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ODIS 영상을 이용한 빙하의 정규청빙지수(NDBI) 개발 및 변화요인 분석
Development of Normalized Difference Blue-ice Index (NDBI) of Glaciers and Analysis of Its Variational Factors by using MODIS Image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0 no.4, 2014년, pp.481 - 491  

한향선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  지영훈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  김연춘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  이훈열 (강원대학교 지구물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빙상이나 빙하, 빙붕에서 푸른색의 얼음이 지표에 노출되어 있는 지역을 청빙지대라 한다. 이는 빙하 표면에 쌓인 눈이 바람에 의해 침식되거나 기온과 일사량에 따른 승화로 인해 대부분 제거되기 때문이다. 청빙지대는 운석이 농집되기 쉽고 빙체의 질량균형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청빙의 노출도 및 밀집도에 대한 정량적 지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07~2012년에 동남극 맥머도 드라이벨리를 촬영한 MODIS 영상을 이용하여 청빙과 눈, 구름의 분광반사특성을 분석하고, 청빙의 노출도 및 밀집도를 정량화 할 수 있는 정규청빙지수(Normalized Difference Blue-ice Index, NDBI) 알고리즘을 고안하였다. 눈과 구름은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파장대역에서 매우 높은 반사율을 나타낸다. 청빙은 청색 파장대역에서 높은 반사율을 보이는 반면에, 근적외선 파장대역에서 낮은 반사율을 보인다. NDBI 알고리즘은 청색과 근적외선 파장대역에서의 반사율 차이를 두 반사율의 합으로 나누는 것으로 표현된다[NDBI = (Blue - NIR)/(Blue + NIR)]. 청빙의 NDBI는 노출도와 밀집도에 따라 0.2~0.5의 값을 가지며, 0.2 이하의 값을 가지는 눈과 구름이나 음수의 값을 나타내는 암석으로부터 명확히 구분되었다. 청빙의 NDBI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현상은 맥머도 드라이벨리의 기상관측소에서 측정된 풍속($R^2=0.012$)이나 기온($R^2=0.278$) 보다는 적설두께와 가장 높은 상관성($R^2=0.699$)을 나타냈다. 적설두께가 증가할수록 NDBI 값은 감소하였는데, 이는 청빙지대의 NDBI 값으로부터 적설량의 추정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NDBI 알고리즘은 운석탐사, 빙체의 질량균형 분석, 적설량 추정 등 다양한 극지연구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lue-ice area is a glacial ice field in ice sheet, ice shelf and glaciers where snow ablation and sublimation is larger than snowfall. As the blue-ice area has large influences on the meteorite concentration mechanism and ice mass balance, it is required to quantify the concentration of blue-ice.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동남극 맥머도 드라이벨리(McMurdo Dry Valleys)의 청빙지대에 대해 MODIS 영상을 획득하여 청빙의 분광특성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청빙의 분포와 밀집도 및 노출도를 정량화할 수 있는 정규청빙지수(Normalized Difference Blue-iceIndex, NDBI)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청빙지대에서 실측된 다양한 기상자료와 정규청빙지수 사이의 상관성을 해석하여 정규청빙지수의 변화요인을 분석하였다.
  • , 1993). 이 연구에서는 식(1)을 맥머도 드라이벨리가 촬영된 MODIS 영상에 적용하고, 청빙의 분포와 상대적 밀집도를 정량화하기 위한 NDBI 알고리즘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청빙지대에서 산출된 NDBI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빙지대의 청빙의 노출도 및 밀집도에 대한 정량적 지표의 개발이 요구되는 이유는? 이는 빙하 표면에 쌓인 눈이 바람에 의해 침식되거나 기온과 일사량에 따른 승화로 인해 대부분 제거되기 때문이다. 청빙지대는 운석이 농집되기 쉽고 빙체의 질량균형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청빙의 노출도 및 밀집도에 대한 정량적 지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07~2012년에 동남극 맥머도 드라이벨리를 촬영한 MODIS 영상을 이용하여 청빙과 눈, 구름의 분광반사특성을 분석하고, 청빙의 노출도 및 밀집도를 정량화 할 수 있는 정규청빙지수(Normalized Difference Blue-ice Index, NDBI) 알고리즘을 고안하였다.
청빙지대란? 빙상이나 빙하, 빙붕에서 푸른색의 얼음이 지표에 노출되어 있는 지역을 청빙지대라 한다. 이는 빙하 표면에 쌓인 눈이 바람에 의해 침식되거나 기온과 일사량에 따른 승화로 인해 대부분 제거되기 때문이다.
청빙지대가 생기는 이유는? 빙상이나 빙하, 빙붕에서 푸른색의 얼음이 지표에 노출되어 있는 지역을 청빙지대라 한다. 이는 빙하 표면에 쌓인 눈이 바람에 의해 침식되거나 기온과 일사량에 따른 승화로 인해 대부분 제거되기 때문이다. 청빙지대는 운석이 농집되기 쉽고 빙체의 질량균형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청빙의 노출도 및 밀집도에 대한 정량적 지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intanja, R., 1999. On the glaciological, meteorological, and climatological significance of Antarctic blue ice areas, Reviews of Geophysics, 37(3): 337-359. 

