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원도 설악산의 식물상
Flora of Mt. Seorak, Gangwon-do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4 no.4, 2010년, pp.436 - 486  

홍문표 (강릉원주대학교 환경문제연구센터) ,  이호준 (건국대학교 생물학과) ,  전영문 (순천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  홍보람 (강릉원주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설악산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상을 1984년부터 2010년까지 조사한 결과, 총 109과 463속 814종 1아종 122변종 57품종 총 994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된 994분류군 중 한국특산식물은 53분류군,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은 60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V등급 42분류군, IV등급 27분류군, III등급 58분류군, II등급 57분류군, I 등급 64분류 군 등 총 248분류군이 분포하였다. 그리고 귀화식물은 60분류군이 확인되었는데 국화과가 전체의 31.7%로 가장 높게 분포하였으며, 귀화율은 6.0%로 나타났다. 또한 생활형조성은 반지중식물(27.6%), 지중식물(25.0%), 지상식물(21.8%) 등이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vascular flora of Mt. Seorak had been researched from 1984 to 2010, and this research revealed 994 taxa in total, including 814 species, 1 subspecies, 122 varieties and 57 forms in 463 genera, 109 families. Among them were 53 taxa of Korean endemic species, 60 taxa of rare and endangered speci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설악산의 자연자원을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전체 소산식물상에 대한 종합적인 파악이 필요하다. 본 연구결과는 장기간(1984~2010)의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조사를 통하여 확인된 자료를 토대로 설악산국립공원 내에 분포하고 있는 식물의 종류를 정확히 밝히고 기존의 연구내용들과 비교하여 그 변화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설악산에 분포하는 식물종들은 무엇이 있는가? 특히, 고도 변화에 따른 기온 감율(0.55℃/100m)을 고려한 설악산의 저지대와 산 정상과의 연평균기온의 차이는 약 9℃정도로 높은 편이어서 설악산에는 극지고산식물(arctic-alpine plant), 고산식물(alpine plant), 북방계식물(boreal plant), 온대성 상록침엽수와 낙엽활엽수, 그리고 난온대성(warm temperate) 식물까지 다양한 식물종이 분포하고 있다. 특히 내륙의 산악 지대와 접해 있는 내설악의 저지대에는 북방계 식물이 많은 편이며, 동해와 접해 있는 외설악의 저지대에는 남방계 식물을 많이 볼 수 있다.
설악산이 지리적으로 중요한 지역인 이유는? 본 연구의 대상지역인 설악산은 한반도의 축을 이루는 백두대간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어 북으로는 금강산을 거쳐 북한의 고원지대로 연결되고, 남으로는 오대산, 태백산을 거쳐 차령산맥, 소백산맥으로 이어지는 곳으로 지리적으로 중요한 지역이다. 설악산(1,708m)은 남한에서는 한라산(1,950m), 지리산(1,915m) 다음으로 높은 산으로 산세가 웅장하고 경관이 수려하며 자연의 보존상태가 양호하여 1965년에 천연보호구역 제171호로 지정되었고, 1970년에는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1982년에는 UNESCO에 의해 우리나라 최초로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는 등 학술적 가치가 큰 지역이다.
설악산의 관속식물 중 2001년까지의 문헌에 기재되지 않은 분류군으로서 추가 기재된 식물은 무엇인가? 기존에 보고된 자료를 토대로 한 설악산의 관속식물은 양치식물 11과 27속 62분류군, 나자식물 3과 6속 15분류군, 피자식물 95과 452속 1,171분류군(쌍자엽식물 80과 343속 930분류군, 단자엽식물 15과 109속 241분류군)의 총 109과 486속 1,248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정리되었으며, 본조사에서는 양치식물 9과 22속 43분류군, 나자식물 3과 6속 15분류군, 피자식물 97과 436속 936분류군(쌍자엽식물 81과 334속 734분류군, 단자엽식물 15과 102속 201분류군)으로 총 109과 463속 994분류군(814종 1아종 122변종 57품종)의 식물이 확인되었다(Table 1). 이 중 2001년까지의 문헌에 기재되지 않은 분류군으로서 추가 기재된 식물은 4과(아욱과, 마전과, 능소화과, 흑삼릉과) 31속 95분류군이다. 따라서 기존 문헌 자료와 새롭게 추가 기재된 식물을 합하면 설악산에는 양치식물 11과 27속 67분류군, 나자식물 3과 6속 15분류군, 쌍떡잎식물 83과 367속 999분류군, 외떡잎식물 16과 117속 262분류군으로 총 113과 517속 1,343분류군의 식물이 분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Appendix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Cain, S.A.(1950) Life-forms and phytoclimate. Bot. Rev. 16: 1-32. 

  2. Cheong, C.H., J.Y. Kim and Y.Y. Lee(1984) Geology of the Soraksan district. In: Report of the Academic Survey of Mt. Sorak. Kangwon Province, Chuncheon, pp. 429-457. 

  3. Cho, J.B. and B.S. Kil(1987) Floristic composition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Mt. Daedun. Korean J. Ecol. 10: 53-62. 

  4. Chung, T.H. and I.K. Lee(1959) The flora of Mt. Solak I. Bull. Kyunghee Univ. 2: 289-354. 

  5. Chung, T.H. and W.T. Lee(1963) The flora of Mt. Sulak. Bull. Sungkyunkwan Univ. 8: 269-285. 

  6. Chung, T.H.(1956) Korean Flora I. Shinzisa, Seoul, 1154pp. 

  7. Chung, T.H.(1957) Korean Flora II. Shinzisa, Seoul, 589pp. 

  8. Ennis, B.(1928) The life forms of Connecticut plants and their significance in relation to climate. Conn. State Geol. Nat. Hist. Surv., Bull. 43: 1-100. 

