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말 늦은 아동과 일반 아동의 자음 목록 크기에 따른 음운변이성
Phonological variability with consonant inventory size in late-talkers and normal children 원문보기

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7 no.3, 2015년, pp.175 - 181  

김혜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언어치료전공) ,  이란 (단국대학교 대학원 언어병리학과) ,  이은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consonant inventory size' and 'phonological variability' in order to examine the phonological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late-talkers and typically developing expressive language agematched children and to consider the correlations bet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말 늦은 아동은 습득한 자음이 포함된 단어에서도 음운변이성이 낮아지지 않았다. 따라서 두 집단 간에 음절구조의 복잡성과 후기에 습득하는 자음에 따라 음운변이성에 차이가 나는지 추가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말 늦은 아동은 표현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에 비해서 모든 음절구조에서 음운변이성이 높고, 후기에 습득하는 자음 /ㅈ/, /ㅊ/, /ㅉ/, /ㄹ/, /ㅅ/, /ㅆ/가 포함되어 있는 목표 단어에서는 음운변이성이 더 높았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말 늦은 아동과 표현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typically developing expressive language age-matched children, 이하 TED)을 대상으로, 자음 목록 크기 확인을 위해 자발화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음운변이성 실험을 위해 4가지 구조화된 놀이 상황에서 목표 단어를 산출할 기회를 3회 제공하여 발화를 유도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음운발달을 확인할 수 있는 자음 목록 크기와 음운체계의 안정성을 살펴볼 수 있는 음운변이성의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고 자음 목록 크기와 음운변이성 간의 상관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4 - 35개월의 말 늦은 아동 15명과 표현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 15명을 대상으로 음운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집단 간 자음 목록 크기와 음운변이성의 차이를 비교하고, 이들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 본 연구는 신화정, 이은주(2015)의 말 늦은 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집단을 대상으로 음운변이성을 살펴본 연구와 달리 표현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과 비교하여 음운변이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생활연령뿐 아니라 표현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과 비교하였을 때에도 음운변이성이 높았다.
  •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자료 수집 시 즉각 전사한 내용이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자료 수집 후 1주일 이내에 녹음된 음성파일을 듣고 전사한 단어와 비교하였다. 상이할 경우, 2회 반복하여 듣고 동일하게 들린 단어로 전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말 늦은 아동과 표현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 아동(typically developing expressive language age-matched children, 이하 TED)을 대상으로, 자음 목록 크기 확인을 위해 자발화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음운변이성 실험을 위해 4가지 구조화된 놀이 상황에서 목표 단어를 산출할 기회를 3회 제공하여 발화를 유도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음운발달을 확인할 수 있는 자음 목록 크기와 음운체계의 안정성을 살펴볼 수 있는 음운변이성의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고 자음 목록 크기와 음운변이성 간의 상관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말 늦은 아동이 갖고 있는 문제점은? 말 늦은 아동 중 일부는 표현 어휘 발달이 지속적으로 지연되기 때문에 학령기에 학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표현 어휘 발달에서 지체가 나타났던 2- 3세의 말 늦은 아동들 중 약 25 - 35%는 학령기 이전에 단순언어장애(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SLI)로 진단을 받게 되며, 학령기 이후에도 읽기장애나 학습장애를 나타낸다(Leonard, 1998).
말 늦은 아동이란 무엇인가? 말 늦은 아동(late-talker)은 인지, 사회성 및 대•소근육의 운동능력이 정상적으로 발달하며 청각이나 신경학적 손상을 보이지 않으나(Rescorla, 1989; Paul, 1991), 일반적으로 3세 이전에 표현 어휘 발달에서 뚜렷한 지체가 나타나며 표준화된 언어발달 검사에서 -1SD 미만의 검사 결과를 나타낸다(Rescorla & Ratner, 1996; Rescorla, 2002; Thal, Tobias & Morrison, 1991; 홍경훈, 김영태, 2005).
말 늦은 아동은 학업을 수행하는데 어떤 문제점을 갖는가? 말 늦은 아동 중 일부는 표현 어휘 발달이 지속적으로 지연되기 때문에 학령기에 학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표현 어휘 발달에서 지체가 나타났던 2- 3세의 말 늦은 아동들 중 약 25 - 35%는 학령기 이전에 단순언어장애(Specific Language Impairments: SLI)로 진단을 받게 되며, 학령기 이후에도 읽기장애나 학습장애를 나타낸다(Leonard,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Hong, G. H. & Kim, Y. T. (2005). A longitudinal study of predictors for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of late-talker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 10, No. 1, 1-24. (홍경훈, 김영태 (2005). 종단연구를 통한 말 늦은 아동 (late-talker)의 표현어휘발달 예측요인 분석. 언어청각장애연구, 10권, 1호, 1-24.) 

  2. Hwang, J. K & Ha, S. H. (2012). A study of articulatory variation i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between 2 and 4 years of age.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 17, No. 3, 403-413. (황진경, 하승희 (2012). 2세 후반-4세 아동의 조음 변이성 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17권, 3호, 403-413.) 

