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시 역세권 TOD계획요소의 공간특성과 지하철 이용객 수의 상관성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OD Planning Elements and Subway Ridership in Busan Metropolitan City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7 no.3, 2014년, pp.147 - 159  

최돈정 (부경대학교 공간정보시스템공학과) ,  서용철 (부경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높은 수준의 TOD(대중교통 지향형 도시개발 : Transit Oriented Development)계획요소는 도시민의 대중교통 이용수요를 상승시키고 이는 지역의 보행환경을 개선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일반적으로 TOD 계획요소는 역세권 주변의 토지이용에 대한 다양성과 대중교통의 접근성, 그외 도시디자인 측면에서 평가되어 왔다. 특히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하는 역세권 개발의 특성상 TOD 계획요소의 공간특성은 주변지역의 범위설정에 의존적일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물리적 TOD계획요소 이외에 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성 또한 대중교통의 수요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TOD에 관한 연구 시 권역설정에 따른 계획요소의 공간특성 변화와 해당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지하철 역 주변을 대상으로 상이한 공간단위별로 도출된 TOD 계획 수준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지하철 이용객 수와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TOD계획요소의 분석 공간단위를 탐색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사회경제적 요소를 추가적으로 적용한 다중 회귀모형과의 비교분석을 수행하여 TOD계획지표 이외에 사회경제적 변수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공간단위의 설정에 따라 TOD계획지표의 공간분포에 변동성을 발견하였고 연구지역에서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특정 공간단위를 도출하였다. 또한 물리적 TOD계획요소 이외에 추가적으로 사회경제적 변수를 적용한 다중 회귀모형이 보다 개선된 추론결과를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blic transportation ridership and walkability of urban district can be enhanced through high quality of TOD(Transit Oriented Development) elements. Generally, TOD have been evaluated several physical components such as the diversity of land use pattern, accessibility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첫 번째는 지하철 주변 지역의 공간범위 설정에 따라 달라지는 TOD 계획요소 간 상관계수의 변화추이를 파악하여 MAUP의 존재 유무를 검증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표는 각 버퍼존으로 산출된 TOD계획요소와 지하철 승하차 인구와의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부산광역시 TOD계획요소 분석 시 효과적인 공간범위를 탐색하는 것이다.
  • 첫째, 동일한 TOD계획지표를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 하였을 시 지하철 승하차 인구 동태를 설명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공간 범위를 파악하는 것이다. 두 번째, 물리적 TOD 계획요소 이외에 추가적으로 사회경제적 변수의 적용에 대한 효용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물리적 TOD계획요소만을 변수로 활용한 모델과 사회 경제적 변수를 포함한 모델로 구분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 아울러 어느 한가지의 요소만이 아닌 TOD계획요소들의 집적은 TOD계획의 목적과도 유기적인 상관성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단위별 TOD계획요소의 정량적 산출결과와 실제 대중교통 이용특성에 관한 다중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공간범위 설정에 따른 부산광역시의 TOD계획요소가 가지는 공간특성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또한 이러한 공간 특성에 따라 지하철의 실제 이용자수와 어떠한 연관성의 변화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전체적인 분석의 절차는 그림 2와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공간범위 설정에 따른 부산광역시의 TOD계획요소가 가지는 공간특성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또한 이러한 공간 특성에 따라 지하철의 실제 이용자수와 어떠한 연관성의 변화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7개 구의 41개지하철 역 주변에 대하여 4 가지의 상이한 공간범위에 따른 TOD계획지표의 변동을 검토하였다. 그 후 지하철 승하차 인구자료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TOD계획요소와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 또한 Oh and Jeong(2013)의 연구를 살펴보면 TOD계획요소가 도시철도의 통행수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 연구들은 본 연구에서 지하철 승하차 인구와 TOD계획요소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는데 있어 논리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다. Cho et al.
  • 또한 물리적 TOD계획요소 이외에 지가, 고용, 소득에 관한 사회경제적 요소를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지역의 TOD계획요소 분석 시 공간범위 설정에 따른 MAUP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다중 회귀 분석결과 도출된 공간단위별 주요 통계량의 비교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적용된 4가지 공간단위 중 통계적으로 가장 신뢰도 있는 공간 단위를 도출하였다.
  • 이러한 연구결과는 TOD 계획요소에 대한 평가 시 지역의 사회경제적 요소 또한 고려되어야 하는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41개 지하철 역사를 중심으로 4가지의 상이한 공간범위를 설정하여 TOD계획요소를 정량적으로 산출하고 결과의 변동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물리적 TOD계획요소 이외에 지가, 고용, 소득에 관한 사회경제적 요소를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한 통계적 추론 결과로써, 파악하고자 한 목표 두 가지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한 통계적 추론 결과로써 파악하고자 한 목표는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 동일한 TOD계획지표를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 하였을 시 지하철 승하차 인구 동태를 설명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공간 범위를 파악하는 것이다. 두 번째, 물리적 TOD 계획요소 이외에 추가적으로 사회경제적 변수의 적용에 대한 효용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물리적 TOD계획요소만을 변수로 활용한 모델과 사회 경제적 변수를 포함한 모델로 구분하여 다중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대중교통 지향형 도시개발이란 무엇인가? 대중교통 지향형 도시개발(TOD : TransitOriented Development, 이하 TOD)은 지하철역과 같은 대중교통 결절점을 중심으로 대중교통시설, 토지이용의 밀도(Density) 및 다양성(Diversity), 보행 친화적 도시설계(Walk Friendly Urban Design)를 핵심요소로 하는 도시개발 방식이다(Sung et al., 2007).
Box Plot의 기능은 무엇인가? 표 3은 공간범위별로 산출된 연구지역 TOD계획지표의 Z-Score에 대한 공간 범위별 Box Plot 이다. Box Plot을 통해 각 지표의 분포에 대해 중앙값과 사분위수, 최대와 최소 값의 위치를 통해 분포형태와 이상치를 판단할 수 있다. 각각의 TOD지표가 가지는 분포를 살펴보면 우선적으로 공간범위별 TOD계획지표의 분포에 변동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ardozo, O.D., J.C. Gracia-Palomares, and J. Gutierrez. 2012. Application of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to the direct forecasting of transit ridership at station-level. Applied Geography 34:548-558. 

