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근관증후군 수술 전후 임상증상과 전기생리학적 검사소견의 변화: 25손을 대상으로 한 예비연구
Clinical and Electrophysiological Changes after Open Carpal Tunnel Release: Preliminary Study of 25 Hands 원문보기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neurophysiology, v.16 no.1, 2014년, pp.21 - 26  

양지원 (가천대학교 길병원 신경과) ,  성영희 (가천대학교 길병원 신경과) ,  박기형 (가천대학교 길병원 신경과) ,  이영배 (가천대학교 길병원 신경과) ,  신동진 (가천대학교 길병원 신경과) ,  박현미 (가천대학교 길병원 신경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Electrophysiological study has been known as a useful method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ect of operation in idiopathic carpal tunnel syndrome (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and electrophysiological changes after carpal tunnel release (CTR) compared to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수술적 치료 후 임상증상과 신경전도검사 소견의 변화를 알아보고 연관성 유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근관증후군이란? 수근관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은 정중신경이 횡수근인대(transverse carpal ligament)에 의해 압박되어 정중 신경 분포지역에 통증, 저림, 무감각, 단무지외전근(abductor pollicisbrevis) 약화와 위축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가장 흔한 포착신경병증이다.1 수근관증후군의 진단은 임상증상과 더불어 전기생리학적 검사를 통해 확진 할 수 있다.
수근관증후군은 무엇으로 진단이 됩니까? 수근관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은 정중신경이 횡수근인대(transverse carpal ligament)에 의해 압박되어 정중 신경 분포지역에 통증, 저림, 무감각, 단무지외전근(abductor pollicisbrevis) 약화와 위축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가장 흔한 포착신경병증이다.1 수근관증후군의 진단은 임상증상과 더불어 전기생리학적 검사를 통해 확진 할 수 있다.2,3 치료는 부목을 이용한 손목관절 운동제한, 수근관내 스테로이드 주사, 약물치료 같은 보존적 방법과 두꺼워진 횡수근 인대를 제거하는 수술적 방법이 있다.
수근관증후군은 어떻게 치료합니까? 1 수근관증후군의 진단은 임상증상과 더불어 전기생리학적 검사를 통해 확진 할 수 있다.2,3 치료는 부목을 이용한 손목관절 운동제한, 수근관내 스테로이드 주사, 약물치료 같은 보존적 방법과 두꺼워진 횡수근 인대를 제거하는 수술적 방법이 있다. 그러나 보존적 치료의 효과가 제한적인 경우가 많아 임상증상과 전기생리학적 검사 결과의 중증도가 심할수록 수술적으로 절제하는 것이 권고된다.4-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Dawson DM. Entrapment neuropathies of the upper extremities. N Engl J Med 1993;329:2013-2018. 

  2. Chang MH, Wei SJ, Chiang HL, Wang HM, Hsieh PF, Huang SY. Comparison of motor conduction techniques in the diagnosis of carpal tunnel syndrome. Neurology 2002;58:1603-1607. 

  3. Jablecki CK, Andary MT, Floeter MK, Miller RG, Quartly CA, Vennix MJ, et al. Practice parameter: Electrodiagnostic studies in carpal tunnel syndrome. Report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Electrodiagnostic Medicin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and the American Academy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Neurology 2002;58:1589-1592. 

  4. Gerritsen AA, de Vet HC, Scholten RJ, Bertelsmann FW, de Krom MC, Bouter LM. Splinting vs surgery in the treatment of carpal tunnel syndrom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2002;288:1245-1251. 

  5. Chang MH, Chiang HT, Lee SS, Ger LP, Lo YK. Oral drug of choice in carpal tunnel syndrome. Neurology 1998;51:390-393. 

  6. Dammers JW, Veering MM, Vermeulen M. Injection with methylprednisolone proximal to the carpal tunnel: randomised double blind trial. BMJ 1999;319:884-886. 

  7. Padua L, Padua R, Aprile I, Pasqualetti P, Tonali P. Multiperspective follow-up of untreated carpal tunnel syndrome: a multicenter study. Neurology 2001;56:1459-1466. 

