. IPCC Guideline에서 제시하고 있는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 방법은 Tier1, 2, 3방법으로 구분된다.
2010년 수도권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분석하며 2010년 전국 지역 간 톤급별 화물자동차 통행량을 수도권 수단 O/D 죤체계로 변환하여 2010년 분석 O/D를 구축한 이유는? 본 연구는 수도권을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고 2010년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2010년 수도권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분석하며 2010년 전국지역간 톤급별 화물자동차 통행량을 수도권 수단O/D 죤체계로 변환하여 2010년 분석 O/D를 구축하였다.
한국교통연구원은 2007-2012년에 무엇을 통해 교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지역별, 수단별로 산정하여 발표하였는가? 한국교통연구원은 2007-2012년 『국가교통수요조사 및 DB구축사업』을 통해 교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지역별, 수단별로 산정하여 발표하였다. 교통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조사는 도로, 철도, 해운, 항공 등 총 4개 수단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도보 및 자전거는 제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Eom J. H. (2002), Vehicle emission estimation by trip assignment model, Master's Degree thesis, University of Myongji. 

  2. Han S. W. (2012), A methodology to estimate vehicle $CO_2$ emissions using traffic assignment technique, Master's Degree thesis, University of Myongji. 

  3. IPCC(2006), 2006 IPCC Guide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4. Kim K. D., Ko H. K., Lee T. J., Kim D. S. (2011), Comparis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Road Transportation of Local Government by Calculation Method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405-415 

  5. Kim K. D., Lee T. J., Kim D. S. (2009), Comparis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from Road Transportation by the Calculation Methods in Gyeonggi Area, Proceeding of the 49th Meeting of KOSAE(2009)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651-652. 

  6.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1), A Study on Database Construction for Traffic Costs and Greenhouse Gas Emission 교통비용 및 온실가스 배출량 DB구축. 

  7. Lim Y. T. (2011), A Green House Gas Emission Estimation Based on Gravity Model and its Elasticity, J. Korean Soc. Transp., 29(4),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85-93. 

  8. Oh I. H., Lee S. H., Cheong J. P., Kim T. H., Seo J. Y. (2009), Evaluation of Green House Gases by Transportation Using Traffic Census Results from Changwon City,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8(7), 747-754. 

  9. Park S. K., Kim S. D., Yun J. S. (2000), Vehicle Emission Calculation by Using Traffic Volume, Proceeding of the 31st Meeting of KOSAE(2000)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152-154. 

  10. Ryu B. Y., Bae S. H., Han S. Y., Kim G. Y. (2011), A Comparative Study for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for Local Government's Sustainable Transport, J. Korean Soc. Transp., 29(5),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55-65. 

  11. Transportation Pollution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2008), Establishment of Climate Change Responding System for Transportation Sector(III) - Development of Bottom-up type GHGs Emission Factors for Vehicles. 

  12. Transportation Pollution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2009), Establishment of Climate Change Responding System for Transportation Sector (II) - Development of Bottom-up type GHGs Emission Factors for Vehicles. 

  13. Transportation Pollution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2010), Establishment of Climate Change Responding System for Transportation Sector (III) - Development of Bottom-up type GHGs Emission Factors for Vehicles. 

  14. Transportation Pollution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2011), Establishment of Climate Change Responding System for Transportation Sector(IV) - Development of Bottom-up type GHGs Emission Factors for Vehicles. 

  15. Transportation Pollution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2012), Establishment of Climate Change Responding System for Transportation Sector(V) - Development of Bottom-up type GHGs Emission Factors for Vehicle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