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16F1세포에서 항산화 활성 및 멜라닌 합성에 대한 유백피 에탄올 추출물의 효능
Effect of Ulmus macrocapa Ethanolic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Melanin Synthesis in B16F1 Cell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4 no.9 = no.173, 2014년, pp.946 - 951  

권은정 (동의대학교 화학과) ,  박혜정 (동의대학교 화학과) ,  김문무 (동의대학교 화학과) ,  이경록 ((주)아미코스메틱) ,  홍일 ((주)아미코스메틱) ,  이도경 ((주)아미코스메틱) ,  오영희 (동의대학교 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멜라닌은 superoxide, hydroxyl radical, singlet oxygen, hydrogen peroxide와 같은 활성산소를 생성하는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나 지질, 단백질, DNA 산화를 야기시키는 활성산소는 주근깨와 기미의 원인으로 알려진 melanin 과잉생산을 유도한다. 한약재중에서 본 연구에 사용된 유백피는 주요 성분으로 flavonoids를 함유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B16F1에서의 유백피 에탄올 추출물의 미백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조사한 것이다. UMEE는 $3.12{\mu}g/ml$ 이하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보여주지 않았다. 항산화 실험에서 UMEE는 높은 환원력과 DPPH 소거효과를 보여주었다. 더욱이 UMEE는 지질과산화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UMEE는 in vitro에서 tyrosinase활성에 대한 억제효과는 없었다. 그러나 UMEE는 melanogenesis에서 중요한 효소인 tyrosinase 및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UMEE가 항산화 활성뿐 만 아니라 tyrosinase 및 TRP-2의 발현억제를 통한 미백효과를 나타내어, 피부에 미백효과를 줄 수 있는 기능적인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lanin plays a key role in the protection of skin from ultraviolet light that generates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uch as superoxide, hydroxyl radical, singlet oxygen and hydrogen peroxide. However, the ROS leading to the oxidation of lipids, proteins and DNA are involved in the overproduc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백피(Ulmus macrocarpa)는 느릅나무의 껍질로서 관절염을 억제하는 천연물로 잘 알려진 한약재이지만 피부미백효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와 같은 효과를 가지고 있는 유백피의 피부 미백효과 및 항 산화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 호흡과 대사과정을 통해 생성되는 ROS는 체내에서 radical로 작용하여 세균 및 바이러스로부터 조직 및 기관을 보호하지만 과도하게 발생할 경우 세포 손상을 야기시키고 암, 당뇨, 관절염 등의 질병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노화를 촉진시킨다고 알려져 있다[3]. 따라서 본 연구에서 UMEE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TBARS, 환원력 측정실험을 수행하였다. 환원력 측정 실험에서 나타난 UMEE의 높은 환원력은 radical에 의한 tyrosin의 산화를 억제하여 산화를 통한 합성기전을 차단시켜 UMEE의 새로운 melanin 합성 억제효과의 가능성을 제시한다[9].
  • DOPAquinone이 산화되어 생성된 DOPAchrome은 TRP -2에 의하여 melanin으로 전환된다. 본 연구에서는 TRP-2가 관여하는 melanin합성 과정에서의 UMEE의 작용을 조사하기 위해 western blot을 수행 하였다. 그 결과UMEE는 tyrosinase 및 TRP-2 단백질 발현을 억제시키는 것을 통하여 TRP-2에 의한 melanin 합성을 유의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Tyrosinase 는 인체내의 melanin 생합성 경로에서 가장 중요한 초기 속도결정단계에 관여하는 효소로서 많은 미백 성분이 이 효소를 억제하는 작용기전을 가지고 있다. 이 시험은 In vitro에서 tyrosinase의 활성을 저해하는 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백피란? 하지만 이런 물질들은 안정성의 문제로 인해 현재 사용에 제한을 두고 있다. 유백피(Ulmus macrocarpa)는 느릅나무의 껍질로서 관절염을 억제하는 천연물로 잘 알려진 한약재이지만 피부미백효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와 같은 효과를 가지고 있는 유백피의 피부 미백효과 및 항 산화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Melanin은 어떠한 과정에서 합성이 되는가? Melanin은 신체의 눈동자, 머리카락 또는 피부색등을 결정짓는 색소로서 자외선과 같은 외부로부터의 자극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과정에서 합성된다. 자외선에 의해 피부가 자극을 받으면 표피의 melanocyte에 존재하는 melanocortin 1 receptor (MC1R)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 (α-MSH)과 결합하여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cAMP)/protein kinase A (PKA) 경로에 의해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의 발현이 증가된다[1, 4, 12].
vitamin C와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는 미백제는? 대표적인 항산화제로 알려진 vitamin C는 미백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는 물질로서 tyrosinase의 활성부위에 결합하여 활성을 억제한다. 비슷한 효과를 나타내는 albutin도 미백제로서 잘 알려진 물질이다. 하지만 이런 물질들은 안정성의 문제로 인해 현재 사용에 제한을 두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Dumaz, N., Hayward, R., Martin, J., Ogilvie, L., Hedley, D., Curtin, J. A., Bastian, B. C., Springer, C. and Marais, R. 2006. In melanoma, RAS mutations are accompanied by switching signaling from BRAF to CRAF and disrupted cyclic AMP signaling. Cancer Res 66, 9483-9491. 