  3. Ingram, D. (2002). The measurement of whole-word productions. Journal of Child Language, Vol. 29, No. 4, 713-733. 

  4. Jung, K. H., Pae, S. Y., & Kim, G. S. (2006). The Early Phonological Development of Korean Children.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 11, No. 3, 1-15. (정경희, 배소영, 김기숙 (2006). 12, 18, 24개월 영유아의 음운 발달 특성. 언어청각장애연구, 11권, 3호, 1-15.) 

  5. Kim, M. J. & Pae, S. Y. (2005).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and the ages of consonantal aquisition for korean - 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K-TAC). speech science, Vol. 12, No. 2, 139-149. (김민정, 배소영 (2005). 아동용 조음검사를 이용한 연령별 자음정확도와 우리말 자음의 습득연령. 음성과학, 12권, 2호, 139-149.) 

  6. Kim, Y. T., kim, K. H., Yoon, H. R., & Kim, H. S. (2003). Sequenced language for infant(SELSI). Seoul: Special Education Publishing. (김영태, 김경희, 윤혜련, 김화수 (2003). 영.유아 언어발달 검사(SELSI). 도서출판 특수교육.) 

  7. Leonard, L. B. (1998).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Cambridge, MA: The MIT Press. 

  8. Moon, H. W. & Ha, S. H. (2012). Phonological development in toddlers with cleft palate and typically developing toddlers aged 12-24 month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 17, No. 1, 118-129. (문희원, 하승희 (2012). 12 24개월 구개열 유아와 일반유아의 음운발달. 언어청각장애연구, 17권, 1호, 118-129.) 

  9. Pae, S. Y. & Kwak, K. J. (2011). Korean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y(K M-B CDI) user's guide and technical. Seoul: Mind Press. (배소영, 곽금주 (2011). 맥아더-베이츠 의사소통발달 평가 전문가 지침서. 마인드프레스.) 

  10. Park, H. (2010). Phonological whole-word measures in 2-4years old children. Ph.D.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박현 (2010). 단어단위 분석에 의한 2-4세 아동의 조음음운 특성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1. Paul, R. (1999). Discussion: early speech perception and produc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Vol. 32, No. 4, 247-250. 

  12. Rescorla, L. (1989). The language development survey: a screening tool for language delay in toddlers. Journal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Vol. 54, No. 4, 587-599. 

  13. Rescorla, L. (2002). Language and reading outcomes to age 9 in late-talking toddler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 45, No. 2, 360-371. 

  14. Rescorla, L. & Ratner, N. B. (1996). Phonetic profiles of toddlers with specific expressive language impairment (SLI-E).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 39, No. 1, 153-165. 

  15. Shin, H. J. & Lee, E. J. (2015).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te-talkers through phonological whole-word analysi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 20, No. 2, 157-165.) (신화정, 이은주 (2015). 단어단위 음운 분석에 의한 말 늦은 아동의 음운 특성. 언어청각장애연구, 20권, 2호, 157-165.) 

  16. Shin, H. S., Han, K. J., Oh, K. S., Oh, J. J., & Ha, M. N. (2002). Korean Denver II. Seoul: Hyunmoonsa. (신희선, 한경자, 오가실, 오진주, 하미나 (2002). 한국덴버발달선별검사. 현문사.) 

  17. Sim, H. R. & Ha, S. H. (2014). Comparison of phonological development betwee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nd late talking children aged 18-30 month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 19, No. 1, 99-112. (심혜림, 하승희 (2014). 18-30개월 말 늦은 아동과 일반아동의 음운 발달 비교. 언어청각장애연구, 19권, 1호, 99-112.) 

  18. Smith, A. & Goffman, L. (1988). Stability and patterning of speech movement sequences in children and adult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 41, No. 1, 18-30. 

  19. Sosa, A. V. & Stoel-Gammon, C. (2012). Lexical and phonological effects in early word productio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 55, No. 2, 596-608. 

  20. Stoel Gammon, C. (1989). Prespeech and Early speech development of two late talkers. First Language, Vol. 9, No. 26, 207-223. 

  21. Stone, J. R. & Stoel Gammon, C. (1994). Phonological development and disorders in children. In F D. Minifie (Ed). Introduction to communication science and disorders (pp. 149-187). NY: Delmar Cengage Learning. 

  22. Thal, D., Tobias, S., & Morrison, D. (1991). Language and gesture in late talkers: A 1-year follow up.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 34, No. 3, 604-612. 

  23. Vihman, M. M.. (1996). Phonological development: The origins of language in the child. Cambridge, MA: Blackwell. 

  24. Vihman, M. M., Keren-Portnoy, T., & Schiemenz, S. (2008). The development of phonological systematicity: late talkers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Leeds Working Papers in Linguistics and Phonetics, Vol. 13, 1-22. 

  25. Werker, J. & Curtin, S. (2005). Primir: a developmental framework of infant speech processing. Language Learning and Development, Vol. 1, No. 2, 197-234. 

  26. Williams, A. L. & Elbert, M. (2003).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of phonological development in late talker. Language, Speech, and Hearing Services in Schools, Vol. 34, No. 2, 138-154. 

  27. Zanobini, M., Viterbori, P., & Saraceno, F. (2012). Phonology and language development in italian children: an analysis of production and accuracy.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 55, No. 1, 16-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