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기해석이 신체적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 신체만족도, 외모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lf-construal on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Physical Appearance, Body Satisfactions,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8 no.4, 2014년, pp.528 - 539  

이수경 (연세대학교 섬유패션연구센터) ,  조현정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업경영학부.기술경영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self-construal on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physical appearance, body satisfac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throug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empirical study was based on the response of 369 adult females between the ages of 20 and 49 in Se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배적인 자기해석유형의 차이를 우리나라에서 나타나는 과열된 외모관리현상의 기저변인으로 보고, 자기해석유형에 따라 신체적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를 형성하고 이에 의해 신체이미지가 형성되어 외모관리행동에 이르는 구체적인 심리과정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외모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고 외모관리행동이 많이 이루어지는 20대에서 40대의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외모관리행동의 기저변인으로 본 자기해석의 유형에 따라 신체적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를 형성하고 이에 의해 신체만족도에 영향을 미쳐 외모관리행동에 이르는 인과적 과정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신체적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는 신체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자기해석은 신체적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해석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자기해석(self-construal)은 개인이 속한 사회·문화적 특성에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 자기인식의 틀로, 개인의 자기체계에 대한 가장 일반적이고 지배적인 도식 중의 하나이며, 자기를 타인과 분리된 독자적인 실체로 보고 독립성과 자기충족성에 가치를 부여하며 나의 측면에서 사고하는 독립적 자기해석과 자기를 타인과 연결되어 있다고 보고 집단구성원들과의 조화를 유지하기 위해 사회적 규범에 따르며 우리라는 관점에서 사고하는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으로 분류된다(Markus & Kitayama, 1991). 이 두 유형의 자기해석은 문화권에 따라 구성비율에서는 차이를 보일지라도 어느 문화권에서나 공존하며, 어떠한 개인도 두 유형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며 어느 것이 우세하냐에 따라 심리적 과정에 차이가 나타난다.
한국인의 자기정체감은 개인이 자기 내적으로 구성한 사적 정체감보다는 자신이 속한 우리집단의 사회적 및 규범적 정체감을 자신의 사적 정체감으로 내삽시키는 이유는 무엇인가? 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한국인의 자기는 유교적 교리에 따른 이상적 인간성[仁·義·禮·知]을 보편적이며 공통적인 자기개념으로 추구하여, 개성적 자기보다는 보편적 자기로서의 인간 됨됨이를 문화적 가치로 추구하여 왔다. 따라서 한국인의 자기정체감은 개인이 자기 내적으로 구성한 사적 정체감보다는 자신이 속한 우리집단의 사회적 및 규범적 정체감을 자신의 사적 정체감으로 내삽시키는 집단정체감의 특성을 강하게 함축하고 있다.
자기해석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자기인식의 틀인 자기해석은 개인이 자기를 타인과 관련되거나 분리된 존재로 보는 사고, 감정, 행동의 총체로 정의된다(Singelis, 1994). Markus and Kitayama(1991)는 독립적 자기해석은 사회적 상황과 분리되어 있는 경계가 명확한 하나의 안정된 자기로, 개인의 존재가 타인들과 독립적이고 일정한 거리를 가지고 있는 관계로 보기 때문에 타인의 사고, 감정, 행동보다는 자신의 내면적인 요소로 자기를 정의하는 반면,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은 사회적 상황에 따라 변화가 가능한 유연하고 가변적인 자기로, 자기를 사회적 관계 속에서 정의하여 자신의 행동이 타인의 사고, 감정, 행동과 불가분의 관계 속에서 결정된다고 보고 타인과의 조화와 융합을 강조하며, 이러한 자기개념을 규정하는 서로 다른 방식이 개인의 사고과정, 행동동기, 감정경험에 체계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2. Bagozzi, R. P., & Yi. Y.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4-94. 

  3. Bond, R., & Smith, P. B. (1996). Culture and conformity: A meta-analysis of studies using Asch's (1952b, 1956) line Judgement task. Psychological Bulletin, 119(1), 111-131. 

  4. Cash, T. F. (2000). The multidimensional body-self relations questionnaire. In J. K. Thompson (Ed.), Body image disturbance, assessment and treatment (pp. 125-130). New York: Pergamon Press. 

  5. Cho, G. H., & Kim, E. J. (2001). Cultural dispositions and conformity to peers.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5(1), 139-165. 

  6. Cho, G. H., & Myung, J. W. (2001). Cultural dispositions and types of self-consciousness.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5(2), 111-139. 

  7. Cho, S. M. (2000).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body images on clothing benefits sough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8. Choi, S. C. (1992). Cultural self of Korean: A heuristic view. Proceedings of Annual Conference of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Korea, 263-274. 

