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 인식 수준에 따른 노년 여성의 연령주의, 노화에 대한 태도, 신체만족도 비교 연구
Ageism, Attitudes Toward Aging, and Body Satisfaction by Subjective Socioeconomic and Health Status Among Older Women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21 no.5, 2019년, pp.586 - 596  

유혜경 (인천대학교 패션산업학과) ,  이민선 (인천대학교 인지행동 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geism, attitudes toward aging, and body satisfaction play significant roles in determining older women's perceptions of successful aging. In addition, subjective socioeconomic and health status can act as major identifiers in determining the overall level of physical and social well-being in old a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노년 여성이 인식하고 있는 연령주의, 노화에 대한 태도, 신체만족도에 대한 전반적인 탐색 연구이다. 또한 노년 여성의 삶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파악을 위해 우리사회에서 성공한 인생의 지표로 여겨지는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주요 기준인 건강상태에 따른 노년 여성의 연령주의, 노화에 대한 태도, 신체만족도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노년 여성의 삶의 만족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개인의 연령주의 인식, 노화에 대한 태도 및 신체만족도에 집중하여, 국내 노년 여성의 전반적인 인식 수준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차원적인 연령주의 인식과 노화에 대한 태도의 개념을 적용하여 보다 세부적인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편견, 즉 연령주의 인식이 높을수록, 그리고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신체적 및 정신적 변화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일수록 자신이 보내고 있는 노년기의 삶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지게 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국내 노년 여성이 인식하고 있는 연령주의, 노화에 대한 태도, 신체만족도에 대한 전반적인 탐색 연구이다. 또한 노년 여성의 삶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파악을 위해 우리사회에서 성공한 인생의 지표로 여겨지는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주요 기준인 건강상태에 따른 노년 여성의 연령주의, 노화에 대한 태도, 신체만족도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 부정적인 연령주의 인식, 노화에 대한 태도, 신체만족도는 여성의 노년기의 삶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우리사회의 노년 여성이 겪고 있는 연령주의와 노화에 대한 태도, 신체만족도에 있어 그들의 주관적인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상태에 따른 차이점을 비교해 봄으로써 노년 여성의 전반적인 삶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노년 여성으로 하여금 보다 긍정적인 연령주의 인식과 노화에 대한 태도, 신체만족도를 갖게 하기 위해서는 그들이 인식하고 있는 우리사회 내에서의 자신의 사회경제적 위치와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의 향상이 필요할 것이다.
  • 연령주의와 노화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 및 부정적인 인식을 포함하여 다양한 측면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주관적인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상태에 따른 연령주의 인식, 노화에 대한 태도,신체만족도의 차이를 세부적으로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비교분석은 우리 사회구성원들의 노년기의 삶에 대한 만족정도를 높이기 위해 제공되어야 할 사회적, 국가적 차원의 제도 마련의 향후 방향을 보다 자세하게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노년 여성의 삶의 만족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개인의 연령주의 인식, 노화에 대한 태도 및 신체만족도에 집중하여, 국내 노년 여성의 전반적인 인식 수준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차원적인 연령주의 인식과 노화에 대한 태도의 개념을 적용하여 보다 세부적인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년기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부적, 개인적 차원의 관심은 무엇인가? 우리나라도 곧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게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노년기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사회적, 정부적, 개인적 차원의 관심과 혜택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노인 복지를 위한 다양한 공공기관의 설립과 서비스의 제공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회구성원 개개인들도 자신의 노후를 위한 계획의 수립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최근 노인학 분야의 여러 연구에서는 연령주의 인식과 노화에 대한 태도가 성공적인 노화의 주요 지표임을 강조하고 있다(Angus &Reeve, 2006; Calasanti, 2016).
인간발달이란 무엇인가? 전생애 발달 심리학에서는 인간발달이란 발달과제를 해결하고, 발달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한다(Havighurst, 1961; Lerner & Busch-Rossnagel, 1981). 인간발달의 목표에는 타인과의 다양한 상호관계를 형성하면서 이와 동시에 스스로의 독립성을 유지하는 것이 포함된다(Pinquart &Sörensen, 2000).
성공적인 노화의 주요 지표로 강조되고 있는 것은? 예를 들어, 노인 복지를 위한 다양한 공공기관의 설립과 서비스의 제공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회구성원 개개인들도 자신의 노후를 위한 계획의 수립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최근 노인학 분야의 여러 연구에서는 연령주의 인식과 노화에 대한 태도가 성공적인 노화의 주요 지표임을 강조하고 있다(Angus &Reeve, 2006; Calasanti, 2016). 노인에 대한 선입견과 태도는 비단 현재 노년기를 보내고 있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앞으로 노년기를 보내게 될 모든 연령층의 사람들의 성공적인 노화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Yu & Lee, 20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dler, N., & Stewart, J. (2007). The MacArthur Scale of Subjective Social Status. Retrieved from https://macses.ucsf.edu/research/psychosocial/subjective.php 

  2. Angus, J., & Reeve, P. (2006). Ageism: A threat to "aging well" in the 21st century.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25(2), 137-152. doi:10.1177/0733464805285745 

  3. Bielderman, A., de Greef, M. H. G., Krijnen, W. P., & van der Schans, C. P. (2015).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A path analysis. Quality of Life Research, 24(7), 1679-1705. doi:10.1007/s11136-014-0898-y 

  4. Calasanti, T. (2016). Combating ageism: How successful is successful aging?. Gerontologist, 56(6), 1093-1101. doi:10.1093/geront/gnv076 

  5. Chrisler, J. C., Barney, A., & Palatino, B. (2016). Ageism can be hazardous to women's health: Ageism, sexism, and stereotypes of older women in the healthcare system. Journal of Social Issues, 72(1), 86-104. doi:10.1111/josi.12157 

  6. Chun, H. R., & Kim, I. H. (2013). Ageism and health: Focus on socioeconomic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3(3), 601-615. 