  8. SJ O. Clinical Electromyography: Nerve conduction studies. 3rd ed. Philadelphia: Wiliams & Wilkins, 1993;623-633. 

  9. Stevens JC. AAEM minimonograph #26: the electrodiagnosis of carpal tunnel syndrome. American Association of Electrodiagnostic Medicine. Muscle Nerve 1997;20:1477-1486. 

  10. Stevens JC, Sun S, Beard CM, O'Fallon WM, Kurland LT. Carpal tunnel syndrome in Rochester, Minnesota, 1961 to 1980. Neurology 1988;38:134-138. 

  11. Louie D, Earp B, Blazar P. Long-term outcomes of carpal tunnel release: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Hand (N Y) 2012;7:242-246. 

  12. Haupt WF, Wintzer G, Schop A, Lottgen J, Pawlik G. Longterm results of carpal tunnel decompression. Assessment of 60 cases. J Hand Surg Br 1993;18:471-474. 

  13. Tahririan MA, Moghtaderi A, Aran F. Changes in electrophysiological parameters after open carpal tunnel release. Adv Biomed Res 2012;1:46. 

  14. Iida J, Hirabayashi H, Nakase H, Sakaki T. Carpal tunnel syndrome: electrophysiological grading and surgical results by minimum incision open carpal tunnel release. Neurol Med Chir (Tokyo) 2008;48:554-559. 

  15. El-Hajj T, Tohme R, Sawaya R. Changes in electrophysiological parameters after surgery for the carpal tunnel syndrome. J Clin Neurophysiol 2010;27:224-226. 

  16. Ginanneschi F, Milani P, Reale F, Rossi A. Short-term electrophysiological conduction change in median nerve fibres after carpal tunnel release. Clin Neurol Neurosurg 2008;110:1025-1030. 

  17. Naidu SH, Fisher J, Heistand M, Kothari MJ. Median nerve function in patients undergoing carpal tunnel release: pre- and post-op nerve conductions. Electromyogr Clin Neurophysiol 2003;43:393-397. 

  18. Pascoe MK, Pascoe RD, Tarrant E, Boyle R. Changes in palmar sensory latencies in response to carpal tunnel release. Muscle Nerve 1994;17:1475-1476. 

  19. Prick JJ, Blaauw G, Vredeveld JW, Oosterloo SJ. Results of carpal tunnel release. Eur J Neurol 2003;10:733-736. 

  20. Seror P. Nerve conduction studies after treatment for carpal tunnel syndrome. J Hand Surg Br 1992;17:641-645. 

  21. Shurr DG, Blair WF, Bassett G. Electromyographic changes after carpal tunnel release. J Hand Surg Am 1986;11:876-880. 

  22. Finestone HM, Woodbury GM, Collavini T, Marchuk Y, Maryniak O. Severe carpal tunnel syndrome: clinical and electrodiagnostic outcome of surgical and conservative treatment. Muscle Nerve 1996;19:237-239. 

  23. Padua L, LoMonaco M, Aulisa L, Tamburrelli F, Valente EM, Padua R, et al. Surgical prognosis in carpal tunnel syndrome: usefulness of a preoperative neurophysiological assessment. Acta Neurol Scand 1996;94:343-346. 

  24. Aulisa L, Tamburrelli F, Padua R, Romanini E, Lo Monaco M, Padua L. Carpal tunnel syndrome: indication for surgical treatment based on electrophysiologic study. J Hand Surg Am 1998;23:687-691. 

  25. Kanatani T, Fujioka H, Kurosaka M, Nagura I, Sumi M. Delayed electrophysiological recovery after carpal tunnel release for advanced carpal tunnel syndrome: a two-year follow-up study. J Clin Neurophysiol 2013;30:95-97. 

  26. Cobb TK, Amadio PC, Leatherwood DF, Schleck CD, Ilstrup DM. Outcome of reoperation for carpal tunnel syndrome. J Hand Surg Am 1996;21:347-356. 

  27. Higgs PE, Edwards DF, Martin DS, Weeks PM. Relation of preoperative nerve-conduction values to outcome in workers with surgically treated carpal tunnel syndrome. J Hand Surg Am 1997;22:216-2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