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천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Jecheon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2 no.3, 2014년, pp.176 - 210  

한정은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임진아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오연숙 (한국교사식물연구회) ,  이만규 (한국교사식물연구회) ,  최미숙 (한국교사식물연구회) ,  김갑성 (한국교사식물연구회) ,  김효진 (한국교사식물연구회) ,  안진성 (한국교사식물연구회) ,  최은경 (한국교사식물연구회) ,  이호균 (한국교사식물연구회) ,  이병윤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의 중부에 위치한 제천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조사하였다. 2013년 3월부터 동년 10월까지 총 18회의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127과 411속 678종 9아종 70변종 6품종 2교잡종의 765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환경부 법적보호종인 멸종위기야생식물은 6분류군이며,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은 21과 26속 29종의 29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한반도 고유종은 2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122분류군으로 5등급 12분류군, 4등급 13분류군, 3등급 34분류군, 2등급 11분류군, 1등급 52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외래식물은 58분류군(7.58%)이 조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cientific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Jecheon, located in the middl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e have surveyed the vascular plants of the above region from March to October 2014 (18 times). Totally, we identified 765 taxa; 127 families, 411 genera, 678 species, 9 su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제천 지역의 식물상 연구는 일부 지역에 한정되어 있어 제천시 전체의 식물자원을 보전∙관리하는 데 있어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천 일대에서 채집한 석엽표본을 근거로 식물상과 식물분포 특성을 밝혀 이 지역의 자연자원 보존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국의 중부에 위치한 제천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조사하였다. 2013년 3월부터 동년 10월까지 총 18회의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금까지 제천시 전체의 식물자원을 보전∙관리하는 데, 한계가 있었던 이유는? (2006)은 백운산 일대에서 80과 226속 287종 45변종 6품종 총 338분류군을 밝힌 바 있다. 이와 같이 제천 지역의 식물상 연구는 일부 지역에 한정되어 있어 제천시 전체의 식물자원을 보전∙관리하는 데 있어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천 일대에서 채집한 석엽표본을 근거로 식물상과 식물분포 특성을 밝혀 이 지역의 자연자원 보존 대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천시는 어떤 지역인가? 제천시는 충청북도 북부에 위치하는 중부내륙지역으로 월악산, 소백산, 치악산 등 높은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형태의 지역이다. 서쪽으로 충주시, 동쪽으로 영월군과 단양군, 북쪽으로 원주시와 영월군 남면, 남쪽으로 문경시의 경계에 위치하며(동경 127°55′25′′~128°20′10′′, 북 위 36°48′35′′~37°15′20′′), 총 면적은 883.
제천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조사하기 위해, 2013년에 18회의 현지조사를 수행한 결과는? 2013년 3월부터 동년 10월까지 총 18회의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127과 411속 678종 9아종 70변종 6품종 2교잡종의 765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환경부 법적보호종인 멸종위기야생식물은 6분류군이며,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은 21과 26속 29종의 29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한반도 고유종은 2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122분류군으로 5등급 12분류군, 4등급 13분류군, 3등급 34분류군, 2등급 11분류군, 1등급 52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외래식물은 58분류군(7.58%)이 조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Choi I-S, S-Y Kim and B-H Choi. 2013. Taxonomic position and genetic differentiation of Korean Astragalus mongholicus Bunge. Korean J. Pl. Taxon. 43:12-21. 

  2. Cronquist A. 1981.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3. Eom J-A, J-C Yang, C-S Jang, C-G Jang, C-H Lee, K-S Kim and B-U Oh. 2006. The flora of Geumsusan in Woraksan National Park. Bull. Nat. Sci. 20:87-98 (in Korean). 

  4. Jang C-G. 2002. A taxonomic review of Korean Polygonatum (Ruscaceae). Korean J. Pl. Taxon. 32:417-4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Jang C-G, B-U Oh and Y-S Kim. 1998. A new species of Polygonatum (Liliaceae) from Koera: P. infundiflorum. Korean J. Pl. Taxon. 28:209-215. 

  6. Jang C-S, J-A Eom, J-C Yang, C-G Jang, C-H Lee, K-S Kim and B-U Oh. 2006. The flora of Baegunsan (Jecheon-si). Bull. Nat. Sci. 20:99-114. (in Korean) 

  7. Jecheon-si. 2014. Jecheon statistical yearbook. Jecheon. (in Korean) 

  8. Kang YB and DU Lee. 2005. Geomorphological landscape of Jecheon?Danyang. 2e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pp. 1-9. (in Korean) 

  9. Kil JH, SM Hwang, DH Lee, DE Kim, YH Kim, CW Lee, HM Kim, MJ Kim, JM Kim and GJ Oh. 2011. Alien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in Korean) 

  10. Kim J-H, Y-S Kwak and H-T Mun. 1992. Classification of Calcicoles and Calcifuges on the Basis of the Ratio of Soluble to Insoluble Ca2+ and Mg2+ in the Leaves. Korean J. Ecol. 15:311-328. 

  11. Kim JS and TY Kim. 2011.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Paju. (in Korean) 

  12. Korean Fern Society. 2006.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in Korean) 

  13. Korea National Arboretum. 2004.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4. Lee BY, GH Nam, JY Lee, CH Park, CE Lim, MH Kim, SJ Lee, TK Roh, JA Lim, JE Han and JH Kim. 2011.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Vascular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in Korean) 

  15. Lee NS. 2011. Illustrated Flora of Korean Orchids.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Seoul. (in Korean) 

  16. Lee TB. 1999. Illustrated Flora of Korea. Hayangmunsa. Seoul. (in Korean) 

  17.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ayangmunsa. Seoul (in Korean). 

  18.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ed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in Korean) 

  19.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Kyohaksa. Seoul. (in Korean) 

  20. Melchior H. 1964. An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 

  21.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The Guide to the Thi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pp. 127-153. (in Korean) 

  22.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0. Endemic species of Korea. GeoBook. Seoul. pp. 318-415. (in Korean) 

  23.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in Korean) 

  2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Ecosystem Disturbance Wild animals and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pp. 54-168. (in Korean) 

  25. Oh HU. 2008. A taxonomic review of Korean Asarum (Aristolochiaceae). Korean J. Pl. Taxon. 38:251-2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Oh YC. 2006. Korean Caricoideae of Cyperaceae. Sungshin Women's University Press. Seoul. (in Korean) 

  27. Paik WK, CM Shin and SG Han. 2005. Flora of Jecheon.Danyang. 2e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pp. 47-76. (in Korean) 

  28.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in Korean) 

  29. Smith AR, KM Pryer, E Schuettpelz, P Korall, H Schneider and PG Wolf. 2006. A Classification for extant ferns. Taxon 55:705-731. 

  30. So S and M Kim. 2008. A Taxonomic Study of Asarum (Aristolochiaceae). Korean J. Pl. Taxon. 38:121-1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Yang J-C, J-E Eom, C-S Jang, C-G Jang, C-H Lee, K-S Kim and B-U Oh. 2006. Flora and present vegetation status of Seokgiam and its adjacent regions. Bull. Nat. Sci. 20:73-86. (in Korean) 

  32. You J-H. 2005. The Vascular plants in construct-reserved site of ecological forest, Jecheon-si, Chungcheongbuk-do. Kor. J. Environ. Ecol. 19:31-45.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