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EA Window 분석을 이용한 국내 온라인 게임 기업의 운영 효율성 평가
Measuring Operational Efficiency of Korean Online Game Companies with DEA Window Analysis 원문보기

한국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Operations Research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v.39 no.3, 2014년, pp.23 - 40  

전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  이학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measures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domestic online game companies and analyze its trends and patterns b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DEA is a non-parametric approach to measuring the relative efficiency of decision-making units (DMUs) with multiple inputs and outputs. 14 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의 산출지향 BCC 모형과 초효율성 모형으로 측정한 정태적인 효율성 분석은 효율성 산출이 간편하고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단기간의 등락으로 인해 기업의 운영효율성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쉽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Window 분석을 이용하여 동적인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DEA를 활용하여 국내 온라인 게임 기업의 운영 효율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Window 분석을 통해 대내외 환경변화에 따른 동태적 변화를 추적하고 분석함으로써 주요 정책적 이슈, 트렌드의 변화와 기술의 발달로 인한 온라인 게임 기업들의 효율성 변화 및 추이를 분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온라인 게임 기업들의 정태적 효율성과 함께 동태적 효율성 분석을 동시에 수행한다. 우선 실증적인 데이터를 바탕으로 DEA 모형 중 산출지향 BCC(output-oriented BCC model) 및 초효율성 모형(super efficiency model)을 이용하여 온라인 게임 기업의 정태적 효율성을 측정하고, 다음으로 Window 분석을 이용하여 2003년부터 2012년까지 10년간의 동태적 효율성을 측정함으로써 대내외 환경 변화에 따른 온라인 게임 산업 및 개별 기업의 효율성 변화와 추세를 분석하고자 한다.
  • 이에 초효율성 분석을 수행하여, 효율성이 1인 기업들 간의 상대적 우위를 도출하였으며, 그 결과가 에 제시되어 있다.

가설 설정

  • 대규모 인력과 자본이 필요한 대작게임 및 소수 블록버스터 게임에 대한 집중 현상이 심해지면서 위메이드, 바른 손게임즈 등의 기존 중소 온라인 게임사의 경쟁력이 낮아졌으며, 자본 부족, 인력유출, 고객 마케팅 등의 열세로 인해 중소 온라인 게임사의 효율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기록하였다. 둘째로, 모바일 플랫폼의 약진이다. 2000년대 후반기부터 본격화된 스마트폰, 태블릿 PC의 등장으로 인해 게임빌, 소프트 맥스 등의 모바일과 관련된 기업이 높은 효율성 점수를 기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온라인 게임 산업 초기에는 어떤 사업적 특징을 보였는가? 온라인 및 웹이라는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과 초고속 인터넷 보급에 힘입어 국내 온라인 게임 산업은 2000년 이후 폭발적인 성장과 발전을 거듭하여 2010년에는 10여 만 명이 넘는 종사자수와 16억불에 가까운 수출실적을 기록하였다[20]. 온라인 게임 산업 초기에는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개발력을 지닌 소규모 벤처 기업들이 산업의 주를 이루었으며, 소수 게임의 성공여부에 따라 기업의 성공과 몰락이 결정되는 고위험 고수익(High Risk, High Return)의 사업적 특징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산업이 성장함에 따라 대규모 자본과 인력을 보유한 대기업 중심으로 산업구조의 재편이 진행되었으며, 글로벌 기업들의 국내 진출이 가속화되면서 국내 시장 경쟁은 더욱 심화되었다.
기본적인 DEA 모형의 목적은 무엇인가? 그러나 기본적인 DEA 모형은 대상 DMU의 특정 기간 동안의 정태적 효율성을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시간 변화에 따른 기업의 효율성 변화를 파악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따라 시간의 변화에 따른 효율성의 동태적인 변화를 추적하여 각 DMU의 시계열적인 성장성, 안정성 등을 측정할 수 있는 DEA의 Window 분석을 활용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Window 분석은 어떤 경우에 매우 유용한 기법인가? Window 분석의 최대 장점은 윈도우별 효율성 평가결과가 모두 도출되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시계열적인 환경 및 조건, 트렌드 변화에 따른 각 DMU의 효율성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특히, 급변하는 신기술 산업 분야에 있어서 시간적 변화에 따라 각 DMU의 효율성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분석, 평가하는 경우에 매우 유용한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고동원, "게임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산업의 경영효율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9호(2012), pp.340-347. 

  2. 김문석, "DEA를 이용한 서비스 조직의 효율성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9), pp.141-145. 

  3. 김범석, 김명석, 민재형, "자료포괄분석(DEA)를 이용한 주식의 가치평가", 경영과학, 제28권, 제3호(2011), pp.61-72. 

  4. 김우식, "국내 전자기업의 경영성과와 R&D 활 동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 제17권, 제4호(2004), pp.1467-1484. 

  5. 김종기, 강다연, "DEA 모형을 이용한 국내 아파트 건설기업(상장기업)의 효율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7호(2008), pp.201-207. 

  6. 김지혜, 김해수, 임빛나, 윤장혁, "DEA 와 맘퀴스트 생산성 지수를 활용한 OECD 국가간 의료 서비스 효율성 분석", 한국경영과학회지, 제37권, 제4호(2012), pp.125-138. 

  7. 박성민, "DEA 효율성을 결정하는 입력-출력변수 식별 : 정부지원 R&D 과제 효율성 평가를 위한 실례", 대한산업공학회지, 제40권, 제1호 (2014), pp.84-99. 

