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 자살자에 대한 심리적 부검 방법론에 대한 고찰
A Methodological Review of Psychological Autopsy for Adolescents 원문보기

소아청소년정신의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v.25 no.3, 2014년, pp.121 - 127  

권호인 (한림대학교 자살과 학생정신건강연구소) ,  김란 (한림대학교 자살과 학생정신건강연구소) ,  방수영 (한림대학교 자살과 학생정신건강연구소) ,  홍현주 (한림대학교 자살과 학생정신건강연구소) ,  권용실 (한림대학교 자살과 학생정신건강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local governments and suicide prevention centers have been trying to implement psychological autopsy. This effort has focused on adult suicide so far ; however, there are some difficulties in its application to adolescent suicide. Therefore, in this study, psychological autopsy studie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조사에서는 국내 청소년 자살률 감소라는 장기적인 목표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청소년 자살자의 심리부검 방법론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아동 청소년기의 연령 및 발달 단계, 국내의 사회 문화적 특징, 가족 동의의 어려움을 포괄적으로 감안한 청소년 자살자에 대한 심리적 부검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아직까지 국내 청소년 자살사망의 위험 요인은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심리적 부검을 통해 구체적인 위험 요인을 규명한 후에야 효과적인 자살 예방을 위한 개입 지점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국내외 심리적 부검 연구 결과를 검토하여, 국내에서 청소년 대상의 심리적 부검이 효과적으로 실행되기 위한 제언으로 다부처, 범주체적 실행 주체, 표준화된 심리적 부검 면담 체계의 지역사회 보급 및 전국적 자료를 통제하고 관리하는 중앙 체계, 구조화된 면담 체계를 심리부검 면담으로 도입하여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는 것, 소셜 미디어 등의 다양한 정보 수집 등의 필요성을 기술하였다.
  • 청소년 자살의 경우, 성인과는 다른 사회적, 심리적 맥락이 부검 절차에 포함되어야 하며, 청소년에게 맞는 맞춤형 조사 방식이 필요하다. 본 조사에서는 국내 청소년 자살률 감소라는 장기적인 목표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청소년 자살자의 심리부검 방법론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또한 아동 청소년기의 연령 및 발달 단계, 국내의 사회 문화적 특징, 가족 동의의 어려움을 포괄적으로 감안한 청소년 자살자에 대한 심리적 부검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아직까지 국내에서 청소년 대상의 심리적 부검 연구는 없으므로, 국내에서 발표된 성인 대상의 주요 심리적 부검 연구 들을 검토하였다.
  • 심리적 부검이란 사망 전 일정 기간 동안 자살자의 심리 행동 양상 및 변화 상태를 주변인들의 진술과 기록을 검토하여 자살의 원인을 추정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즉 어떤 사람이 자살했을 때, 주변 사람들과의 면담을 하고, 유서 등 모든 활용 가능한 자료를 수립하여 왜 그 사람이 자살했는지를 과학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에서는 자살률을 낮추기 위한 방법은? 1)특히 2000년대 이후, OECD 국가들의 청소년 자살률이 대부분 낮아지는 추세인데 반해, 국내 청소년은 2001년부터 2011년까지 약 10 여 년간 57%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어, OECD 국가 중 칠레에 이어 자살 증가율이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2)국내 에서는 자살률을 낮추기 위하여 자살예방 종합대책(보건복지부)과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 문화조성을 위한 법률 제정 (2012) 등 범국가적 노력을 기울이며 다각적인 자살예방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심리적 부검이란? 그동안 해외에서는 자살의 원인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자살자에 대한 심리적 부검(psychological autopsy) 을 국가 차원에서 실시해왔다. 심리적 부검이란 사망 전 일정 기간 동안 자살자의 심리 행동 양상 및 변화 상태를 주변인들의 진술과 기록을 검토하여 자살의 원인을 추정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즉 어떤 사람이 자살했을 때, 주변 사람들과의 면담을 하고, 유서 등 모든 활용 가능한 자료를 수립하여 왜 그 사람이 자살했는지를 과학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자살로 인한 사망 사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자살사망자에 대한 심리적 부검 연구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 예는? 대표적인 예로, 핀란드는 1986년 국립보건국(National Board of Health)의 주도로 심리적 부검을 시작하였으며, 심리적 부검 결과를 기반으로 한 대대적이고 종합적인 자살예방 프로젝트 결과, 1990년에는 인구 10만 명당 30.3명이었던 자살률이 2004년에는 20.4명으로 약 30% 가까이 줄어드는 성과를 보고한 바 있다.5) 대대적인 장기불황 등으로 1998년도 이후 자살률이 급증한 일본의 경우 2000년대 중반부터 후생 노동성 산하의 국립정신보건연구소가 현 단위의 정신건강 복지센터와 연계하여 주도적으로 심리부검을 추진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Statistics Korea.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2001-2013. Daejeon: Statistics Korea [cited 2013 Oct 20]. Available from URL: http://www.kostat.go.kr 

