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9, 2014년, pp.85 - 92
This study analyzes what kind of representation strategies make popularity in Silence. As audiences come together in cyber public sphere, 'participatory spectatorship' is made. Its sources are classical narrative mode and collective memories which are the devices to goad audience to anger. Silence 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영화 <도가니>의 의의는 무엇인가? | 개봉 첫날부터 13만 관객을 동원하였으며, 최종 관객 수 466만 이상을 달성했다[2]. 하지만 이 영화의 의미는 단지 관객 수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영화를 보고 난 관객의 행동에 있다. 성폭력 피해 아동들이 겪은 고통에 대한 공감을 넘어서서 행위자로서의 참여적인 관객성(participatory spectatorship)의 면모를 보여준 것이다. | |
자기반영적 영화의 특징은 무엇인가? | 이는 관객의 분노를 일깨우는 일종의 장치라고 할 수 있는데, 거기에 집단적 기억의 환기가 더해져서 관객의 분노는 극대화되고, 마침내 참여적인 관객성을 이끌어낼 수 있는 큰 힘으로 작용한다. 영화를 통해 현실을 직시하고, 자신을 성찰하게 하는 것은 자기반영적 영화의 특징에 속한다[3]. 특히 ‘실화’라는 사실은 관객을 환영의 세계에 머물게 하지 않고 영화를 보는 내내 끊임없는 현실자각 및 성찰을 하게 하는데, 이러한 점에서<도가니>는 자기반영적이라고 할 수 있다. | |
실화는 영화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가? | 영화를 통해 현실을 직시하고, 자신을 성찰하게 하는 것은 자기반영적 영화의 특징에 속한다[3]. 특히 ‘실화’라는 사실은 관객을 환영의 세계에 머물게 하지 않고 영화를 보는 내내 끊임없는 현실자각 및 성찰을 하게 하는데, 이러한 점에서<도가니>는 자기반영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영화에서 문제가 되는 것은 사회적 윤리를 일깨우기 위해 비윤리적 표현방식을 이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
P. Bourdieu, 예술의 규칙-문학 장의 기원과 구조, 하태환 역, 동문선, p.286, 1992.
http://www.kobis.or.kr
서대정, "자기반영의 미학과 영화적 구현", 영화연구, 제32호, p.136, 2007.
안숭범, "다르덴 형제 영화에서 '노동'의 의미와 형식미학",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9호, p.94, 2012.
http://www.labor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8248
P. Levy, 전재연 역, 디지털시대의 가상현실, 궁리, p.32, 2002.
최항섭, "레비의 집단지성 : 대중지성을 넘어 전문가지성의 가능성 모색",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26권, 제3호, p.289, 2009.
M. Halbwachs, On Collective Memorie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38, 1992.
김겸섭, "아르토의 잔혹극 연구", 인문과학연구, 제28권, p.115, 2004.
R. Stam, Reflexivity in Film and Literature: From Don Quixote to Jean-Luc Godard, New York: Columbia UP, p.77, 1992.
문관규, "한국 독립영화에 나타난 자기반영적 미학과 희극 전략 연구-윤성호, 곡사를 중심으로", 영화연구, 제54호, p.119, 2012.
피종호, "영화의 디스포지티브와 자기반영성", 카프카연구, 제12집, p.408, 2005.
강정석, "실제 사건을 다룬 영화의 현실 효과에 대한 단상- 와 을 중심으로", 문화과학, 제71권, pp.193-96, 2012.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