  2. Cho, K.M. and Y.T. Cho. 2011. Analysis of planning factors for transit-oriented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4(3): 307-325 (조규만, 조영태. 2011. 대중교통 지향형 도시개발을 위한 계획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24(3):307-335). 

  3. Choi, H,S., T.H. Kim and J.H. Lee. 2013.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by TOD planning elements of subway station area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2):1-15 (최형선, 기태호, 이주형. 2013. 서울시 지하철 역세권의 TOD 계획요소별 공간적 특성 분류.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2):1-15). 

  4. Chung, K.S., S.W. Kim and Y.W. Lee. 2012. A comparative study on the goodness of fit in spatial econometric models using housing transaction prices of Busa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1):43-51 (정건섭, 김성우, 이양원. 2012. 부산시 실거래 주택매매 가격을 이용한 공간 계량 모형의 적합도비교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1):43-51). 

  5. Ewing, R. and R. Cervero. 2001. Travel and the built environment: a synthesi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780(1):87-114. 

  6. Fotheringham, A.S. and D.W.S. Wong. 1991.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in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Environment and Planning A 23(7): 1025-1044. 

  7. Frank, L.D., L.S. Thomas, F.S. Jameson and C.MS. James. 2005. Linking objectively measured physical activity with objectively measured urban form: findings from SMARTRAQ.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8(2): 117-125. 

  8. Hayati S.H., T.P. Soemardi, R. Koestoer and S. Moersidik. 2014. The role of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in constructing urban environment sustainability, the case of Jabodetabek, Indonesia. Procedia Environmental Sciences 20:622-631. 

  9. Houston, D. 2014. Implications of the modifiable areal unit problem for assessing built environment correlates of moderate and vigorous physical activity. Applied Geography 40-47. 

  10. Joo, Y.J., E.J. Ha and C.M. Jun. 2012. An empirical evaluation scheme for pedestrian environment by integrated approach to TOD planning elements.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3):15-25 (주용진, 하은지, 전철민. 2012. TOD 계획 요소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친보행 환경의 평가 방안. 한국공간정보학회지 20(3):15-25). 

  11. Kang, C.D. 2013. Measuring walkability index and its policy implications in Seoul, Korea. Seoul Studies 14(4):1- 25 (강창덕. 2012. 서울시 보행 편의성 지수 측정과 정책과제. 서울도시연구 14(4): 1-25). 

  12. Lim, S.J., J.T. Park and T.H. Kim. 2013.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transport users according to the types of transit station influence areas in Seoul's urban railway'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16(2):129-137 (임삼진, 박준태, 김태호. 2013. 서울시 도시철도 환승역세권 유형별 대중교통이용자 특성 비교연구. 한국철도학회논문집 16(2):129-137). 

  13. Loo, B.P.Y., C. Chen and E.T.H. Chan. 2010. Rail-based transit-oriented development: lessons from New York City and Hong Kong. Landscape Urban Planning 97:202-212. 

  14. Oh, E.Y. and B.H. Jeong. 2013. A study on the impact of TOD planning factors on public transit demand: the case of subway station area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6(4): 219-239 (오은열, 정봉현. 2013. 대도시에 서 TOD계획요소가 대중교통수요에 미치는 영향: 광주광역시 도시철도역세권을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26(4):219-239). 

  15. Shin, Y.H. and J.H. Lee. 2012. An empirical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and classifying of TOD planning elements affecting demand of the Seoul subway. Design Convergence Study 11(3):125-143 (신임호, 이주형. 서울시 지하철 유동 통행에 영향을 미치는 대중교통 지향형 개발(TOD) 계획요소의 통합유형화 및 실증분석. 디자인융복합연구 11(3): 125-143). 

  16. Sim, J.S., H.Y. Kim, K.W. Nam and S.H. Lee. 2013.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subway influence areas using a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1):67-79 (심준석, 김호용, 남광우, 이성호, 2013. 지리가중회귀모델을 이용한 역세권 공간구조 특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1):67-79). 

  17. Sung, H.G., J.H. Park and D.J. Kim. 2007. Impact analyses of transit-oriented development and revising current transportation and urban planning laws for its application in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성형곤, 박지형, 김동준. 2007. 대중교통지향형 도시개발의 효과 분석 및 유도기법 적용방안.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총서 2007-03). 

  18. Sung, H., K. Choi, S. Lee and S.H. Cheon. 2014. Exploring the impacts of land use by service coverage and station-level accessibility on rail transit ridership.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36: 134-140. 

  19. Tresidder, M. 2005. Using GIS to Measure Connectivity: An Exploration of Issues. Portland State University. 

  20. Villanueva, K., M. Knuiman, B.G-C. Nathan, H. Christian, S. Foster and F. Bull. 2014. The impact of neighborhood walkability on walking: does it differ across adult life stage and does neighborhood buffer size matter?. Health, Place 25:43-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