  2. Jung S. Suicide rate in adolescents have increased of 57% during 10 years. Seoul: Korean Daily Report [updated 2013 Sep 11; cited 2013 Oct 20]. Available from URL: 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1309/h2013091103334421950.htm 

  3. Jae YM. Suicide and psychiatric disorder.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2004;10:3-10. 

  4. O'Carroll PW, Berman AL, Maris RW, Moscicki EK, Tanney BL, Silverman MM. Beyond the Tower of Babel: a nomenclature for suicidology. Suicide Life Threat Behav 1996;26:237-252. 

  5. Kim S. The sickness unto death...Read the suiciders' mind through 'Psychological autopsy'. Seoul: Rapportian [updated 2013 Jul 4; cited 2013 Oct 18]. Available from URL: http://www.rapportian.com/n_news/news/view.html?no12694 

  6. Hirokawa S, Kawakami N, Matsumoto T, Inagaki A, Eguchi N, Tsuchiya M, et al. Mental disorders and suicide in Japan: a nationwide psychological autopsy case-control study. J Affect Disord 2012;140:168-175. 

  7. Seo J, Lee C, Kim K, Kim S. Characteristics of Korean suicide: a case-control psychological autopsy study. Korean J Psychol Gen 2012;31:323-344. 

  8. Robins E, Murphy GE, Wilkinson RH Jr, Gassner S, Kayes J. Some clinical considerations in the prevention of suicide based on a study of 134 successful suicides. Am J Public Health Nations Health 1959;49:888-899. 

  9. Korean Association for Suicide Prevention. Psychological autopsy of suicide and construction of the case management service for suicide attempters. Sejong: Ministry for Health and Welfare;2009. 

  10. Fisher P, Shaffer D. Methods for investigating suicid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n overview. In: Sudak HS, Ford AB, Rushforth NB, editors. Suicide in the Young. Boston: Wright-PSG;1984. p.139-157. 

  11. Zhang J, Wieczorek WF, Conwell Y, Tu XM. Psychological strains and youth suicide in rural China. Soc Sci Med 2011;72:2003-2010. 

  12. Phillips MR, Yang G, Zhang Y, Wang L, Ji H, Zhou M. Risk factors for suicide in China: a national case-control psychological autopsy study. Lancet 2002;360:1728-1736. 

  13. Beautrais AL. Suicide and serious suicide attempts in youth: a multiple-group comparison study. Am J Psychiatry 2003;160:1093- 1099. 

  14. Brent DA, Perper JA, Goldstein CE, Kolko DJ, Allan MJ, Allman CJ, et al. Risk factors for adolescent suicide. A comparison of adolescent suicide victims with suicidal inpatients. Arch Gen Psychiatry 1988;45:581-588. 

  15. Marttunen MJ, Aro HM, Henriksson MM, Lonnqvist JK. Mental disorders in adolescent suicide. DSM-III-R axes I and II diagnoses in suicides among 13- to 19-year-olds in Finland. Arch Gen Psychiatry 1991;48:834-839. 

  16. Rich CL, Sherman M, Fowler RC. San Diego Suicide Study: the adolescents. Adolescence 1990;25:855-865. 

  17. Shaffer D, Garland A, Gould M, Fisher P, Trautman P. Preventing teenage suicide: a critical review.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88;27:675-687. 

  18. Shafii M, Steltz-Lenarsky J, Derrick AM, Beckner C, Whittinghill JR. Comorbidity of mental disorders in the post-mortem diagnosis of completed suicid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J Affect Disord 1988;15:227-233. 

  19. Mann JJ, Apter A, Bertolote J, Beautrais A, Currier D, Haas A, et al. Suicide prevention strategies: a systematic review. JAMA 2005; 294:2064-2074. 

