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증상과 구강악습관 및 턱관절 기능장애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ral parafunctional habits, and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among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echnologic dentistry : JTD, v.42 no.3, 2020년, pp.254 - 261  

김정희 (유원대학교 치위생학과) ,  김창희 (충청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ess and oral parafunctional habits on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TMD) in college students. Methods: An online survey comprising 354 questionnaires was conducted from May 23, 2020, to June 21,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부 대학생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구강악습관이 턱관절 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성을 알아보고 대학생들의 건강을 해치는 만성질환인 턱관절 기능장애를 감소하기 위해 스트레스를 조절할 수 있는 요인을 찾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대학생활은 진로를 위한 스펙 만들기, 과중한 학업 부담감, 경제적인 어려움, 취업문제 등의 문제로 여유가 없고 전공과 관련된 학업이나 가치관 및 대인관계 등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3]. 이에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증상 수준과 턱관절 기능장애, 구강악습관에 대해 알아보고 스트레스 증상 수준에 따라 턱관절 기능장애와 구강악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턱관절 장애란 어떠한 용어입니까? 턱관절 장애는 턱관절 및 주변 조직의 기능적 부조화로 저작근 및 측두하악관절 부위의 많은 임상적 문제를 갖고 있는 포괄적 용어이다. 저작계에 발생되는 장애들의 복합체를 의미하며[6] 입, 얼굴 영역의 대표적인 근골격계 질환으로 일차적으로는 턱관절 기능장애와 씹기 근육 및 주위조직의 지속적인 통증, 아래턱 운동범위의 감소나 관절음 등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7].
스트레스로 인한 신체적 증상으로는 무엇이 있습니까? 스트레스란 인간이 살아가는 환경 및 상황 속에서 불일치가 올 경우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개인의 행동적, 정서적, 생리 체계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2]. 스트레스로 인한 신체적 증상으로는 신진대사 변화, 호흡 증가, 심박동수 증가, 혈압 상승, 두통, 위경련, 요통 등으로 피로감을 증가시켜 일상생활의 적응을 어렵게 한다[3]. 특히 우리나라 대학생은 경제자원의 부족으로 사회생활의 참여 기회가 배제되면서 심리적 위축감을 느끼고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 수행에 대한 심리적 안녕감을 저해 받고 있다[4].
턱관절 장애의 일차적인 특징은 무엇입니까? 턱관절 장애는 턱관절 및 주변 조직의 기능적 부조화로 저작근 및 측두하악관절 부위의 많은 임상적 문제를 갖고 있는 포괄적 용어이다. 저작계에 발생되는 장애들의 복합체를 의미하며[6] 입, 얼굴 영역의 대표적인 근골격계 질환으로 일차적으로는 턱관절 기능장애와 씹기 근육 및 주위조직의 지속적인 통증, 아래턱 운동범위의 감소나 관절음 등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7]. 따라서 턱관절 장애는 복합적인 요인으로 교합적 원인, 기능적 원인, 생리학적 원인, 구강악습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Ku IY, Choi HY, Park MK, Ka KH, Moon SJ. The effects of job stress in local government officials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xerostomia. Korean J Heal Serv Manag. 2015;9:119-130. 

  2. Eckersley R. Well & good: morality, meaning and happiness. Melbourne: The Text Publishing Company, 2005. 

  3. Kim JU, Hong MH, Kim YS. Impact of stress on physical and temporomandibular joint symptoms in health-related majoring students. J Korea Acad Industr Coop Soc. 2013;14:4919-4926. 

  4. Kang SJ. A study on the effects of economic stres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doctoral dissertation]. Cheonan: Baekseok University, 2012. 

  5. Lupton DE. A preliminary investigation of the personality of female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patients. Psychother Psychosom. 1966;14:199-216. 

  6. Hong MH. Relationship of stress, oral habits and TMJ symptoms in 20-30 ages adults. J Korean Soc Dent Hyg. 2014;14:739-746. 

  7. Yang HY, Kim ME. Prevalence and treatment pattern of Korea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J Oral Med Pain. 2009;34:63-79. 

  8. Kim HS.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the prevalence rate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oral habits. J Kor Aca Den Tec. 2015;37:261-270. 

  9. Okeson JP. Manage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cclusion. 7th ed. St. Louis (MO): Elsevier, 2013. 

  10. Han SY, Yu JS. A study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food intake ability among dental clinic outpatients. J Dent Hyg Sci. 2011;11:285-292. 

  11. Kim DK, Lim HD, Lee YM. Evaluation of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emporomandibular disorder symptoms in dental hospital worker. J Oral Med Pain. 2012;37:61-72. 

  12. Lim JS, Jang SY, Jang HJ, Jeong JY, Kang KH. A study on stress and TMD factor of university student. J Korea Converg Soc. 2011;2:39-45. 

  13. Seo EG, Kim SD, Lee JY, Lim JS.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risk factors in office workers, service workers, and teachers. J Korean Soc Dent Hyg. 2012;12:563-576. 

  14. Goo KM. The factors related to Korean adults' experiences of temporomandibular joint symptoms. J Korean Acad Dent Hyg. 2015;17:139-149. 

  15. Cho MS, Kim CS, Cheon SH. Association between self-esteem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 in the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6;16:111-120.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national oral health survey [Internet].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cited 2020 Jul 24]. Available from: https://www.khealth.or.kr/board/view?pageNum1&rowCnt10&no14&linkId25028&menuIdMENU01019&schType0&schText&boardStyle&categoryId&continent&country&contents1. 

  17. The Chungcheong Ilbo [Internet]. Cheongju: The Chungcheong Ilbo; 2015 [cited 2020 Jun 24]. Available from: http://www.ccdail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81819. 

  18.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2).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19. Thomas LJ, Tiber N, Schireson S. The effects of anxiety and frustration on muscular tension related to the temporomandibular joint syndrom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73;36:763-768. 

  20. Hadong County Public Health. Rating scale for stress [Internet]. Hadong: Hadong County Public Health; 2020 [cited 2020 May 26]. Available from: Http://www.hadong.go.kr/01868/01961/02100.web. 

  21. Kim IA. A study on the effects of psychosocial stress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master's thesis]. Yongin: Dankook University, 2012. 

  22. Chung SC, Kim YK, Ko MY, Kim KS, Choi JK, Hong JP, et al. Orofacial pains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2nd ed. Seoul: Shinheung, 2006. 

  23. Jung YY, Hong JT. A study of the relation of stress to oral parafunctional habits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J Dent Hyg Sci 2013;13:471-479. 

  24. Seo YS, Kim M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ress perceptions, coping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of students in different major fields. J Korean Data Anal Soc. 2016;18:525-535. 

  25. Kim SK, Kim SR, Kim HK, Park JS, Lee YJ, Cho MS, et al.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in adults. J Korean Soc Dent Hyg. 2017;17:601-611. 

  26. Lee HO, Kim SM. A study of the relation of perceived stress to oral parafunctional habits in university students. J Dent Hyg Sci. 2015;15:721-727. 

  27. Choi SS, Ryu HG. Relevance of academic stress with high school girl temporomandibular joint syndrome. J Korean Soc Sch Community Health Educ. 2014;15:31-41. 

  28. Kim HS.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abits and the prevalent statu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J Kor Aca Den Tec. 2014;36:187-196. 

  29. Kim SK, Kim YJ, Nam JM, Park JS, Sim MY, Yun SJ, et al. Subjective symptoms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related factors. J Korean Soc Dent Hyg. 2017;17:589-6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