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조영증강을 보이는 뇌종양의 평가에 있어 T1강조 FLAIR 영상과 스핀에코 MR 영상의 비교
T1-weighted FLAIR MR Imaging for the Evaluation of Enhancing Brain Tumors: Comparison with Spin Echo Imaging 원문보기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 v.18 no.2, 2014년, pp.151 - 156  

정보슬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영상의학교실) ,  최대섭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영상의학교실) ,  신화선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영상의학교실) ,  최혜영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영상의학교실) ,  박미정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영상의학교실) ,  전경녀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영상의학교실) ,  나재범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영상의학교실) ,  정성훈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영상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T1강조 MR영상은 뇌의 해부학적 구조와 병리학적 이상을 보여 주는 기본적인 영상기법의 하나로, 전통적으로 스핀에코(SE) 기법을 이용하여 획득하고 있다. 최근 FLAIR 기법을 이용하여 T1강조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되었으며, SE보다 높은 대조도의 영상을 제공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조영증강을 보이는 뇌종양의 평가에 있어 T1 FLAIR 영상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조영증강을 보이는 두개 내 종양의 평가에 있어 SE T1강조영상과 비교하여 T1 FLAIR영상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총 52명 환자의 79개 병변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환자에서 조영증강 후 SE T1강조영상과 T1 FLAIR 영상을 획득하였다. 정량적 분석으로 각각의 영상에서 병변, 뇌회색질(GM), 뇌백질(WM), 뇌척수액(CSF), 배경(background)의 신호강도를 측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병변과 WM, 병변과 GM, 병변과 CSF, WM와 GM의 contrast ratio(CR), contrast-to-noise(CNR)를 계산하였다. 정성적 분석으로 두 명의 영상의학과 의사가 각 영상에서 병변의 명확도(lesion conspicuity)를 비교 하였다. 결과: 정량적 분석 결과에서 T1 FLAIR영상의 병변과 GM, 병변과 CSF, WM와 GM의 CR, CNR 모두 SE T1강조영상보다 우월하였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러나 병변과 WM의 CR, CNR은 비슷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정성적 분석에서 두 영상의학과 의사 모두 병변의 명확도에 있어 T1 FLAIR영상이 SE영상보다 우월하다고 평가하였다. 결론: 조영증강을 보이는 뇌종양의 평가에 있어 T1 FLAIR영상은 SE T1강조영상보다 우수하거나 필적한 결과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Spin-echo (SE) technique is most commonly used pulse sequence for T1-weighted MR imaging. T1-weighted fluid-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T1FLAIR) is a relatively new pulse sequence and it provides higher tissue contrast between the gray matter (GM) and white matter (WM) of the brain tha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1FLAIR and T1SE sequences for the evaluation of enhancing intracranial tumor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Qian YF, Yu CL, Zhang C, Yu YQ. MR T1-weighted inversion recovery imaging in detecting brain metastases: could it replace T1-weighted spin-echo imaging? AJNR Am J Neuroradiol 2008;29:701-704 

  2. Melhem ER, Israel DA, Eustace S, Jara H. MR of the spine with a fast T1-weighted fluid-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sequence. AJNR Am J Neuroradiol 1997;18:447-454 

  3. Al-Saeed O, Ismail M, Athyal RP, Rudwan M, Khafajee S. T1- weighted fluid-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and T1-weighted fast spin-echo contrast-enhanced imaging: a comparison in 20 patients with brain lesions. J Med Imaging Radiat Oncol 2009;53:366-372 

  4. Rydberg JN, Hammond CA, Huston J 3rd, Jack CR Jr., Grimm RC, Riederer SJ. T1-weighted MR imaging of the brain using a fast inversion recovery pulse sequence. J Magn Reson Imaging 1996;6:356-362 

  5. Lee JK, Choi HY, Lee SW, Baek SY, Kim HY. Usefulness of T1- weighted image with fast inversion recovery technique in intracranial lesions: comparison with T1-weighted spin echo image. Clin Imaging 2000;24:263-269 

  6. Melhem ER, Bert RJ, Walker RE. Usefulness of optimized gadolinium-enhanced fast fluid-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MR imaging in revealing lesions of the brain. AJR Am J Roentgenol 1998;171:803-807 

  7. Fischbach F, Bruhn H, Pech M, et al. Efficacy of contrast medium use for neuroimaging at 3.0 T: utility of IR-FSE compared to other T1-weighted pulse sequences. J Comput Assist Tomogr 2005;29:499-50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