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은 이야기를 바탕으로 프레임을 구성하는 조형언어와 컷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그려내는 비실사동영상예술이다. 따라서 영상을 표현함에 있어 프레임 내에서는 미술의 표현어법과 조형공간장치들을, 컷은 프레임과 프레임사이의 영상 어법을 충실하게 갖추어야한다. 단편애니메이션은 작가의 주관적 담론을 표현하기 위한 서사보다는 독특한 이미지표현과 다양한 영상 실험에 의해 제작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독창적인 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스타일이나 다양한 영상연출 등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번연구에서는 필름조작에 의한 제작방식을 보여준 <탱고>와 <페스트 필름>의 실험적 영상 연출의 특징을 상호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제작기법에서는 <탱고>는 라이브 영상에서 얻어낸 이미지를 셀매트에 직접 페인팅과 많은 옵티컬 노출공정을 통해 제작한 픽실레이션인 반면 <페스트 필름>은 수백편의 액션영화의 장면을 선별하여 찢기, 오리기, 붙이기, 접기 등의 다양한 콜라주기법으로 제작되었다. 둘째, 화면공간연출로는 <탱고>는 일반적인 화면전환을 거부하고 고정된 카메라앵글로 인물들의 비 인과관계를 반복된 행위와 순환적 영상구조로 표현한 반면 <페스트 필름>은 인물간의 상호 대립관계를 다양한 카메라앵글과 독특한 이미지의 화면전환으로 빠르게 진행하는 전진구조를 갖고 있었다. 셋째, 편집에서는 <탱고>는 다양한 인물의 등장으로 여러 개의 장면으로 보이나 실질적으로는 전체의 영상이 하나의 쇼트로 이루어진 롱 테이크 쇼트로 표현되었다. 반면 <페스트 필름>은 수백 개의 다양한 쇼트에 의한 영상재구성으로 시각적 재미와 몰입 도를 극대화하고 있다. 즉 두 작품 모두 일반적인 애니메이션제작방식과는 차별화된 필름조작을 통해 애니메이션영상표현의 확장성을 보여준 실험적 작품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이외에도 <탱고>가 뚜렷한 내러티브 없이 다양한 인간들의 반복일상을 재 개념화된 공간의 영상미로 전달한 반면 <페스트 필름>은 이항대립의 구조로 설정하고 속도감 있는 전개와 콜라주에 의한 이미지 재구성을 통해 새로운 영상공간으로 풀어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애니메이션은 이야기를 바탕으로 프레임을 구성하는 조형언어와 컷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그려내는 비실사동영상예술이다. 따라서 영상을 표현함에 있어 프레임 내에서는 미술의 표현어법과 조형공간장치들을, 컷은 프레임과 프레임사이의 영상 어법을 충실하게 갖추어야한다. 단편애니메이션은 작가의 주관적 담론을 표현하기 위한 서사보다는 독특한 이미지표현과 다양한 영상 실험에 의해 제작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독창적인 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스타일이나 다양한 영상연출 등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번연구에서는 필름조작에 의한 제작방식을 보여준 <탱고>와 <페스트 필름>의 실험적 영상 연출의 특징을 상호 비교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제작기법에서는 <탱고>는 라이브 영상에서 얻어낸 이미지를 셀매트에 직접 페인팅과 많은 옵티컬 노출공정을 통해 제작한 픽실레이션인 반면 <페스트 필름>은 수백편의 액션영화의 장면을 선별하여 찢기, 오리기, 붙이기, 접기 등의 다양한 콜라주기법으로 제작되었다. 둘째, 화면공간연출로는 <탱고>는 일반적인 화면전환을 거부하고 고정된 카메라앵글로 인물들의 비 인과관계를 반복된 행위와 순환적 영상구조로 표현한 반면 <페스트 필름>은 인물간의 상호 대립관계를 다양한 카메라앵글과 독특한 이미지의 화면전환으로 빠르게 진행하는 전진구조를 갖고 있었다. 셋째, 편집에서는 <탱고>는 다양한 인물의 등장으로 여러 개의 장면으로 보이나 실질적으로는 전체의 영상이 하나의 쇼트로 이루어진 롱 테이크 쇼트로 표현되었다. 반면 <페스트 필름>은 수백 개의 다양한 쇼트에 의한 영상재구성으로 시각적 재미와 몰입 도를 극대화하고 있다. 즉 두 작품 모두 일반적인 애니메이션제작방식과는 차별화된 필름조작을 통해 애니메이션영상표현의 확장성을 보여준 실험적 작품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이외에도 <탱고>가 뚜렷한 내러티브 없이 다양한 인간들의 반복일상을 재 개념화된 공간의 영상미로 전달한 반면 <페스트 필름>은 이항대립의 구조로 설정하고 속도감 있는 전개와 콜라주에 의한 이미지 재구성을 통해 새로운 영상공간으로 풀어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nimation movie is a non-photorealistic animated art that consists of formative language forming a frame based on a story and cuts describing frames that form the cuts. Therefore, in expressing an image, artistic expression methods and devices for a formative space are should be provided in a frame ...
