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남지역 영양(교)사의 급식시설 설비에 대한 인지도 분석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학교와 미완료 학교의 비교를 중심으로-
Analysis of Perception of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in Gyeongnam Area by School Nutrition Teachers (Dietitians) -Comparison of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Improvement of Utilities in School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9, 2014년, pp.1447 - 1456  

전영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  김현아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남지역 초 중 고등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시설 설비에 대한 인지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학교급식환경 개선 및 향후 진행될 급식시설 현대화에 실질적이고 유용한 기초 자료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2012년 7월 23일~8월 31일까지 총 391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289부(회수율 73.9%)가 회수되었고, 이 중 응답이 부적절한 14부를 제외하고 총 275부(분석율 70.3%)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식소 운영 특성 현황으로 학교형태가 초등학교 51.6%였으며, 공립이 77.8%였다. 급식유형으로 도시형이 54.9%였으며, 조리종사자수는 평균 6.27명이 근무하였고 1일 급식횟수는 1식이 84.7%로 2 3식보다 높게 조사되었다. 급식실시기간은 11~15년 38.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인 경남지역 학교 275곳 중 32.7%인 90곳이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이 완료되었으며, 67.3%인 185곳이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 학교급식시설 현대화가 미완료된 학교 총 185곳 중 향후 현대화 계획이 있는 곳은 24.9%인 46곳뿐이었다. 셋째,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소 부대시설 보유 실태 차이의 분석 결과,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을 완료한 학교에서는 검수실(P<0.01), 전처리실(P<0.001), 식기세척실(P<0.001), 소모품보관실(P<0.001), 조리원전용화장실(P<0.05), 경의실(P<0.01), 샤워실(P<0.001), 세탁실(P<0.001), 보일러실(P<0.05), 배식운반차 보관실(P<0.05)을 보유하고 있는 반면, 현대화가 미완료된 학교에서는 보유하고 있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소 부대시설 면적에 대한 인지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현대화 사업이 완료된 학교(1.71)와 미완료된 학교(1.60)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이 완료된 학교의 전처리실(P<0.001), 식품보관실(P<0.05), 소모품보관실(P<0.01), 급식관리실(P<0.001), 경의실(P<0.05), 샤워실(P<0.01)의 면적에 대한 인지도가 미완료된 학교보다 높았다. 다섯째,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소 부대시설에 대한 만족도 차이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급식소 부대시설에 대한 만족도의 전체 평균값이 현대화 사업이 완료된 학교(3.32)보다 미완료 학교(2.62)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1). 여섯째,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 설비 실태 차이에서는 현대화 사업이 완료된 학교(3.77)보다 미완료된 학교(3.30)에서 낮게 나타났다(P<0.001).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이 완료된 학교의 바닥(P<0.05), 출입구(P<0.001), 배수(P<0.001), 수도(P<0.01), 조명(P<0.001), 수세시설(P<0.001), 급식관리실(P<0.001), 경의실(P<0.001), 화장실 샤워실(P<0.001), 전처리실(P<0.001)에 대한 인지도가 미완료된 학교의 인지도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급식소의 외부고객인 학생, 교직원의 만족도 향상과 내부 고객인 급식종사원과 영양(교)사의 바람직한 직무환경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경남지역에서 학교급식시설의 현대화 사업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학교를 대상으로 향후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이 조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정책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향후 학교급식시설 현대화가 미완료된 학교를 대상으로 현대화 사업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erception of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in dietitians and school nutrition teachers in the Gyeongnam area between schools that improved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versus those who did not. From July 23 to Aug 31, 2012, 391 ques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경남지역 초・중・고등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여부에 따른 급식시설 설비에 대한 인지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학교급식환경 개선 및 향후 진행될 급식시설 현대화에 실질적이고 유용한 기초 자료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2012년 7월 23일~8월 31일까지 총 391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289부(회수율 73.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시설 설비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은 경남지역을 조사 지역으로 선정하여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완료 학교와 미완료 학교의 학교급식시설 설비에 대한 경남지역 영양(교)사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세부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추진 현황을 살펴보면 2013년도 6월 기준 888개교에 2,706억 원을 지원하여 추진 실적은 70.4% 수준에 해당되며, 매년 1,283개교씩 총 3,850개교를 대상으로 2015년까지 100%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시도별 학교급식시설 현대화 사업 추진 현황에 의하면 경기, 경북, 경남의 순으로 추진이 부진한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5,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급식소에서 시설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급식소에서 시설(facilities)은 작업 공간(space)과 여기에 설치된 기기(equipment)를 합한 것을 의미하며, 설비(utilities)란 급・배수, 환기, 열원, 조명, 냉・난방 등을 통틀어 말한다. 급식소 작업장 내 시설・설비를 효율적으로 계획하게 되면 식재료와 작업의 전체적인 흐름이 원활해지고 작업자 동선의 감소로 인해 시간, 노동력, 식재료 등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1).
학교급식에서 식품위생과 작업안전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가진 이유는 무엇인가? 학교급식의 경우 짧은 기간에 걸쳐 전면적으로 학교급식이 확대됨에 따라 예산 부족과 급식시설 설계의 전문성 부족으로 학교급식에서 식품위생과 작업안전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2).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교육과학기술부는 2000년에「학교급식 위생관리 지침서」를 발간하여 학교급식 위생관리에 HACCP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2006년에는「학교급식시설 개선 자료집」발간하여 급식시설 설비 개선 우수사례 및 학교급식시설 개선 시 유의사항에 대한 자료를 보급하였다(3,4).
효율적인 급식시설・설비를 계획하면 어떠한 장점을 얻는가? 급식소에서 시설(facilities)은 작업 공간(space)과 여기에 설치된 기기(equipment)를 합한 것을 의미하며, 설비(utilities)란 급・배수, 환기, 열원, 조명, 냉・난방 등을 통틀어 말한다. 급식소 작업장 내 시설・설비를 효율적으로 계획하게 되면 식재료와 작업의 전체적인 흐름이 원활해지고 작업자 동선의 감소로 인해 시간, 노동력, 식재료 등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1). 따라서 건전한 심신의 발달과 국민 식생활 개선에 기여함을 목표로 하는 학교급식에서도 마찬가지로 양질의 음식 생산과 제공을 위해서는 효율적인 급식시설・설비가 필요하다 할 수 있겠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Yang IS, Lee BY, Cha JA, Han KS, Chae IS, Lee JM. 2011. Foodservice in institutions. 3rd ed. Kyomunsa, Gyeonggido, Korea. p 320-321. 