  2. Bintanja, R., 2000. Surface heat budget of Antarctic snow and blue ice: Interpretation of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5(D19): 24387-24407. 

  3. Bintanja, R., 2001. Snowdrift Sublimation in a Katabatic Wind Region of the Antarctic Ice Sheet,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40(11): 1952-1966. 

  4. Bintanja, R. and C.H. Reijmer, 2001. Meteorological conditions over Antarctic blue-ice areas and their influence on the local surface mass balance, Journal of Glaciology, 47(156): 37-50. 

  5. Bintanja, R. and M.R. van den Broeke, 1995. The surface energy balance of Antarctic snow and blue ice,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34(4): 902-926. 

  6. Bintanja, R., S. Jonsson, and W.H. Knap, 1997. The annual cycle of the surface energy balance of Antarctic blue ic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2(D2): 1867-1881. 

  7. Brown, I.C. and T.A. Scambos, 2004. Satellite monitoring of blue-ice extent near Byrd Glacier, Antarctica, Annals of Glaciology, 39(1): 223-230. 

  8. Doran, P.T., C.P. McKay, G.D. Clow, G.L. Dana, A.G. Fountain, T. Nylen, and W.B. Lyons, 2002. Valley floor climate observations from the McMurdo dry valleys, Antarctica, 1986-2000,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7(D24): 4772. 

  9. Fountain, A.G., T.H. Nylen, A. Monaghan, H.J. Basagic, and D. Bromwich, 2010. Snow in the McMurdo Dry Valleys, Antarctica,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30(5): 633-642. 

  10. Lee, J.I., 2009. 2006-2008 Korea expedition for Antarctic meteorites (KOREAMET),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5(6): 621-6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iston G.E., J.-G. Winther, O. Bruland, H. Elvehoy, K. Sand, and L. Karluof, 2000. Snow and blue-ice distribution patterns on the coastal Antarctic Ice Sheet, Antarctic Science, 12(1): 69-79. 

  12. Orheim, O. and B. Lucchitta, 1990. Investigating climate change by digital analysis of blue ice extent on satellite images of Antarctica, Annals of Glaciology, 14(1): 211-215. 

  13. Scambos, T.A., M. Frezzotti, T. Haran, J. Bohlander, J.T.M. Lenaerts, M.R. van den Broeke, K. Jezek, D. Long, S. Urbini, K. Farness, T. Neumann, M. Albert, and J.-G. Winther, 2012. Extent of low-accumulation 'wind glaze' areas on the East Antarctic plateau: implications for continental ice mass balance, Journal of Glaciology, 58(210): 633-647. 

  14. Spaulding, N.E., V.B. Spikes, G.S. Hamilton, P.A. Mayewski, N.W. Dunbar, R.P. Harvey, J. Schutt, and A.V. Kurbatov, 2012. Ice motion and mass balance at the Allan Hills blue-ice area, Antarctica, with implications for paleoclimate reconstructions, Journal of Glaciology, 58(208): 399-406. 

  15. van den Broeke, M.R. and R. Bintanja, 1995. The interaction of katabatic winds and the formation of blue-ice areas in East Antarctica, Journal of Glaciology, 41(138): 395-407. 

  16. Vermote, E.F., N.Z. El Saleous, and C.O. Justice, 2002. Atmospheric correction of MODIS data in the visible to middle infrared: first result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3(1-2): 97-111. 

  17. Vermote, E.F. and S. Kotchenova, 2008. Atmospheric correction for the monitoring of land surface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13, D23S90. 

  18. Warren, S.G., R.E. Brandt, and R.D. Boime, 1993. Blue ice and green ice, Antarctic Journal of the United States, 28(5): 255-256. 

  19. Winther, J.-G., M.N. Jespersen, and G.E. Liston, 2001. Blue-ice areas in Antarctica derived from NOAA AVHRR satellite data, Journal of Glaciology, 47(157): 325-33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