Animation movie is a non-photorealistic animated art that consists of formative language forming a frame based on a story and cuts describing frames that form the cuts. Therefore, in expressing an image, artistic expression methods and devices for a formative space are should be provided in a frame while cuts have the images between frames faithfully. Short animation movie is produced by various image experiments with unique image expressions rather than narration for expressing subjective discourse of a writer. Therefore, image style that forms unique images and various image directions are important factors. This study compared the experimental image directions of and , both of which showed a production method of film manipulation. First, while uses pixilation that produces images obtained from live images through painting and many optical disclosure process on a cell mat, was made with diverse collage techniques such as tearing, cutting, pasting, and folding hundreds of scenes from action movies. Second, expresses non-causal relationship of characters by their repetitive behaviors and circulatory image structure through a fixed camera angle, resisting typical scene transition. On the other hand, has an advancing structure that progresses antagonistic relationship of characters through diverse camera angles and scene transition of unique images. Third, in terms of editing, uses a long-take short cut technique in which the whole image consists of one short cut, though it seems to be many scenes with the appearance of various characters. On the other hand, maximizes visual fun and commitment by image reconstruction with hundreds of various short cuts. That is, both works have common features of an experimental work that shows expansion of animated image expressions through film manipulation that is different form general animation productions. On top of that, delivers routine life of diverse human beings without clear narration through image of conceptualized spaces. expresses it in a new image space through image reconstruction with collage technique and speedy progress, setting a binary opposition structure.
Animation movie is a non-photorealistic animated art that consists of formative language forming a frame based on a story and cuts describing frames that form the cuts. Therefore, in expressing an image, artistic expression methods and devices for a formative space are should be provided in a frame while cuts have the images between frames faithfully. Short animation movie is produced by various image experiments with unique image expressions rather than narration for expressing subjective discourse of a writer. Therefore, image style that forms unique images and various image directions are important factors. This study compared the experimental image directions of and , both of which showed a production method of film manipulation. First, while uses pixilation that produces images obtained from live images through painting and many optical disclosure process on a cell mat, was made with diverse collage techniques such as tearing, cutting, pasting, and folding hundreds of scenes from action movies. Second, expresses non-causal relationship of characters by their repetitive behaviors and circulatory image structure through a fixed camera angle, resisting typical scene transition. On the other hand, has an advancing structure that progresses antagonistic relationship of characters through diverse camera angles and scene transition of unique images. Third, in terms of editing, uses a long-take short cut technique in which the whole image consists of one short cut, though it seems to be many scenes with the appearance of various characters. On the other hand, maximizes visual fun and commitment by image reconstruction with hundreds of various short cuts. That is, both works have common features of an experimental work that shows expansion of animated image expressions through film manipulation that is different form general animation productions. On top of that, delivers routine life of diverse human beings without clear narration through image of conceptualized spaces. expresses it in a new image space through image reconstruction with collage technique and speedy progress, setting a binary opposition structur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단편애니메이션 중 라이브필름의 이미지조작으로 제작된 와 의 독창적 실험기법과 연출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애니메이션의 기법은 실험성의 개념과 관통하는 공유개념이며, 이러한 애니메이션의 비자동성(frame by frame)은 실사영상과는 차별화된 개념이기도하다. 따라서 이번연구에서는 단편애니메이션 중 실사(live action film) 이미지를 원천으로 제작된 영상을 통해 애니메이션의 확장된 개념과 다양한 표현기법 등 실험적 영상연출의 특징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애니메이션표현방식은 크게 사용되는 매체(재료)와 기법에 의해 장르로 나눌 수 있는데 매체중심(컷 아웃, 클레이, 핀 스크린 등)의 경우 프레임 상에 촬영되는 가시적인 조형요소들의 구성 원리와 관련되는 반면, 기법중심(스톱모션, 픽실레이션, 등)의 경우 특별한 성질의 재료들을 취급하며 촬영 작업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므로 상세한 기술적 지식과 음악적 감각을 필요로 한다.3) 이러한 표현방식을 다양하게 재해석하는 단편애니메이션에서의 실험성은 작품표현의 핵심적 요소이다. 따라서 단편애니메이션에서의 실험성은 단순히 새로운 이미지의 적용이나 표현을 넘어 기존의 영상어법의 본질적 규칙을 재해석하고 확대하는 일련의 혁신적 개념을 말한다.
