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말 늦은 아동의 문장 이해 전략
Sentence interpretation strategies by typically developing and late-talking Korean toddlers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6 no.3, 2014년, pp.13 - 21  

조수정 (소은희 마인드피아 반디) ,  황민아 (단국대학교) ,  최경순 (상지영서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te talkers are young children who are delayed in their expressive language skills despite normal nonverbal cognitive ability, adequate hearing and typical personality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ntence interpretation strategies used by Korean-speaking late talk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국의 말 늦은 아동이 또래 일반 아동에 비하여 언어 이해 능력의 취약성을 가진다면, 이들의 문장이해 전략 또한 또래 일반 아동의 양상과 차이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문장이해를 위한 행위연출과제(act-out task)를 사용하여 30-35개월의 정상범주 지능을 가진 말 늦은 아동들과 생활 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들을 대상으로 문장이해능력을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일반 아동과 말 늦은 아동은 ‘강아지가 시계를 밀어요’와 같은 간단한 문장을 듣고 이 문장에 대한 행위 연출에 있어서 문법 정보인 조사단서와 의미 정보인 생물성단서 조건에 따른 행위 연출능력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행위연출과제를 사용하여 3세 이전의 생활 연령을 일치시킨 말 늦은 아동과 일반아동의 문장이해 시 나타나는 조사단서 및 생물성단서 활용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일반아동과 말 늦은 아동 모두 문장을 이해할 때 조사단서 보다는 생물성단서에 더 많이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러한 보고들을 근거할 때, 말 늦은 아동은 표현언어 능력에서 두드러진 결함을 보이지만 비교적 일반적인 수준으로 여겨지는 언어이해 능력에서도 내재적인 취약성을 보일 가능성을 간과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장이해 과제를 통해서 말 늦은 아동의 언어이해 능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말 늦은 아동의 기준은 무엇인가? 이처럼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결함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초기 언어발달에서 표현 언어 습득이 지체되는 아동을 말 늦은 아동(late talkers)이라 한다. 보고에 따르면, 18-23개월 사이의 아동이 명료하게 표현할 수 있는 어휘가 10개 미만인 경우, 2-3세 아동이 표현어휘수가 50개 미만이거나 두 낱말 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18개월에서 3세 사이 아동이 표준화된 표현언어발달검사에서 10%ile 또는 -1SD 미만인 아동을 말 늦은 아동이라 지칭한다(Paul, 1993; Rescorla, Dahlsgaard, & Roberts, 2000; Thal & Bates, 1988). 이를 종합하자면, 일반적으로 말 늦은 아동은 만 2세 정도부터 확인될 수 있으며, 이들은 표현어휘수가 50낱말 이하이며 두 단어 조합된 문장 사용에 어려움을 보인다.
선행 연구 중, 일반아동과 성인의 문장이해 시 보이는 단서 활용 양식에 대한 연구 결과는 어떠한가? 국내에서는 황민 아와 안혜진(2002)은 취학전 일반아동과 성인의 문장이해 시 보이는 단서 활용 양식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성인은 문법 정보인 조사단서 의존도가 가장 높았지만, 아동의 경우 의미 정보인 생물성단서와 문법 정보인 조사단서를 모두 활용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성인은 문장 이해시 제공되는 정보들 중문법성 정보에 절대적 의존도가 높은 반면, 어린 아동의 경우 의미적 정보인 생물성단서도 문법 정보 못지않게 문장 이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동의 연령이 증가하면서 생물성단서 의존도는 낮아지고 조사단서를 더 많이 활용하는 경향이 나타나, 7세에 이르면 성인과 비슷한 양상으로 단서를 활용하였다. 즉, 한국 아동의 경우 의미 정보와 문법 정보를 모두 사용하지만, 연령이 증가하면서 문법 단서 의존도가 점차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선행 연구를 종합하자면 각 언어에 따라 문장 이해 시 제공되는 단서들의 활용 강도의 차이는 보이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생물성단서 의존도가 낮아지고 어순이나 조사와 같은 문법 정보 의존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2-3세 경 아동의 언어 사용 행태는 어떠한가? 2-3세 경 아동들은 일반적으로 약 3-4어절의 문장을 사용하며, 다양한 문법적 오류를 나타내긴 하지만 문장 어미, 시제 및 주격 또는 목적격 조사 등을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김영태, 2002). 그러나 초기 언어발달 시기는 아동 마다 발달의 개인차가 매우 크며, 일부 아동들은 일반적인 언어 이해능력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언어 표현에서 지체를 보이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tes, E., MacWhinney, B., Devescovi, A., & Smith,S. (1982). Functional constraints on sentence processing: across-lingustic study. Cognition, 11, 245-299. 

