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공무원들의 사회심리적 요인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social Factors and Job Stress Among Clerical Public Offic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9, 2014년, pp.5610 - 5620  

박호진 (충남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박승경 (대전보건대학교 피부미용과) ,  조영채 (충남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예방의학교실 및 의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부 사무직 행정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사회심리적 요인(A형 행동유형, 통제신념, 자기존중감)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C도청에 근무하고 있는 공무원 634명(남자 505명, 여자 129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2013년 2월 18일부터 3월 1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은 성별, 연령, 학력, 결혼상태, 직급, 근무경력, 공무원생활에 대한 만족도, 흡연상태, 음주상태, 수면시간, A형행동유형, 통제신념 및 자기존중감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회심리적 요인과 직무스트레스 수준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업무요구도는 내적 통제신념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업무의 자율성은 A형행동유형, 내적 통제신념 및 자기존중감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사의 지지도는 외적 통제신념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다중회귀분석 결과 직무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주관적인 건강상태, 직위, 잔업시간, 질병으로 인한 결근, 업무에 대한 만족도, 수면시간, 여가시간, 외래진료경험유무, A형행동유형, 통제신념 및 자기존중감이 선정되었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32.1%이었다. 위의 모델에서 보면 A형행동유형, 통제신념 및 자기존중감 등의 사회심리적 요인이 추가됨으로 해서 15.0%의 설명력을 증가시켜 직무스트레스에 사회심리적 요인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levels of job stress, as well as its association with psychosocial factors (type A behavior pattern, locus of control, and self-esteem).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634 clerical public officers in the C Provincial Office between February 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일부 사무직 행정공무원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사회심리적 요인(A형 행동유형, 통제신념, 자기존중감)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C도청에 근무하고 있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특성, 직업관련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사회심리적 요인 (A형행동유형, 통제신념, 자기존중감) 등의 제 요인들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직무스트레스 요인을 나타내는 Job Content Questionnaire(JCQ)와 사회심리적 요인을 나타내는 A형 행동유형, 통제신념 및 자기존중감의 측정도구는 국내연구에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여 개발된 한국형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도 높은 신뢰도 값을 보여 본 연구결과의 신뢰성에서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ang SJ, Koh SB, Kang MG, et al. Epidemiology of psychosocial distress in Korean employees. Korean J Prev Med 38(1):25-37, 2005. 

  2. Cho KH, Lee DB, Cho YC. Psychosocial distres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clerical public offic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9(1):26-37, 2007. 

  3. Cooper H, Okamura L, McNeil P. Situation and personality correlat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social activity and personal control. J Res Personality, 29:395-417, 1995. DOI: http://dx.doi.org/10.1006/jrpe.1995.1023 

  4. Rotter J. Social Learning and Clinical Psychology. Englewood Cliffs: Pentice-Hall, 1975. 

  5. Haynes SG, Levine S. Scotch N, Feinleib M, Kannel W. The relationship of psychosocial factors to coronary heart disease in the Framingham study. Am J Epidemiol 107:362-383, 1978. 

  6. Chang SJ.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risk factors for psychosocial distress, and the development work site stress reduction program.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1. 

  7. Levenson H. Multidimensional locus of control in psychiatric patients. J Cons Clin Psychol, 41:397-404, 1973. DOI: http://dx.doi.org/10.1037/h0035357 

  8.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9. Karasek R, Theorell T, Schwartz JE, Schnall PL, Pieper CF, Michela JL. Job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the prevalence of myocardial infarction in the US Health Examination Survey (HES) and the Health and Nutrition Survey (HANES). Am J Public Health, 78:910-918, 1988. DOI: http://dx.doi.org/10.2105/AJPH.78.8.910 

  10. Cha BS, Koh SB, Chang SJ. The association between job characteristics, psychosocial distress and homocysteine. Korean J Prev Med, 31:719-727, 1998. 

  11. Jo YJ, Cho YC.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psychosocial stress among clerical public offic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6):2598-2606, 2011.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1.12.6.2598 

  12. Kim DH, Cho YC. Occupational stress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male workers in small-scale manufacturing industries under 50 members.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10(10):405-413, 2012. 

  13. Estryn-Behar M, Kaminski M, Peigne E, Bonnet N, Vaichere E, Gozlan C. Stress at work and mental health status among female hospital workers. Br J Ind Med, 47:20-28, 1990. 

  14. Ferrie JE, Shipley MJ, Marmot MG, Stanfeld S, Smith GD. Health effects of anticipation of job change and non-employment; longitudinal data from the Whitehall II study. BMJ, 311(7015):1264-1269, 1995. DOI: http://dx.doi.org/10.1136/bmj.311.7015.1264 

  15. Vahtera J, Kivimaki M, Pentti J. Effect of organizational downsizing on health of employees. Lancet, 350(9085);1124-1128, 1997. DOI: http://dx.doi.org/10.1016/S0140-6736(97)03216-9 

  16. Kivimaki M, Vahtera J, Pentti J, Ferrie JE. Factors underlying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downsizing on health of employees: longitudinal cohort study. BMJ 320(7240); 971-975, 2000. DOI: http://dx.doi.org/10.1136/bmj.320.7240.971 

  17. Koh SB. Son MA, Kong JO, Lee CG, Chang SJ, Cha BS, Job characteristics and psycho-social distress of atypical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6:103-113, 2004. 

  18. Kim SH, Yun GS. A study on the stress and fatigue of research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0(1):105-15, 1998. 

  19. Oh JK. Structural modeling of stress, life style and health status in industrial employee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2(1):26-40, 2000. 

  20. Kang JW, Hong YS, Lee HJ, Yeah BJ, Kim JI, Kim JM, Jung KY, Kim JY. Factors affecting fatigue and stress in male manufacturing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17(2):129-137, 2005. 

  21. Cha BS, Koh SB, Chang SJ, Park JK, Koh SY. Effect of noise exposure and psychosocial factors on blood pressure in manufacturing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9(2):244-257, 1997. 

  22. Conway TL, Ward HW, Vickers RR, Rahe RH. Occupational stress and variation in cigarette, coffee, and alcohol consumption. J Health Soc Behav, 22:155-165, 1981. DOI: http://dx.doi.org/10.2307/2136291 

  23. Yoon HS, Cho YC.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contents, psychosocial factors and mental health status among university hospital nurses in Korea. Korean J Prev Med 40(5):351-362,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