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30대 일부 성인의 스트레스, 구강악습관 및 턱관절 증상의 연관성
Relationship of Stress, Oral Habits and TMJ Symptoms in 20-30 ages Adult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4 no.5, 2014년, pp.739 - 746  

홍민희 (백석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stress symptoms, oral habits and temporomanbibular joint symptom among 20-30 ages adults. And it's also meant to investigate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f these factors by using a path model to determine their causal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각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경로모형을 통해, 스트레스와 턱관절증상간의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살펴보고, 측두하악장애 예방과 치료계획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20-30대 성인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신체적, 심리·감정상 증후, 구강악습관과 측두하악장애 증상을 살펴보았다.
  • 이에 본 연구는 2014년 6월 15일부터 7월 10일까지 20-30대 성인 287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신체적, 심리·감정상 증후, 구강악습관과 측두하악관절장애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30대 청년기 성인들의 스트레스 수준, 구강악습관, 턱관절증상간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각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경로모형을 통해, 스트레스와 턱관절증상간의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살펴보고, 측두하악장애 예방과 치료계획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측두하악관절이란 무엇인가? 측두하악관절은 주변의 연관조직들과 조화를 이루어 구강의 개·폐, 저작, 연하운동 및 발음에 연관하는 기능을 하는 관절로, 아래턱뼈, 관절원판(디스크), 머리뼈, 인대, 주위근육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기능이 다양한 인체관절 중 하나이다. 흔히 턱관절 장애라고 알려져 있는 측두하악장애(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는 악관절 및 연관조직의 기능적 부조화로 야기되는 저작근 및 측두하악관절 부위의 많은 임상적 문제를 포함하는 포괄적 용어이며 저작계에 발생하는 여러 장애들의 복합체를 의미한다1).
측두하악장애란 무엇인가? 측두하악관절은 주변의 연관조직들과 조화를 이루어 구강의 개·폐, 저작, 연하운동 및 발음에 연관하는 기능을 하는 관절로, 아래턱뼈, 관절원판(디스크), 머리뼈, 인대, 주위근육으로 구조가 복잡하고 기능이 다양한 인체관절 중 하나이다. 흔히 턱관절 장애라고 알려져 있는 측두하악장애(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는 악관절 및 연관조직의 기능적 부조화로 야기되는 저작근 및 측두하악관절 부위의 많은 임상적 문제를 포함하는 포괄적 용어이며 저작계에 발생하는 여러 장애들의 복합체를 의미한다1).
스트레스로 인한 신체적 증후가 구강악습관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일상에서 턱관절장애 환자들에서 통증이 발현되기 전 지난 6개월 동안에 스트레스를 느끼는 사건들이 2배나 많음을 발견한 바 있다17).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이갈이나 악물기 등 구강 내 악습관을 야기하게 되고 이로 인해 만성적으로 진행하게 되어 근육활성을 유발하고 증상을 발현하거나 악화시킨다고 보고하였다20-22). 스트레스에 의한 정서적 자극은 혈관수축, 근육긴장도, 장운동, 호르몬, 효소 활성 등에 영향을 미쳐 측두하악관절 기능장애의 증상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이는 근육의 과다 신장, 과다 수축 및 피로를 발생시켜 근육경련의 원인이 되어 측두하악관절 기능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Jeong H, Kim YK, Lee JH. Systematic clinical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Seoul: DaehanNarae; 2005: 17-18. 

  2. Hong SM, Jung SH. Oral medicine for the dental hygienist. Seoul: DaehanNarae; 2012: 131. 

  3. Orkin SF. Temporomandibular Disorder: A problem in dental health. In Gatchel R. J & Turk D.C(Eds), Psychological factors in pain, New York : The Guilford Press. 1999. 

  4.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Disease Statistics. 2012. http://www.hira.or.kr/rdd_disease. 

  5. Oh JT, Kim O, Jeong SC. Orofacial pain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TMD Using RDC/TMD. Korean Academy of Orofacial Pain and Oral Med 2004; 29(2): 177-85. 

