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best extraction solvent for application of Ulmi cortex to food or herbal medicine as an antioxidant only using water, ethanol and their mixtures. Methods : The Ulmi cortex extracts were prepared using water and 10%, 20%, 30%, 40%, 50%, 60%, 70%, 80%, 9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DPPH 억제에 대한 주요 활성성분으로 flavanonol, flavanone, proanthocyanidin들을 분리하여, 그 중 catechin이 가장 강한 활성을 나타낸다고 보고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백피 추출물을 천연 항산화 소재로서 식품 및 한약에 활용하기 위하여 인체에 유해한 유기용 매들을 배제하고 물과 에탄올만을 용매로 사용하여 최적의 추출용매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인체에 안전한 천연항산화소재의 개발을 위하여, 식품공전에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원료의 목록으로 등재 되어 있는 유백피로부터 물과 에탄올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최적의 추출조건을 알아보고자, 에탄올 함량별로 추출하여 수율, 폴리페놀 함량 및 카테킨 함량을 분석하고, DPPH 라디칼, ABTS 라디칼 및 LPO 억제활성 시험을 통하여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백피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선택된 유백피 (Ulmi Cortex)는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왕느릅나무 (Ulmus macrocarpa Hance)의 껍질을 건조한 것으로 동의보감8)에는 임병, 불면, 대소변이 안 나오는 것을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한다고 되어 있다. 유백피에 관한 연구는 소염, 진통, 항암, 항균작용 등에 관한 보고가 있다9-11).
본 연구에서 물과 에탄올만을 용매로 사용하여 최적의 추출용매조건을 찾은 결과는 어떠한가? 연구결과 수율은 물 추출물, 20% 에탄올 추출물과 30% 에탄올 추출물이 유사한 수준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총 폴리페놀함량은 30% 에탄올 추출물이 다른 추출물들에 비교하여 다른 용매 추출물들과 비교하여 월등히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따라서 총 폴리페놀로서의 수율 또한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모든 추출물과 비교하여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활성은 물 추출물로부터 에탄올함량이 30%로 증가함에 따라 활성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30%에서 100%까지 에탄올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수율과 항산화활성 및 에탄올에 대한 비용을 고려하면 30% 에탄올이 천연항산화소재로서의 유백피 추출물의 제조를 위한 최적의 용매이다.
활성산소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활성산소는 암, 동맥경화, 류마티스 및 다양한 노인성 질환과 노화를 비롯한 많은 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고1), 식품, 특히 지질 함유식품에서 산화는 영양가를 감소시키거나 색과 향미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항산화제는 경제성과 안전성을 이유로, 합성 항산화제인 butylated hydroxy anisole(BHA)이나 butylated hydroxy toluene(BHT)의 두 종류가 있으나.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Halliwell B. Establishing the significance and optimal intake of dietary antioxidants: The biomarker concept. Nutr. Rev. 1999;57:104-113. 

  2. Yang GH, Choi SY.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Korean J. Food Sci. Technol. 1982;14:283-288. 

  3. Ito N, Fukushima S, Tsuda H. Carcinogenicity and odification of the carcinogenic response by BHA, BHT, nd other antioxidants. Crit. Res. Toxicol. 1985:15:109-150. 

  4. Zheng W. Wang SY.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in selected herbs. J Agric. Food Chem. 2001;49:5165-5170. 

  5. Ko MS, Yang JB.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milax china leaf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2011;18:7640-772. 

  6. Lee JH, Park AR, Choi DW, Kim JD, Kim JC, Ahn JH et al.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s and electron-donating ability of 4 Korean wild sannamuls. Korean J. Medicinal Crop. 2011;19:111-116. 

  7. Jin SY.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Pomegranate endocarp.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1;40:1635-1641. 

  8. Heo J. Donguibogam. 6th rev. ed. Seoul : Namsandang. 2001:739. 

  9. Hong ND., Rho YS, Kim NJ, Kim JS. A study on efficacy on Ulmi cortex. Korean J. Pharmacogn. 1990;21:217-222. 

  10. Park YK, Jung SJ, Jang TJ, Lee JH. Effects of Ulmi cortex extract on cell apoptosis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Kor. J. Herbology. 2006;21:51-58. 

  11. Park JS, Shim CJ, Jung JH, Lee GH, Sung CK, Oh MJ. Antimicrobial activity of Ulmi cortex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9;28(5):1022-1028. 

  12. Lee KH, Jeon EK, Yoo SY, Oh MJ. Antioxidant activity of Ulmi cortex extract.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2000;7:373-379. 

  13. Kwon YM, Lee JH, Lee MW. Phenolic compounds from barks of Ulmus macrocarpa and its antioxidative activities. Korean J. Pharmacogn. 2002;33:404-410. 

  14. Dewanto V, Wu X, Adonm KK, Liu, RH. Thermal processing enhances the nutritional value of tomatoes by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2002;50:3010-3014. 

  15. Williams WB, Cuvelier ME, Berset C.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ebensmittel Wissenscaft und Technologie. 1995;28:25-30. 

  16.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al Bio. Med. 1999;26:1231-1237. 

  17. Thaipong K, Boonprakob U, Crosby K. Comparison of ABTS, DPPH, FRAP and ORAC assays for estimating antioxidant activity from guava fruit extracts. J. Food Compos. Anal. 2006;19:669-675. 

  18. Siddhuraju P. Antioxidant activity of polyphenolic compounds extracted from defatted raw and dry heated Tamarindus indica seed coat. LWT Food Sci. Technol. 2007;40:982-990. 

  19. Kitts DD, Arosha NW, Chun H. Antioxidant properties of a North American ginseng extract. Mol. Cell. Biochem. 2000;203:1-10. 

  20. Li X, Xiaoting W, Ling H. Correlation between antioxidant activities and phenolic contents of radix Angelicae sinensis (Danggui). Molecules. 2009;14:5349-5361. 

  21. Canadanovic-Brunet JM, Djilas SM, Cetkovic GS, Tumbas VT.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wormwood(Artemisia absinthium L.) extracts. J. Sci. Food Agr. 2005;85:265-272. 

  22. Kim EJ, Choi JY, Yu M, Kim MY, Lee Sh, Lee BH.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2;44(3):337-342. 

  23. Pellegrini N, Re R, Yang M, Rice-Evans CA. Screenjng of dietary c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the 2,2'-azobis(3-ethylene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s Enzymol. 1999;299:379-389. 

  24. Sevanian A, Ursini F. Lipid peroxidation in membranes and lowdensity lipoprotein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Free Radical Biol. Med. 2000;29:306-311. 

  25. Gerhard S. Linoleic acid peroxidation-the dominant lipid peroxidation process in low density lipoprotein-and its relationship to chronic diseases. Chemistry and physics of lipids. 1998;95:105-162. 

  26. Middleton E, Kandaswami C, Theoharides TC. The effects of plant flavonoids on mammalian cells: implications for inflammation heart disease and cancer. Pharmacol. Rev. 2000;52:673-8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