  8. 심광식, 김재윤, "지하철 효율성 평가를 위한 DEA-AR/AHP 모형의 설계", 한국경영과학회지, 제34권, 제3호(2009), pp.105-124. 

  9. 윤건우, 유승호, "비모수 분석모형(DEA)을 활용한 국내 온라인 게임 기업의 인적자본 효율성 연구", 한국게임학회논문지, 제9권, 제2호(2009), pp.81-93. 

  10. 안재경, 김우제, 김종화, 박천일, "DEA 를 이용한 지상파 디지털 방송 경쟁력 분석",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5), pp.358-362. 

  11. 이대용, 이청호, "DEA/Window 기법을 이용한 정보기술산업의 경영효율성과 규모 경제성 평가에 관한 연구", 경영정보학, 제10권, 제3호 (2000), pp.17-40. 

  12. 이상훈, 이학연, 박용태, "자료포락분석(DEA)를 이용한 지식 서비스(KIBS) 산업의 혁신 성과 분석", 한국경영공학회지, 제16권, 제3호(2011), pp.129-144. 

  13. 이재영, "IDEA 모델을 이용한 지방병무청 운영 효율성 평가", 경영과학, 제22권, 제1호(2005), pp.1-13. 

  14. 이형석, 김기석, "DEA/Window 모형을 이용한 국내 생명보험산업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5호(2008), pp.192-206. 

  15. 임병학, "우리나라 해운기업의 재무성과에 대한 효율성 평가 : DEA와 Window 분석의 적용", 한국물류학회지, 제20권, 제4호(2010), pp.145-160. 

  16. 전승진, 이철웅, "환경요소를 고려한 국내공항 생산성 측정 : DEA 모형의 적용", 대한산업공학회지, 제37권, 제4호(2011), pp.350-357. 

  17. 전훈, 이학연, "DEA 기반 온라인 게임 성과 관리 포트폴리오 모형", 대한산업공학회지, 제39권, 제4호(2013), pp.260-270. 

  18. 조정은, 박지영, 김수욱, "의료서비스 산업의 국제 경쟁력 비교 분석-DEA 접근법", 한국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08), pp.118-118. 

  19. 최종열, 김기석, 김도훈, "연안어업경영의 생산 효율성 분석 : DEA와 SFA 기법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경영과학회지, 제35권, 제3호(2010), pp.59-68. 

  20. 한국컨텐츠 진흥원, 대한민국 게임백서(2008, 2009, 2010, 2011). 

  21. 현정원, "국내 제약기업 광고비의 기술, 배분, 전체 효율성에 대한 DEA 윈도우 분석", 생산성논집 (구 생산성연구), 제25권, 제3호(2011), pp.29-48. 

  22. Asmild, M., J.C. Paradi, V. Aggarwall, and C. Schaffnit, "Combining DEA window analysis with the Malmquist index approach in a study of the Canadian banking industry," Journal of Productivity Analysis, Vol.1, No. 1(2004), pp.67-89. 

  23. Banker, R.D., A. Charnes, and W.W. Cooper, "Some models for estimating technical and scale inefficiencie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Management science, Vol.30, No.9 (1984), pp.1078-1092. 

  24. Charnes, A. and W.W. Cooper, "Preface to topics in data envelopment analysis," Annals of Operations research, Vol.2, No.1(1984), pp.59-94. 

  25. Charnes, A., W.W. Cooper, and E. Rhodes,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2, No.6(1978), pp.429-444. 

  26. Charnes, A., C.T. Clark, W.W. Cooper, and B. Golany, "A developmental study of data envelopment analysis in measuring the efficiency of maintenance units in the US Air Forces," Annals of Operations Research, Vol. 2, No.1(1984), pp.95-112. 

  27. Colbert, A., R.R. Levary, and M.C. Shaner, "Determining the relative efficiency of MBA programs using DEA,"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125, No.3(2000), pp.656-669. 

  28. Cooper, W.W., L.M. Seiford, and K. Tone, "Data envelopment analysis : a comprehensive text with models, applications, references and DEA-solver software," Springer, 2007. 

  29. Liu, F.-H. Franklin, and P.-H. Wang, "DEA Malmquist productivity measure : Taiwanese semiconductor companie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Vol.112, No.1 (2008), pp.367-379. 

  30. Serrano-Cinca, Carlos, Yolanda Fuertes- Callen, and Cecilio Mar-Molinero, "Measuring DEA efficiency in internet companies," Decision Support Systems, Vol.38, No.4 (2005), pp.557-573. 

  31. Thore, S., F. Phillips, T.W. Ruefli, and P. Yue, "DEA and the management of the product cycle : The US computer industry," Computers and Operations Research, Vol.23, No.4(1996), pp.341-356. 

  32. Webb, R., "Levels of efficiency in UK retail banks : a DEA window analysis," Int. J. of the economics of business, Vol.10, No.3(2003), pp.305-322. 

  33. Xue, M. and P.T. Harker, "Note : ranking DMUs with infeasible super-efficiency DEA models," Management Science, Vol.48, No.5 (2002), pp.705-710. 

  34. Yang, H.-H. and C.-Y. Chang, "Using DEA window analysis to measure efficiencies of Taiwan's integrated telecommunication firms," Telecommunications Policy, Vol.33, No.1(2009), pp.98-108. 

  35. Yang, Z., "A two-stage DEA model to evaluate the overall performance of Canadian life and health insurance companies," Mathematical and computer modeling, Vol.43, No.7(2006), pp.910-919. 

  36. Zhu, J., "Multi-factor performance measure model with an application to Fortune 500 companie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Vol.123, No.1(2000), pp.105-1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