  9. Hong, M.P.(2000) A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of the Mt. Maebong and Mt. Chiljeolbong. M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72pp. 

  10. Hong, M.P.(2001a) Flora. In: Nature resource investigation of Seoraksan National Park. National Park Authority, Seoul, pp. 19-38, pp. 325-354. 

  11. Hong, M.P.(2001b) Naturalized plant. In: Resource monitoring of Seoraksan National Park. National Park Authority, Seoul, pp. 421-458. 

  12. http://www.seorak.knps.or.kr/intro/intro.aspx 

  13. Kangwon Province(1984) SORAKSAN. Report of the academic survey of Mt. Sorak, Chuncheon, 457pp. 

  14. Kangwon-do Office of Education(1991) Nature of Kangwon (Plant). Chuncheon, 443pp. 

  15. Kim, Y.S.(1986) Flora of Mt. Naejang. Bull. Inst. Basic Sci., Wonkwang University 5: 35-56. 

  16. Kim, Y.S., D.O. Lim, S.H. Chun, K.H. Kang and H.T. Shin(1998a) Flora of Naesorak in So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1: 415-432. 

  17. Kim, Y.S., K.H. Kang, J.K. Bae and H.T. Shin(1997a) Flora of Oesorak in So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0: 211-239. 

  18. Kim, Y.S., K.H. Kang, J.K. Bae and J.K. Kim(1998b) Rare and endangered plants of Naesorak in So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1: 407-414. 

  19. Kim, Y.S., S.H. Kim and K.H. Kang(1997b) Rare and endangered plants of Oesorak in So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0: 205-210. 

  20. Ko. S.J.(1986) On the Studies of Genus Leontopodium in Mt. Sorak. MS Thesis, Kangwe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18pp. 

  21. Koh, K.S., I.K. Kang, M.H. Suh, J.H. Kim, K.D. Kim and J.H. Kil(1996)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 (I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30pp. 

  22. Korea Forest Service(1997) Illustrated Rare and Endangered Species in Korea. Pocheon, 255pp. 

  23.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001)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1971-2000). Seoul, 632pp. 

  24. Korean Fern Society(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399pp. 

  25. Lee, E.B.(1989)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of Pukhansan National Park. Ph. D.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49pp. 

  26. Lee, I.K., R.H. Robinson, H.J. Lee, K.H. Park and H.W. Kang(1973) A study of condition of plants in the Mt. Solak. Bull. Academy, Konkuk University 15: 499-524. 

  27. Lee, T.B. and J.D. Yoo(1984) Endemic and Rare plants. In: Report of the academic survey of Mt. Sorak. Kangwon Province, Chuncheon, pp. 169-191. 

  28. Lee, T.B.(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I. Hyangmunsa, Seoul, 901pp. 

  29. Lee, T.B.(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II. Hyangmunsa, Seoul, 914pp. 

  30. Lee, W.T.(1996a)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624pp. 

  31. Lee, W.T.(1996b)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ress, Seoul, 1688pp. 

  32. Lee, Y.N. and Y.J. Oh(1984) An investigation for diversity of flora on Mt. Sorak. In: Report of the academic survey of Mt. Sorak. Kangwon Province, Chuncheon, pp. 192-215. 

  33. Lee, Y.N.(2006a) New Flora of Korea I. Kyohak Publishing Co., Seoul, 975pp. 

  34. Lee, Y.N.(2006b) New Flora of Korea II. Kyohak Publishing Co., Seoul, 885pp. 

  35. Melchior, H. and E. Werderman(195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 Gebruder Borntraeger, Berlin, 367pp. 

  36. Melchior, H.(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 666pp. 

  37. Ministry of Education(1967) SULAKSAN. Report of the Academic Survey of Mt. SULAK, Seoul, 230pp. 

  38. Ministry of Environment(2006) The investigation guide for specially designated species by floristic region.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Incheon, 76pp. 

  39. Ministry of Environment(2009) Ordinance and Notice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ccording to Wild Animal and Plant Protection Act, Article 2. 

  4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2004) The research for influences and management plan of the naturalized plants. Incheon, 211pp. 

  41. National Park Authority(2003) Nature resource investigation of Jirisan National Park. Seoul, 839pp. 

  42. Paik, W.K.(1994) Substance of the Korean endemic plants and investigation of their distribution. Bulletin of the KACN ser. 13: 5-84. 

  43. Park, S.H.(1996) Alien and naturalized plants of Korea. Daewonsa. Seoul, 143pp. 

  44. Park, S.H.(2000) Present condi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Korea and naturalized plants in the Kwangneung forest. In: Workshop for advancing of arboretum. National Arboretum. pp. 42-54. 

  45. Park, S.H.(2009) Colored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gak, Seoul, 575pp. 

  46. Raunkiaer, C.(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Univ. Press, London, 623pp. 

  47. Yim, Y.J. and J.U. Kim(1992) The vegetation of Mt. Chiri National Park. Chung-Ang University Press, Seoul, 467pp. 

  48. Yim, Y.J. and S.D. Baik(1985) The vegetation of Mt. Seolag. Chung-Ang University Press, Seoul, 199pp. 

  49. Yim, Y.J., K.H. Park and J.K. Sim(1982) Biogeographic distribution of Raunkiaer life form in Korea. Bull. Inst. Techn. & Sci., Chung-Ang University 9: 5-20. 

  50. Yoo, K.O., S.G. Jang and H.J. Lee(2006) Flora. In: Report of nature resource investigation of Chiaksan National Park. National Park Authority, Seoul, pp. 81-94. 

  51. Yoo, K.O., S.G. Jang and M.N. Kim(2004) Flora. In: Report of nature resource investigation of Odaesan National Park. National Park Authority, Seoul, pp. 151-1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