  6. Kim JY, Han KS. Predicting factors for the treatment outcome of intracapsular pain of the temporomandibular disorders. Korean Academy of Orofacial Pain and Oral Med 2002; 27(1): 122-8. 

  7. Hong MH.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stress on dry mouth,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oral symptoms on workers. J Korean Soc Dent Hyg 2013; 13(1): 136-45. 

  8. Kang JK, Lim HD, Lee YM. Association between sleep quality and psychologic fact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Korean Academy of Orofacial Pain and Oral Med 2008; 3(3): 257-67. 

  9. Kim JU, Hong MH, Kim YS. Impact of stress on physical and temporomandibular joint symptoms in health-related majoring students.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 14(10): 4919-26. http://dx.doi.org/10.5762/KAIS.2013.14.10.4919. 

  10. Hong MH. Influence of daily stress to oral symptoms among adults. J Dent Hyg Sci 2013; 13(1): 20-8. 

  11. Roh DH, Lee MJ. A Literature review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TMJ) disorder. J Oriental Rehab Med 2005; 15(3): 13-24. 

  12. Park HS. An Epidemiologic Study of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Oral Medicine 2007; 32(1): 91-104. 

  13. Kanehira H, Agariguchi A, Kato H, Yoshimine S, Inoue H. Association between stress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 Nihon Hotetsu Shika Gakkai Zasshi 2008; 52(3): 375-80. 

  1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let's do this the healthy life.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999; 1-2. 

  15. Cho HJ, Cho MH, Jo YJ, Jang YE, Jeon EH, Jeong BL, et al.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Stress in Dry Mouth and Self-Diagnosed Oral Symptoms on Workers. J Dent Hyg Sci 2012; 12(6): 634-43. 

  16. Lee JH, Choi JH. A study on the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and school life stress of high student by department. J Dent Hyg Sci 2007; 7(3): 179-85. 

  17. Wang HF, Yeh MC. Stress, Coping, and Psychological Health of Vocational High School Nursing Students Associated With a Competitive Entrance Exam. J Nur Res 2005; 13(2): 106-16. 

  18. Lee EH. Easting for moderating effects of coping style with structural equations life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 Health Psycho 2003; 9(1): 25-52. 

  19. Chon KK, Kim KH, Yi JS. Envelopment of the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Korean J Health Psycho 2003; 5(2): 316-35. 

  20. Hahn DW, Park JH, Kim KH. Effects of self-disclosure and rumination about stressful life event and emotional experiences on physical health. Korean J Health Psycho 2003; 9(1): 99-130. 

  21. Soberg WK, Flint RT, Brantner JP. Temporomandibular joint pain and dysfunction: A clinical study of emotional and occlusal components. J Prosth Dent 1972; 28(4): 412-22. 

  22. Mobilio N, Casetta I, Cesnik E, Catapano S. Prevalence of self-reported symptoms related to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an Italian population. J Oral Rehabil 2011; 38(12): 884-90. http://dx.doi.org/10.1111/j.1365-2842.2011.02228.x. 

  23. Speculand B, Hughes AO, Goss AV. Role of recent stressful life events experience in the onset of TMJ dysfunction pain.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84; 12(3): 197-202. http://dx.doi.org/10.5125/jkaoms.2012.38.6.326. 

  24. Jeong SC, Koh MH, Kim YJ. Study on the background variable in the patients with TMJ dysfunction, J Korean Asso Oral and Maxillofacial Sur 1983; 18(1): 69-76. 

  25. Peruzzo DC, Benatti BB, Ambrosano GM, Nogueira-Filho GR, Sallum EA, Casati MZ,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stress and psychological factors as possible risk factors for periodontal disease. J Periodontol 2007; 78(8): 1491-504. http://dx.doi.org/10.1902/jop.2007.060371. 

  26. Seo EG, Kim SD, Lee JY, Rim JS.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risk factors in office workers, service workers, and teachers. J Korean Soc Dent Hyg 2012; 12(3): 563-76. 

  27. McNeill C.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Concepts and controversies. J Prosthetic Dent 1997; 77(5): 510-2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