  2. Jang SH, Jang HJ. 2011. A facility design model for 1300 capacity school foodservice with adjacency and bubble diagrams. Korean J Community Nutr 16: 98-112. 

  3. Ministry of Education. 2006. Proceedings of improvement of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p 33-60. 

  4. Ministry of Education. 2013a. Basic guidelines for improving students' health. p 38-39. 

  5. Ministry of Education. 2013b. Measures for protecting school foodservice food poisoning. p 12. 

  6. Ministry of Education. 2013c. Measures for improving of safety management of school foodservice. p 12, 87-88. 

  7. Kook SJ, Choi BS, Rho JO. 2009. A study on foodservice facilities, utilities, and physical environment in the Chonbuk area of Korea. Korean J Food & Nutr 22: 497-507. 

  8. Back HJ. 2006. The study on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equipment status of Northern Gyengbuk area in Korea - Modernization project of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 MS Thesis.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dong, Korea. p 29-31, 56, 73-79. 

  9. Choi HY, Rho JO. 2007. A study on school dietitians' satisfaction with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in the Chonbuk area of Korea. Korean J Food & Nutr 20: 218-225. 

  10. Kook SJ, Rho JO. 2009. Survey on internal facilities and sanitary management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foodservice in Chonbuk area of Korea. Korean J Human Ecology 18: 1135-1145. 

  11. Park JW. 2007. Research on the status of sanitation management of facilities and equipments of school meal service of Daegu region and obstacles of the HACCP system. M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Korea. p 13. 

  12. Yoon MY, Lee IS. 2006. Analysis on facilities & basic equipment of school foodservice safety in Pohang area. J Korean Diet Assoc 12: 264-276. 

  13. Kim KM, Lee SY. 2009. Analysis of the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 sanitary education (Seoul, Kangwon and Choongchung areas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4:576-589. 

  14. Yang IS, Yi BS, Han KS, Chae IS. 1997. Analysis on facilities/equipment of school foodservice in Kyunggi-do. Korean J Soc Food Sci 13: 113-123. 

  15. Lee AR. 2013. The school foodservice securement facilities and perceptions of barriers to implementation of HACCP system in school foodservice in Seoul area. Korean J Food & Nutr 26: 578-590. 

  16. Park YS, Jeong JH. 1996. Condition and satisfaction of foodservice environment in elementary schools. J Korean Home Econ Assoc 34: 75-86. 

  17. Chang HJ, Son HJ, Choi GG. 2009. Current status of functional areas' space and suggestion of their equipment requirements for school foodservices in Gyeonggi provin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474-487. 

  18. Son HJ. 2009. Current status of foodservice equipment and space by functional area of school foodservice in Gyeonggi province.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Korea. p 113-120. 

  19. Kim JH. 2008. The case study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feeding facilities in Cheong-ju city. M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Korea. p 54-59, 78-80. 

  20. Yi JH. 2009. Suggestion of factors considered in planning school foodservice facilities and utilities -focused on HACCP system management criteria-.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p 68-100. 

  21. Um JA. 2009. Comparison of the satisfaction of nutritionists by the change of facilities and equipments after modernization project -focused on elementary schools carrying out modernization project in Seoul and Gyeonggi area.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Yongin, Korea. p 52-55, 60-69. 

  22.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2. Criteria for HACCP. p 10-14. 

  23. Gyeongsangdamdo Office of Education. 2014. Basic guidelines of school foodservice in 2014. p 56-57. 

  24. Oh DS, Lee AR, Lee HR. 2000. A study on standard design proposal for school foodservice. Ministry of Education, Sejong, Korea. p 93-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