  2. Hachinohe, M. and Matsumoto, H. 2005. Involvement of reactive oxygen species generated from melanin synthesis pathway in phytotoxicty of L-Dopa. J Chem Ecol 31, 237-246. 

  3. Halliwell, B. 1991. Reactive oxygen species in living systems: source, biochemistry, and role in human disease. Am J med 91, S14-S22. 

  4. Hauser, J. E., Kadekaro, A. L., Kavanagh, R. J., Wakamatsu, K., Terzieva, S., Schwemberger, S., Babcock, G., Rao, M., Ito, S. and Abdel Malek, Z. A. 2006. Melanin content and MC1R function independently affect UVR­induced DNA damage in cultured human melanocytes. Pigment Cell Res 19, 303-314. 

  5. Hunt, G., Donatien, P. D., Lunec, J., Todd, C., Kyne, S. and Thody, A. J. 1994. Cultured human melanocytes respond to MSH peptides and ACTH. Pigment Cell Res 7, 217-221. 

  6. Hwang, J. -H. and Lee, B. M. 2007. Inhibitory effects of plant extracts on tyrosinase, L-DOPA oxidation, and melanin synthesis. J Toxicol Environ Health A 70, 393-407. 

  7. Imai, J., Ide, N., Nagae, S., Moriguchi, T., Matsuura, H. and Itakura, Y. 1994.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aged garlic extract and its constituents. Planta Med 60, 417-420. 

  8. Korner, A. and Pawelek, J. 1982. Mammalian tyrosinase catalyzes three reactions in the biosynthesis of melanin. Science 217, 1163-1165. 

  9. Korytowski, W. and Sarna, T. 1990. Bleaching of melanin pigments. Role of copper ions and hydrogen peroxide in autooxidation and photooxidation of synthetic dopamelanin. J Biol Chem 265, 12410-12416. 

  10. Lorincz, A. L. 1985. Disturbances of melanin pigmentation. Dermatology. Philadelphia: WB Saunders. 

  11.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apanese J Nutr 44, 307-315. 

  12. Park, S. Y., Jin, M. L., Kim, Y. H., Kim, Y. and Lee, S. -J. 2011. Aromatic-turmerone inhibits ${\alpha}$ -MSH and IBMX-induced melanogenesis by inactivating CREB and MITF signaling pathways. Arch Dermatol Res 303, 737-744. 

  13. Seagle, B. L., Rezai, K. A., Gasyna, E. M., Kobori, Y., Rezaei, K. A. and Norris, J. R. 2005. Time-resolved detection of melanin free radicals quenching reactive oxygen species. J Am Chem Soc 127, 11220-11221. 

  14. Shibahara, S., Yasumoto, K. I., Amae, S., Udono, T., Watanabe, K. I., Saito, H. and Takeda, K. 2000. Regulation of pigment cell­specific gene expression by MITF. Pigment Cell Res 13, 98-102. 

  15. Slominski, A., Moellmann, G., Kuklinska, E., Bomirski, A. and Pawelek, J. 1988. Positive regulation of melanin pigmentation by two key substrates of the melanogenic pathway, L-tyrosine and L-dopa. J Cell Sci 89, 287-296. 

  16. Slominski, A., Tobin, D. J., Shibahara, S. and Wortsman, J. 2004. Melanin pigmentation in mammalian skin and its hormonal regulation. Physiol Rev 84, 1155-1228. 

  17. Tadokoro, T., Kobayashi, N., Zmudzka, B. Z., Ito, S., Wakamatsu, K., Yamaguchi, Y., Korossy, K. S., Miller, S. A., Beer, J. Z. and Hearing, V. J. 2003. UV-induced DNA damage and melanin content in human skin differing in racial/ ethnic origin. FASEB J 17, 1177-1179. 

  18. Wiseman, H. and Halliwell, B. 1996. Damage to DNA by reactive oxygen and nitrogen species: role in inflammatory disease and progression to cancer. Biochem J 313, 17-2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