제안 방법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연구와 함께 각 작품을 직렬식으로 분석배열하고 상호비교분석을 통해 두 작품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 해내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애니메이션의 표현의 확장성을 위한 다양한 실험성과 조형형식 등을 이해할 수 있는 비실사 동영상에 대한 선행연구가 전제되어야한다.
탱고의 영상공간은 살아있는 피사체로 이미지를 얻어 프레임을 정교하게 분해하고 재조립하여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내었다. 즉 드로잉애니메이션(drawn-animation)에서 움직임의 표현을 한 프레임씩 동작의 변화를 그려내듯이 라이브필름을 한 프레임씩 조작을 통해 영상화하였다. 이는 시각적으로 보기에는 라이브액션필름으로 보여지지만 애니메이션기법을 충실하게 보여준 픽실레이션(pixilation)5)인 것이다.
로 재구성한 애니메이션영상이다. 수천편의 영화중 300여 편의 액션영화를 작품에 필요한 장면을 골라내어 65,000 프레임의 사진으로 프린트한 후 이를 다시 정교하게 오려내고, 다층으로 레이어(층)를 나누고 다시 콜라주하여 디지털스틸카메라로 촬영하여 제작되었다.7) 즉 <표 3>에서와 같이 페스트필름은 새로운 영상공간과 이미지를 창출하기 위해 종이 찢기(조형미표현), 자르기(영상공간미표현), 종이접기(오브제활용의 입체미), 붙이기(인물변화표현), 다층 레이어(3차원의 공간감표현), 화면분할(효율적 의미전달) 등을 활용하여 새로운 애니메이션 공간을 만들어 냈다.
첫째, 는 라이브영상에서 얻어낸 이미지를 분절 촬영을 통해 영상화한 확장된 픽실레이션인 반면 은 수백 편의 실사영화의 장면을 선별하여 콜라주 이미지로 연출하였다.
성능/효과
둘째, 는 일반적인 화면전환을 거부하고 고정된 카메라 앵글로 인물들의 비 인과관계를 반복된 행위와 순환적 영상구조로 표현한 반면 은 인물간의 상호 대립관계를 다양한 카메라앵글과 독특한 이미지의 화면전환으로 빠르게 진행하는 전진구조를 갖고 있었다.
셋째, 는 전체의 영상이 하나의 쇼트로 이루어진 롱 테이크 쇼트로 사유적 몰입을 강조한 반면 은 수백 개의 다양한 콜라주쇼트에 의한 몽타주편집으로 시각적 몰입 도를 극대화하고 있다.
즉 두 작품 모두 일반적인 애니메이션제작방식과는 차별화된 실사영상의 필름조작을 통해 애니메이션영상표현의 확장성을 보여준 작품이라는 공통점 이외에도 가 뚜렷한 내러티브 없이 다양한 인간들의 반복일상을 이미지의 분해와 재조립을 통해 재 개념화된 공간적 영상미로 전달한 반면 은 이항 대립의 구조를 속도감 있는 전개와 콜라주에 의한 이미지 재구성을 통해 새로운 액션영상을 보여주었다.
후속연구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연구와 함께 각 작품을 직렬식으로 분석배열하고 상호비교분석을 통해 두 작품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도출 해내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애니메이션의 표현의 확장성을 위한 다양한 실험성과 조형형식 등을 이해할 수 있는 비실사 동영상에 대한 선행연구가 전제되어야한다. 나아가는 장인정신의 대표적인 실험.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애니메이션은 어떤 예술인가?
애니메이션은 이야기를 바탕으로 프레임을 구성하는 조형언어와 컷을 구성하는 프레임을 그려내는 비실사동영상예술이다. 따라서 영상을 표현함에 있어 프레임 내에서는 미술의 표현어법과 조형공간장치들을, 컷은 프레임과 프레임사이의 영상 어법을 충실하게 갖추어야한다.
단편애니메이션에서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단편애니메이션은 작가의 주관적 담론을 표현하기 위한 서사보다는 독특한 이미지표현과 다양한 영상 실험에 의해 제작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독창적인 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스타일이나 다양한 영상연출 등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이번연구에서는 필름조작에 의한 제작방식을 보여준 와 의 실험적 영상 연출의 특징을 상호 비교해보았다.
단편애니메이션의 특징은 무엇인가?
따라서 영상을 표현함에 있어 프레임 내에서는 미술의 표현어법과 조형공간장치들을, 컷은 프레임과 프레임사이의 영상 어법을 충실하게 갖추어야한다. 단편애니메이션은 작가의 주관적 담론을 표현하기 위한 서사보다는 독특한 이미지표현과 다양한 영상 실험에 의해 제작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독창적인 영상을 구성하는 이미지스타일이나 다양한 영상연출 등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