  2. Bates, E. & MacWhinney, B. (1989). Functionalism and the competition model. In B. MacWhinney & E. Bates (Eds.), The crosslinguistic study of sentence processing.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Dale, P S., Price, T S., & Bishop, D. (2003). Outcome of early language delay. Predicting persistent and transient language difficulties at 3and 4 year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6, 544-560. 

  4. Hong, KH. (2007). A longitudinal study of communicative intention variables for predicting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of the late-talkers. The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7, 97-115. (홍경훈 (2007). 말 늦은 아동의 표현언휘발달 예측요인에 대한 종단연구. 유아특수교육연구. 7(1), 97-115.) 

  5. Hwang, M. & An, HJ. (2002). The development of sentence interpretation in Korean: the influence of three cue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9(2), 39-54. (황민아, 안혜진 (2002). 아동과 성인의 문장이해에서 의미, 조사, 어순단서의 활용 양상. 인간발달연구, 9(2), 39-54.) 

  6. Hwang, M. (2002). Sentence comprehension of korean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8(1), 1-21. (황민아 (2003).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문장이해: 단서 이용 양상을 중심으로. 언어청각장애 연구 8(1), 1-21.) 

  7. Kim YT. (2002). Assessment and treatment of children language disorder. Seoul; Hakjisa. (김영태 (2002). 아동 언어장애의 진단 및 치료. 서울: 학지사.) 

  8. Kim YT. (2003).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oul; Special education. (김영태 (2003). 영유아 언어발달 검사. 서울: 특수교육.) 

  9. MacWhinney, B., Pleh, C., & Bates, E. (1985). The development of sentence interpretation in Hungarian. Cognitive psychology, 17, 178-209. 

  10. Moon, SB., Byun, CC. (1997). Korean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K-ABC. Seoul: Hakjisa. (문수백, 변창진 (1997). Korean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K-ABC.서울: 학지사.) 

  11. Paul R. (1993). Patterns of development in late talkers: preschool years. Journal of childhood communication disorders, 15, 7-14. 

  12. Paul, R. (1990). Comprehension strategies: Interactions between world knowledge and the development of sentence comprehension. Topics in language disorders, 10, 63-75. 

  13. Paul, R. (1991). Profiles of toddlers with slow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Topics in language disorders. 11(4), 1-13. 

  14. Paul, R., & Jennings, P. (1992). Phonological behavior in toddlers with slow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5, 99-107. 

  15. Paul, R., Murray, C., Clancy, K., & Andrews, D. (1997). Reading and metaphonological outcomes in Late Talker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reading research, 40, 1037-1047. 

  16. Rescorla, L. (2000a). Late-talking toddlers: MLU and IPSyn outcomes at 3;0 and 4;0. Journal of child language, 27, 643-664. 

  17. Rescorla, L. (2000b). Do late-talking toddlers turn out to have reading difficulties a decade later? Annals of dyslexia, 50, 87-102. 

  18. Rescorla, L. (2002). Language and reading outcomes to age 9 in late-talking toddler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5, 360-371. 

  19. Rescorla L, Dahlsgaard K, Roberts J. (2000). Late-talking toddlers: MLU and IPSyn outcomes at 3;0 and 4;0. Journal of child language, 27, 643-664. 

  20. Thal D, Bates E. (1988). Language and gesture in late talk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31, 115-123. 

  21. Thal, D. J., & Flores, M. (2001). Development of sentence interpretation strategies by typically developing and late-talking toddlers. Journal of Child Language, 28, 173-1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