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동차와 트램 교통신호 통합운영기술 개발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책임자 김영찬
참여연구자 정다운 , 김도경 , 이민형 , 오윤근 , 조은희 , 한여희 , 정희정 , 이인규 , 김준원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6-01
과제시작연도 2014
주관부처 국토교통부
사업 관리 기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등록번호 TRKO201600000367
과제고유번호 1615007119
DB 구축일자 2016-04-16

초록

1. 연구배경 및 목적
◦ 최근에 도시부 녹색교통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기존의 도시철도, 버스와는 다른 친환경 신교통수단의 도입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고, 국내 교통의 환경문제에 대한 패러다임도 변화하여 지속가능한 교통수단의 일환으로 무가선 트램 시스템 도입이 검토되고 있음
◦ 트램은 현재 유럽과 북미의 선진국에서는 도심교통의 주요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고, 다양한 신호운영기법을 통해 신호운영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있음
◦ 대중교통으로 수단전환을 위해 지속적인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자가용의 이용률은 지

Abstract

1. Project Background
◦ Trams provide high-quality service and are an urban transportation mode suitable for solving problems related to energy deficiency and weather changes.
◦ Currently, Trams are used as the significant urban transportation mode around Europe and North America, improving th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요약 ... 3
  • SUMMARY ... 7
  • CONTENTS ... 11
  • 목차 ... 14
  • 표목차 ... 17
  • 그림목차 ... 23
  • 제1장 연구개발과제 개요 ... 31
  • 제1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33
  •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33
  • 2. 연구의 목적 ... 35
  • 제2절 연구개발의 정의 및 목표 ... 36
  • 1. 연구개발의 정의 및 범위 ... 36
  • 2.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 38
  • 제3절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40
  • 1. 대중교통 우선신호 사례 분석 ... 40
  • 2. 트램의 도입 사례 분석 ... 44
  • 3. 트램 운영 시스템 사례 분석 ... 48
  • 4. 간선도로 신호최적화 관련 연구 ... 68
  • 5. 신호운영 평가 시스템 관련 연구 ... 70
  • 6. 국내 외 법제도 현황 분석 ... 77
  • 7. 선행연구 검토 결과 ... 85
  • 제4절 연구결과의 우수성 및 차별성 ... 88
  • 제2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 91
  • 제1절 연구수행 전략 및 방법론 ... 93
  • 1. 연구의 흐름 및 추진체계 ... 93
  • 2. 통합 신호제어의 요구기능 정의 ... 96
  • 3. 통합 신호제어 전략의 구성 ... 100
  • 4. 통합 신호운영 시스템 정의 ... 106
  • 제2절 통합 신호운영전략의 개발 ... 119
  • 1. 트램 신호운영전략의 개요 ... 119
  • 2. Progression Control 전략 개발 ... 125
  • 3. Tram-Stop Signal Control 전략 개발 ... 143
  • 4.Tram Priority Control 전략 개발 ... 159
  • 5. 통합 신호제어 알고리즘 개발 및 S/W 구현 ... 170
  • 6. 통합 신호제어 알고리즘 평가 ... 185
  • 제3절 다수단 통합 신호제어기 개발 ... 203
  • 1. 정보연계모듈 개발 ... 203
  • 2. 정보연계모듈 제작 ... 206
  • 3. 정보연계모듈 기능 시험 ... 208
  • 4. 신호제어기 알고리즘 S/W 구현 ... 209
  • 5. 통합 신호제어기 제작 ... 228
  • 제4절 다수단 통합신호제어 시뮬레이터 개발 ... 233
  • 1. 대중교통 신호제어 평가 방법론 개발 ... 233
  • 2. 통합 신호제어 시뮬레이터 개발 ... 240
  • 제5절 통합 신호운영전략의 평가 결과 ... 277
  • 1. 시뮬레이션 분석 개요 ... 277
  • 2. 시뮬레이션 계획 설계 ... 278
  • 3.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 ... 294
  • 제3장 최종 연구성과 및 실적 ... 365
  • 제1절 연구 개발 실적 ... 367
  • 1. 연구수행 내용 및 성과 ... 368
  • 2. 연구 산출물 요약 ... 371
  • 제2절 주요 연구성과 ... 378
  • 1. 연구성과의 우수성 ... 378
  • 2. 기술성숙도 수준 ... 380
  • 제3절 기술개발 성과의 국내・외 시장 전망 ... 382
  • 1. 국내 트램 통합신호제어기 및 시스템 수요예측 ... 382
  • 2. 해외 시장규모 예측 ... 386
  • 제4장 연구목표 달성 및 효과 ... 391
  • 제1절 연구개발 최종목표 달성도 ... 393
  • 제2절 연구개발 성과 효과분석 ... 395
  • 1. 기술적 측면의 기대효과 ... 395
  • 2. 학술적 측면의 기대효과 ... 395
  • 3. 공공적 측면의 기대효과 ... 395
  • 4. 경제․산업적 측면의 기대효과 ... 395
  • 5. 선진 기술과의 격차 해소 ... 397
  • 제5장 연구성과의 활용 및 추가연구의 필요성 ... 398
  • 제1절 연구성과의 향후 활용방안 ... 400
  • 1. 연구성과의 활용계획 ... 400
  • 2. 연구성과의 실용화 계획 ... 403
  • 3. 과제 간 성과물 연계 방안 ... 406
  • 제2절 추가연구의 필요성 ... 408
  • 참고문헌 ... 410
  • 끝페이지 ... 417

표/그림 (193)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