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피로와 영향요인
Influential Factors on Fatigu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9, 2014년, pp.5700 - 5707  

서영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간호학과) ,  최원희 (경성대학교 간호학과) ,  함종렬 (경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피로정도와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는 117명의 제 2형 당뇨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2013년 5월1일에서 6월 30일까지 J시에 위치한 일대학병원에서 면대면 설문지법으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5.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 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다중회귀분석 등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피로는 2.80점이었다.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우울, 나이, 질병이환기간으로 확인되었고 이들 변수는 피로에 대해 40%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건강전문가들은 제 2형 당뇨환자의 건강관리를 위하여 피로감소 간호중재개발이 필요하며 이러한 간호중재의 보다 나은 효과를 위하여 나이, 질병이환기간을 고려하고 대상자의 우울 감소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descriptive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fatigue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 total of 117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hospital in J city. For data collecti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between May 1 and June 28 2013. Data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제 2형 당뇨병 환자만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직업특성), 질병관련 요인(치료종류, 혈당수준, 체질량 지수), 그리고 심리적 요인(우울, 당뇨관련 스트레스)을 포함하여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으로써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건강 개선을 위한 효율적인 간호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로에 초점을 두고 우리나라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피로정도와 영향요인을 파악한 연구가 드문 상황에서, 본 연구를 통해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피로의 영향요인으로 우울을 확인함으로써, 새로운 중재 전략의 지침을 제공했다는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연령, 질병이환기간이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파악한 점도 피로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 본 연구는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피로와 피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의 피로는 2.
  • 최근 제 2형 당뇨병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피로가 당뇨병 환자들이 경험하는 대표적인 증상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외적으로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피로와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피로에 대한 이해를 도우고 피로를 감소시키기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해 피로와 관련요인을 규명한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 대상자의 피로는 5점 만점에 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35년에 당뇨병 환자수는 몇 명 이상으로 예측하는가? 당뇨병은 세계전역의 유행병이 되고 있다. 통계자료에 의하면 2000년에 전 세계적으로 1억 7천 7백만명이었던 당뇨병 환자수가 2035년에는 5억 9천 2백만명 이상이나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1]. 이 같은 추세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로, 만 30세 이상 성인인구의 당뇨병 유병률이 2001년 8.
당뇨병 환자들이 고통을 호소하는 주요 문제들 중 하나는? 당뇨병 환자들은 질병의 특성이나 질병의 경과로 인해서 다양한 건강문제들이 발생되어 고통 받고 있는데[4], 당뇨병 환자들이 고통을 호소하는 주요 문제들 중 하나가 피로이다[5,6]. 일반적으로, 약 61%의 제 2형 당뇨병 환자가 피로를 경험하고 있고[7], 당뇨병 환자들은 일반 인구에 비해서 경험하는 피로 정도가 2배 이상 높다[8].
건강관리 전문가들은 당뇨병 환자들이 호소하는 피로를 간과하는 경우가 흔하므로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가? 그러나 이런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건강관리 전문가들은 당뇨병 환자들이 호소하는 피로를 간과하는 경우가 흔하다[5, 12]. 따라서 당뇨병 환자의 건강 개선을 위해서는 건강관리 전문가들이 당뇨병 환자의 피로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적절히 관리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피로에 관련된 요인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IDF Diabetes Atlas, 6th ed, Available From: http://www.idf.org/diabetesatlas/introduction (accessed Aug., 2014). 

  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 for the Evaluation of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Prevention, Osong, Korea, 2012. 

  3. Kore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12, Seoul: Korea Diabetes Association/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4.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Standard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06. Diabetes Care 29:S28, 2006. 

  5. Fritschi C, Quinn L, "Fatigue in patients with diabetes: a review",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 69, No. 1, pp. 33-41, 2010. DOI: 10.1016/j.jpsychores.2010.01.021 DOI: http://dx.doi.org/10.1016/j.jpsychores.2010.01.021 

  6. Raimann JG, Kruse A, Thijssen S, Kuntsevich V, Diaz-Buxo JA, Levin NW, Kotanko P, "Fatigue in hemodialysis patients with and without diabetes: results fro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wo glucose-containing dialysates", Diabetes Care, Vol. 33, No. 9, pp. e121, 2010. DOI: 10.2337/dc10-1043 DOI: http://dx.doi.org/10.2337/dc10-1043 

  7. Drivsholm T, de Fine Olivarius N, Nielsen AB, Siersma V, "Symptoms, signs and complications in newly diagnosed type 2 diabetic patients, and their relationship to glycemia, blood pressure and weight", Diabetologia, Vol. 48, No. 2, pp. 210-214, 2005. DOI: http://dx.doi.org/10.1007/s00125-004-1625-y 

  8. Singh R, Kluding PM, "Fatigue and related factors in people with type 2 diabetes", The Diabetes Educator, Vol. 39, No. 3, pp. 320-326, 2013. DOI: http://dx.doi.org/10.1177/0145721713479144 

  9. Rothschild CL, "Emotional distress as a key construct in the personal model of diabetes management: associations of fatigue, diabetes-specific distress, and depressive symptomatology with quality of life in type 2 diabetes mellitu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Louisville, U.S.A., 2010. 