  7. Cohen, S., Alper, C. M., Doyle, W. J., Adler, N., & Treanor, J. J. (2008).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nd susceptibility to the common cold. Health Psychology, 27(2), 268-274. doi:10.1037/0278-6133.27.2.268 

  8. Havighurst, R. (1961). Developmental tasks and education. New York, NY: David McKay. 

  9. Jang, Y. E., & Kim, S. Y. (2014). Age-friendly socio-economic environment’s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rural elderly. Locality and Globality, 38(3), 255-284. doi:10.33071/ssricb.38.3.201412.255 

  10. Kim, J. H. (2012). Ageism survey: A report on instrument development.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5(1), 53-75. 

  11. Kim, J. Y.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in Korea: Focusing on age variation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41(3), 127-153. 

  12. Kim, S. H., Jeong, J. H., & Song, J. Y. (2018). The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f elderly on life satisfac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articipation in formal and informal social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3(3), 167-191. 

  13. Kim, I. H., Noh, S., & Chun, H. R. (2016).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in ageism and depression among the Korean elderly: The roles of emotional reactions and coping responses. Osong Public Health and Research Perspectives, 7(1), 3-11. doi:10.1016/j.phrp. 2015.11.012 

  14. Kontis, V., Bennett, J. E., Mathers, C. D., Li, G., Foreman, K., & Ezzati, M. (2017). Future life expectancy in 35 industrialised countries: Projections with a Bayesian model ensemble. The Lancet, 389(10076), 1323-1335. doi:10.1016/S0140-6736(16)32381-9 

  15. Laidlaw, K., Kishita, N., Shenkin, S. D., & Power, M. J. (2018). Development of a short form of the Attitudes to Ageing Questionnaire (AAQ).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33(1), 113-121. doi:10.1002/gps.4687 

  16. Lee, S. S. (2009). A study on self-esteem and physic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2), 547-562. 

  17. Lerner, R. M., & Busch-Rossnagel, N. A. (1981). Individuals as producers of their development. New York, NY: Academic Press. 

  18. Officer, A., Schneiders, M. L., Wu, D., Nash, P., Thiyagarajan, J. A., & Beard, J. R. (2016). Valuing older people: time for a global campaign to combat ageim.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94(10), 710-710A. doi:10.2471/BLT.16.184960 

  19. Pila, E., Solomon-Krakus, S., Egelton, K., & Sabiston, C. M. (2018). "I am a fat baby, who moved to a fat child, who moved to a fat teenager, who moved to a fat adult": Women's reflections of a lifetime of body and weight concern. Journal of Women & Aging, 30(2), 158-77. doi:10.1080/08952841.2017.1295669 

  20. Pinquart, M., & Sorensen, S. (2000). Influences of socioeconomic status, social network, and competence of subjective well-being in later life: A meta-analysis. Psychology and Aging, 15(2), 187-224. doi:10.1037/0882-7974.15.2.187 

  21. Sabik, N. J. (2015). Ageism and body esteem: Associations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late middle-aged African American and European American women.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70(2), 191-201. doi:10.1093/geronb/gbt080 

  22. Seeman, T. E., Berkman, L. F., Charpentier, P. A., Blazer, D. G., Albert, M. S., & Tinetii, M. E. (1995). Behavioral and psychosocial predictors of physical performance: MacArthur studies of successful aging.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A, 50A(4), M177-M183. doi:10.1093/gerona/50A.4.M177 

  23. Seeman, T. E., Crimmins, E., Huang, M. H., Singer, B., Bucur, A., Gruenewald, T., ... & Reuben, D. B. (2004). Cumulative biological risk and socio-economic differences in mortality: MacArthur studies of successful aging. Social Science & Medicine, 58(10), 1985-1997. doi:10.1016/S0277-9536(03)00402-7 

  24. Swift, H. J., Abrams, D., Lamont, R. A., & Drury, L. (2017). The risks of ageism model: How ageism and negative attitudes toward age can be a barrier to active aging. Social Issues and Policy Review, 11(1), 195-231. doi:10.1111/sipr.12031 

  25. The EuroQoL Group. (1990). EuroQoL: A new facility for the measure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ealth Policy, 16(3), 199-208. doi:10.1016/0168-8510(90)90421-9 

  26. Yu, H. K., & Lee, M. S. (2019). The effects of perceived ageism and appearance satisfaction on appearance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older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3(1), 112-124. doi:10.5850/JKSCT.2019.43.1.112 

  27. Yu, J. S. (2016). A study on R&D program for the aging society. Journal of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18(3), 109-116. doi:10.12812/ksms.2016.18.3.109 

  28. Whitebourne, S. K., & Sneed, J. R. (2002). The paradox of well-being, identity processes, and stereotype threat: Ageism and its potential relationships to the self in later life. In T. D. Nelson (Ed.), Ageism: Stereotyping and prejudice against older persons (pp. 247-273), London: The MIT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