  9. Chun, M. S., Lee, S. G., & Koh, A. R. (2006). The effect of cultural tendency on clothing consumption behavior.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7(2), 277-300. 

  10. Gim, W. S., Park, E. A., & Takemoto, T. (2009).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body-esteem and self-construals in East Asian women: A cross-national study on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14(1), 23-46. 

  11. Heinberg, L. J. (1996). Theories of body image: Perceptual, developmental. and sociocultural factors, In J. K. Thompson (Ed.), Body image, eating disorders, and obesity: An integrative guide for assessment and treatment (pp. 27-48).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2. Heinberg, L. J., Thompson, J. K., & Stormer, S. (199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s appearance questionnaire.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17(1), 81-89. 

  13.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14. Hwang, J. S., & Kim, Y. H. (2006). The effect of appearance management on body ima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6(3), 143-155. 

  15. Kang, H. W. (1995).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Paju: Kyomunsa. 

  16. Kaiser, S. B. (1990). The social psychology & clothing: Symbolic appearance in context (2nd ed.). New York: Macmillan. 

  17. Kim, A., Lee, S. G., & Koh, A. R. (2006). Effects of media involvement, body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n the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f preteen boys and gir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0(11), 1538-1549. 

  18. Kim, Y. J. (1996). The effect of fashion images of Korean women's self-concept and clothing attitud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9. LaBat, K. L., & DeLong, M. R. (1990). Body cathexis and satisfaction with fit of apparel.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8(2), 43-48. 

  20. Lee, S. S. (2003). Change of ad attitude when not consistent with majority's attitude: From the perspective of self-construal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14(5), 33-47. 

  21. Lee, S. S., Kim, W. S., & Kim, J. S. (2005). Understanding consumer complaint intentions and behaviors from the perspective of self-construal.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6(1), 19-42. 

  22. Markus, H. R., & Kitayama, S. (1991). Culture and the self: implication for cognition, emotion, and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98, 224-253. 

  23. Meijboom, A., Jansen, A., Kampan, M., & Schouten, E. (1999). An experimental tes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concern about body shape and weight in restrained eat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 25(3), 327-334. 

  24. Morrison, T. G., Kalin, R., & Morrison, M. A. (2004). Bodyimage evaluation and body-image investment among adolescents: A test of sociocultural and social comparison theories: Adolescence, 39(155), 571-592. 

  25. Nunnally, J. C. (1967).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Hill. 

  26. Oliver, R. L. (1980). A cognitive model of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 of satisfaction deci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7, 460-469. 

  27. Park, E. A. (2002). The era of body: Consumer psychology to pursue beauty.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for Consumer Advertising Psychology Symposium, 49-60. 

  28. Park, E. A., Kim, H. J., & Suh, H. S. (2009). The relationship among self-construals, body valu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 cross-cultural study.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10(2), 251-274. 

  29. Park, J. H., & Suh, E. K. (2005). Lay beliefs of selfhood and personal theories of happiness.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9(4), 19-31. 

  30. Reed, L. R. (1998). Image and attitude: The impact of media images on the self-esteem, body image and sexual attitudes of college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Rhode Island, Kingston. 

  31. Schutz, H. K., Paxton, S. J., & Wertheim, E. H. (2002). Investigation of body comparison among adolescent girl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2(9), 1906-1937. 

  32. Secord, P. F., & Jourard, S. M. (1953). The appraisal of body cathexis: Body cathexis and the self. Journal of Consulting Psychology, 17, 343-347. 

  33. Singelis, T. M. (1994). The measurement of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0(5), 580-591. 

  34. Singelis, T. M., & Brown, W. J. (1995). Culture, self, and collectivist communication: Linking culture to individual behavior.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1(3), 354-389. 

  35. Son, E. J. (2011). Differences of body image and factors influencing body image through the life span of women. The Korean Journal of Women Psychology, 16(3), 357-377. 

  36. Thompson, J. K., & Heinberg, L. J. (1999). The media's influence on body image disturbance and eating disorders: we've reviled them, now can we rehabilitate them? Journal of Social Issues, 55(2), 339-353. 

  37. Triandis, H. C. (1989). The self and social behavior in differing cultural contexts. Psychological Review, 96(3), 506-520. 

  38. Yang, Y., & Kim, M. J. (2010). The effects of self-construal, focused emotion, and the context in the advertisement on antismoking public service advertising attitude.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1(2), 245-270. 

  39. Yun, R. J., & Lachman, M. E. (2006). Perceptions of aging in two cultures: Korean and American views on old age. Journal of Cross Cultural Gerontology, 21, 55-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