  10. Rubin RR, Peyrot M, "Psychological issues and treatments for people with diabete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57, No. 4, pp. 457-478, 2001. DOI: http://dx.doi.org/10.1002/jclp.1041 

  11. Wenzel J, Utz SW, Steeves R, Hinton I, Jones RA, "Plenty of Sickness, Descriptions by African Americans Living in Rural Areas With Type 2 Diabetes", The Diabetes Educator, Vol. 31, No. 1, pp. 98-107, 2005. DOI: http://dx.doi.org/10.1177/0145721704273242 

  12. Weijman I, Ros WJ, Rutten GE, Schaufeli WB, Schabracq MJ, Winnubst JA, "Fatigue in employees with diabetes: its relation with work characteristics and diabetes related burden",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 60, No. 1, pp. 93-98, 2003. DOI: http://dx.doi.org/10.1136/oem.60.suppl_1.i93 

  13. Lasselin J, Laye S, Barreau JB, Rivet A, Dulucq MJ, Gin H, Capuron L, "Fatigue and cognit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diabetes: relationship with disease phenotype and insulin treatment", Psychoneuroendocrinology, Vol. 37, No. 9, pp. 1468-1478, 2012. DOI: http://dx.doi.org/10.1016/j.psyneuen.2012.01.016 

  14. Fritschi C, Quinn L, Hacker ED, Penckofer SM, Wang E, Foreman M, Ferrans CE, "Fatigue in women with type 2 diabetes", Diabetes educator, Vol. 38, No. 5, pp. 662-672, 2012. DOI: http://dx.doi.org/10.1177/0145721712450925 

  15. Cuellar MG, Ratcliffe SJ, "A comparison of glycemic control, sleep, fatigue, and depression in type 2 diabetes with and without restless legs syndrome", Journal of clinical sleep medicine, Vol. 4, No. 1, pp. 50-56, 2008. 

  16. Polonsky WH, Lees J, Fisher L, Mullan J, Earles J, Jackso RA, et al., "Assessing psychosocial distress in diabetes: Development of the diabetes distress scale", Diabetes care, Vol. 28, No. 3, pp. 626-631, 2005. DOI: http://dx.doi.org/10.2337/diacare.28.3.626 

  17. E. J. Choi, "Factors related to glycemic control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Yonsei, Seoul, 2007. 

  18. Radoff LS,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 1, pp. 385-401, 1977. DOI: http://dx.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 

  19. K. K. Chon, S. C. Choi, B. C. Yang, "Integrated adaptation of CES-D in Korea", Korea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6, No. 1, pp. 59-76, 2001. 

  20. Smets EMA, Garssen B, Bonke B, De Haes JCJM, "The multidimensional fatigue inventory (MFI) psychometric qualities of an instrument to assess fatigue",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 39, No. 3, pp. 315-325, 1995. DOI: http://dx.doi.org/10.1016/0022-3999(94)00125-O 

  21. Lin JM, Brimmer D, Maloney E, Nyarko E, BeLue R, Reeves W, "Further validation of the Multidimensional Fatigue Inventory in a US adult population sample", Population Health Metrics, Vol. 7, pp. 18, 2009. DOI: http://dx.doi.org/10.1186/1478-7954-7-18 

  22. Weijman I, Ros WJ, Rutten GE, Schaufeli WB., Schabracq MJ, Winnubst JA, "Frequency and perceived burden of diabetes self-management activities in employees with insulin-treated diabetes: relationships with health outcomes", Diabetes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 68, No. 1, pp. 56-64, 2005. DOI: http://dx.doi.org/10.1016/j.diabres.2004.08.004 

  23. Meeuwesen L, Bensing J, Brink-Muinen A, "Communicating fatigue in general practice and the role of gender",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Vol. 48, No. 3, pp. 233-242, 2002. DOI: http://dx.doi.org/10.1016/S0738-3991(02)00176-3 

  24. Winter-Stone KM, Bennett JA, Nail L, Schwartz A, "Strength, physical activity, and age predict fatigue in older breast cancer survivors", Oncology Nursing Forumm, Vol. 35, No. 5, pp. 815-821, 2008. DOI: http://dx.doi.org/10.1188/08.ONF.815-821 

  25. Mens-Verhulst J van, Bensing JM, "Sex differences in persistent fatigue", Women and Health, Vol. 26, No. 3, pp. 51-70, 1998. DOI: http://dx.doi.org/10.1300/J013v26n03_04 

  26. Casalenouvo GA, "Fatigue in diabetes mellitus: testing a middle range theory well-being derived from Neuma's theory of optimal client system stability and the Newman systems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he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