  20. Li XY, Phillips MR, Zhang YP, Xu D, Yang GH. Risk factors for suicide in China's youth: a case-control study. Psychol Med 2008;38: 397-406. 

  21. Zhang J, Xiao S, Zhou L. Mental disorders and suicide among young rural Chinese: a case-control psychological autopsy study. Am J Psychiatry 2010;167:773-781. 

  22. Marttunen MJ, Aro HM, Lonnqvist JK. Adolescence and suicide: A review of psychological autopsy studies. Eur Child Adolesc Psychiatry 1993;2:10-18. 

  23. Allebeck P, Allgulander C. Suicide among young men: psychiatric illness, deviant behaviour and substance abuse. Acta Psychiatr Scand 1990;81:565-570. 

  24. Brent DA, Perper JA, Moritz G, Allman C, Friend A, Roth C, et al. Psychiatric risk factors for adolescent suicide: a case-control study.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3;32:521-529. 

  25. Gould MS, Fisher P, Parides M, Flory M, Shaffer D. Psychosocial risk factors of child and adolescent completed suicide. Arch Gen Psychiatry 1996;53:1155-1162. 

  26. Sankey M, Lawrence R. Brief report: classification of adolescent suicide and risk-taking deaths. J Adolesc 2005;28:781-785. 

  27. Hawton K, Saunders KEA, O'Connor RC. Self-harm and suicide in adolescents. Lancet 2012;379:2373-2382. 

  28. Rich CL, Young D, Fowler RC. San Diego suicide study. I. Young vs old subjects. Arch Gen Psychiatry 1986;43:577-582. 

  29. Portzky G, Audenaert K, van Heeringen K. Psychosocial and psychiatric factors associated with adolescent suicide: a case-control psychological autopsy study. J Adolesc 2009;32:849-862. 

  30. Allberg WR, Chu L. Understanding adolescent suicide: Correlates in a developmental perspective. School Couns 1990;37:343-350. 

  31. Brent DA, Johnson BA, Perper J, Connolly J, Bridge J, Bartle S, et al. Personality disorder, personality traits, impulsive violence, and completed suicide in adolescents.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1994;33:1080-1086. 

  32. Shafii M, Carrigan S, Whittinghill JR, Derrick A. Psychological autopsy of completed suicid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m J Psychiatry 1985;142:1061-1064. 

  33. Houston K, Hawton K, Shepperd R. Suicide in young people aged 15-24: a psychological autopsy study. J Affect Disord 2001;63:159-170. 

  34. Renaud J, Berlim MT, McGirr A, Tousignant M, Turecki G. Current psychiatric morbidity, aggression/impulsivity, and personality dimensions in child and adolescent suicide: a case-control study. J Affect Disord 2008;105:221-228. 

  35. Joiner T. Why People Die by Suicid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2005. 

  36. Ribeiro JD, Joiner TE. The interpersonal-psychological theory of suicidal behavior: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J Clin Psychol 2009;65:1291-1299. 

  37. Schmidt P, Muller R, Dettmeyer R, Madea B. Suicide in childre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Forensic Sci Int 2002;127:161-167. 

  38. Life Line Korea.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Autopsy and the Approach Method of Suicide Postvention. Seoul: Life Line Korea;2010. 

  39.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Army. Suicide prevention and psychological autopsy. Washington, DC: 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Army [updated 1988 Sep 30; cited 2013 Oct 31]. Available from URL: http://timemilitary.files.wordpress.com/2013/03/da-pamphlet-600-242.pdf 

  40. Weisman AD. The Realization of Death: A Guide for the Psychological Autopsy. New York: Jason Aronson;1974. 

  41. Lee GS, Choi MJ, Kim SJ, Park JY, Lee MS, Seo JH, et al. The semipsychological autopsy study of suicides. Mental Health 2012;3:18-24. 

  42. Choi M, Kim G, Kim D, Park J, Jung J.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study about psychosocial risk factors for suicide and the supporting service for the bereaved. Suicide Prevention Conference; 2013 Sep 10-11; Seoul, Korea. Seoul: Suicide Preventive Conference; 2013. p.53-59. 

  43. Reed MD, Greenwald JY. Survivor-victim status, attachment, and sudden death bereavement. Suicide Life Threat Behav 1991;21:385-4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