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구강악습관과 측두하악장애 유병상태와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abits and the Prevalent Statu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원문보기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v.36 no.3, 2014년, pp.187 - 196  

김홍식 (김천대학교 치기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correlation between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oral habits that have been known to cause temporomandibular disorder with both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s. Methods: To figure out correlation between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oral habits, a survey was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조사는 대구, 경북에 소재한 2개 대학교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과 구강악습관의 유형에 따른 다양한 측두하악장애 증상 중 측두하악관절잡음, 측두하악관절동통, 개구장애 등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번 조사에서는 측두하악장애를 발생시키는 다양한 관련인자 중 구강악습관의 유형에 따른 측두하악장애 발병 증상과의 관련성을 조사하고자 하였으며, 이 조사결과가구강악습관에 따른 측두하악장애 질환의 예방과 치료계획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이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조사대상을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지역 대학생으로 한정하였기에 이 결과를 전체 대학생들에게 일반화시키는 데에는 한계점이 있다.
  • 이에 저자는 자연치아를 보존하고 있는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측두하악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주요 요인들 중 하나인 구강악습관의 유형에 따른 측두하악장애 유병률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측두하악관절은 무엇인가? 측두하악관절이란 하악두와 하악와 사이에서 이뤄지는 저작과 관련된 고유의 관절로 인체의 여러 관절 중에서도 구조가 복잡하고 기능이 다양한 관절중의 하나로 구강의 개구와 폐구, 저작, 발음, 연하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Lynch, 1977). 이희경(1996)은 악관절기능장애란 악관절 및 저작계의 기능장애로 일어나는 증상으로 저작근의 동통, 관절잡음, 개구장애 등에 의해 특정 지어지는 복합 적인 요인으로 구강악습관, 교합적원인, 생리학적원인, 기능적원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보고하였다.
악기능장애에 의한 통증은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악기능장애의 대표적인 특징은 하악골의 기능에 있어서 발생하는 통증이다(Ozaki et al, 1990). 통증과 기능장애는 상호 동반되어 진행되며 악기능과 관련되지 않은 휴식 상태에서의 통증은 아주 드문 편이다. 다음으로 흔한 증상이 개구장애이다.
악관절기능장애의 원인으로 보고된 것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측두하악관절이란 하악두와 하악와 사이에서 이뤄지는 저작과 관련된 고유의 관절로 인체의 여러 관절 중에서도 구조가 복잡하고 기능이 다양한 관절중의 하나로 구강의 개구와 폐구, 저작, 발음, 연하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Lynch, 1977). 이희경(1996)은 악관절기능장애란 악관절 및 저작계의 기능장애로 일어나는 증상으로 저작근의 동통, 관절잡음, 개구장애 등에 의해 특정 지어지는 복합 적인 요인으로 구강악습관, 교합적원인, 생리학적원인, 기능적원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oi JH. A study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 in korean adolescent. J. Soonchunhyang Med Coll, 5(2), 293-303, 1999. 

  2. Conti PC, Ferreira PM, Pegoraro LF. A cross sectional study of prevalence and etiology of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J Orofac Pain, 10(3), 254-262, 1996. 

  3. Gi UC, Choi JK, Go MY. TMD tributary assesment & treatment. Jisung pub, 1993. 

  4. Helkimo M. studies on function and dysfunction of the masticatory system III. J Swed Dent, 67, 165-182, 1974. 

  5. Jeon ES, Lee JH. Relation between maxillofacial trauma experience and temporomandibular disoders prevalence among some college students. J KCA, 9(7), 2009. 

  6. Jung H, Heo WS. TMJ pain. J Korean Dental Association, 33, 391-394, 1995. 

  7. Jung JO. A study on the oral parafunction and tooth guidance pattern of the subject with the temporomandibular joint sound. Depart of dentistry, Graduate School, Chosun University, 1993. 

  8. Jung SC, Standard of care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J Oral Med Pain, 1(1) 37-60, 1989. 

  9. Jung SC, Kim YG. Orofacial pain & temporomandibular disorders. Shinhunginternational, 1996. 

  10. Jung SC. Orofacial pain & temporomandibular disorders. Shinhunginternational, 2006. 

  11. Kaplan AS, Assael LA. Temporomandibular disorders diagnosis treatment. WB. Saunders Co, 1991. 

  12. Kim MA, Chung K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ntition and morphologic malocclusion of the temporomandibular dysfunction patient. J Korea Orthod, 26(1), 56-63, 1996. 

  13. Kim MH, Nahm DS. the prevalence study of TMD and the associated factorrs in korean malocclusion patients. J Korea. Orthod, 27 (4), 523-538, 1997. 

  14. Kim MW, Kim MJ, Kim JS, Nam LJ, Park JO. The relationship between stomatognathic habit and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KAPT, 7(1), 295-310, 2000. 

  15. Kim Y J. Study on symptoms and clinical finding of TMJ dysfunction. School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1984. 

  16. Lee HK. An epidemiology study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of employees residing at seoul. J Yeungnam Univ Med, 13(2), 308-323, 1996. 

  17. Lynch MA. Burket's oral medicine. 7th ed, JB. Lippincott, Philadelphia. 235-274, 1977. 

  18. Ozaki Y, Shigematsu T, Takahashi S. Clinical finding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okyo Dental Coll, 31(3), 229-235, 1990. 

  19. Yeo SG. Study on the change of growth rates and several symptoms among the students who had TMJ correction by functional orthodontic methods.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8. 

  20. Yoo DJ, Choe ZK, Kim CS. The influence of the parafunction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J Kyungpook National Univ, 6(1), 141-154, 19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