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난 대응 활동 시 노출가능 유해인자 종합분석 -화재 현장을 중심으로-
Comprehensive Analysis of Exposed Adverse Factors in Disaster Response Activities - Focused on Fire -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0 no.3 = no.25, 2014년, pp.420 - 430  

Park, Chanseok (Department of Fire Safety Management, Woosong College)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화재와 같은 재난현장에서 재난대응활동을 수행하는 소방공무원은 진압 구조 구급활동을 하는 동안 열, 연기, 유독가스에 노출되며 정신적인 스트레스, 생물학적 유해인자, 그리고 화재 진압 시 요구되는 인체공학적으로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인한 육체적 과부하 등의 다양한 유해인자에 노출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에 대한 연구는 개별적 수준에서는 일부 존재해 왔지만 화재현장에서 소방관에게 노출되는 유해인자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그 대책까지 제안한 연구는 존재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현장에서의 안전 및 유해인자를 종합적으로 도출하고 그 대응방안까지 제시함으로써 소방공무원의 노출로 인한 건강장애 및 사고 예방에 기여하는 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소방업무환경별로 화재진압분야, 구조 및 구급분야, 생활환경분야로 나누어 환경분석을 하고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심리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화재현장의 유해인자를 도출하고 노출현황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물리적 유해인자 중에는 특수건강검진 결과 가장 많은 케이이스수를 차지하는 소음분야에 대하여 대처방안을 모색하였다. 화학적 유해인자는 보호장비와 클린룸 운영방안을, 생물학적 유해인자는 감염예방교육과 예방접종, 주기적 관리점검 체계확립을, 심리적 유해인자는 PTSD 경감 부스 설치와 멘토링제도의 도입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refighters performing disaster response activities such as Fire Suppression Rescue First Aid in fire are being exposed in various adverse factors, heat, smoke, toxic gases, emotional stress, biological toxic factors and physical overload by unnatural ergonomic posture required for firefighters. B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물리적 유해인자는 고열, 육체적인 과부하, 소음, 진동 등 다양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2013년 서울소방재난본부 특수건강진단 결과에서 질환중 가장 많은 케이스수를 나타내었던 소음부분에 대하여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유해인자 현황을 제시하였고, 그 대처방안을 모색하였다. 서울소방재난본부 소속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3년 특수건강검진 결과 자료에서도 소음성 난청에 시달리는 소방관이 많음을 알 수 있는데, 전체 검진대상자 5,744명중 53%(3,063명)가 질병관리대상자였고, 이중 35.
  • 물리적 유해인자는 고열, 육체적인 과부하, 소음, 진동 등 다양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연구실험을 실제로 실시한 소음부분에 한하여 그 대처방안을 모색하였다. 2010년도 서울시내 G소방 관서를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로서 소방공무원은 현장 활동 중에 최대 148.
  • 화재현장의 유해인자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방공무원의 작업환경에 대한 분석이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화재현장에서 소방공무원이 행하는 활동을 다음과 같이 화재진압활동, 구조ㆍ구급활동, 출동전후의 생활환경으로 구분하여 유해환경을 분석하고자 한다.
  • ② 클린 룸(clean room)을 설치하는 것이다. 모든 출동직원들에 대하여 출동 후 클린 룸을 이용하게 하여 화재 진압 후 남아 있는 잔존 유해가스에 대한 차단을 완벽하게 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클린 룸(clean room)은 무균실 또는 먼지가 없는 방을 의미하는데 클린 룸에 고압의 맑은 공기를 주입함으로서 오염된 공기를 희석 또는 밖으로 배출시키므로 잔존 유해가스에 대한 위험 유해인자를 줄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화학적 유해인자는 보호장비와 클린 룸 운영방안을, 생물학적 유해인자는 감염예방교육과 예방접종, 주기적 관리점검 체계확립을, 심리적 유해인자는 PTSD 경감 부스 설치와 멘토링제도의 도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산재되어 있던 유해요인과 대처방안을 정리함으로써 지금 이 순간에도 재난현장에서 국민의 생명을 구하고 있을 소방공무원의 유해환경이 개선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갖는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현장에서의 안전 및 유해인자 노출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소방공무원의 노출로 인한 건강장애 및 사고 예방에 기여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재난현장에서 발생하는 유해인자에 대한 분류를 알아보고 이러한 유해인자로 인하여 소방공무원에게 발생 가능한 각종 질환과 그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정신적, 육체적 체력증진 및 체계적인 관리 방안 등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더불어 소방공무원에 대한 안전 및 보건학상 유해인자 위험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 유해인자를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심리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화재현장 소방공무원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기존 문헌과 실험결과들을 종합하여 도출하고 그 노출현황을 제시하고, 기존 연구결과들과 소방조직의 현황을 바탕으로 대응가능한 일부 노출인자에 대하여는 그 대응방안까지 제시하고자 한다.
  • ② 외상후스트레스(PTSD) 증세가 있는 직원에 대한 무한한 관심과 배려로써 멘토링(mentoring)을 운영하는 것인데 멘토(mentor)의 뜻은 경험과 지식이 많은 사람이 스승 역할을 하여 지도와 조언으로 그 대상자의 실력과 잠재력을 향상시키는 것 또는 그러한 체계를 '멘토링'이라고 하는데, 스승 역할을 하는 사람을 '멘토(mentor)', 지도 또는 조언을 받는 사람을 '멘티(mentee)'라고 한다. 이렇게 외상후스트레스의 증세가 있는 직원에 대한 관심으로 멘토를 지정 활성화 시켜 정신적ㆍ심리적으로 불안 할 때 들어주고 조언해 주며 상대방에게 신뢰감을 줄 있는 멘토링 제도를 운영하는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현장에서의 안전 및 유해인자 노출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소방공무원의 노출로 인한 건강장애 및 사고 예방에 기여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 이를 위해 재난현장에서 발생하는 유해인자에 대한 분류를 알아보고 이러한 유해인자로 인하여 소방공무원에게 발생 가능한 각종 질환과 그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정신적, 육체적 체력증진 및 체계적인 관리 방안 등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더불어 소방공무원에 대한 안전 및 보건학상 유해인자 위험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방관은 어떤 직업병 질환에 걸릴 확률이 대단히 높은가? 연소의 부산물인 치명적인 화학적 유해인자부터 통제불능의 고열(화마)과 정신적인 스트레스, 생물학적 유해인자, 그리고 화재 진압 시 요구되는 인체공학적으로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인한 육체적 과부하까지 이 모든 것들이 소방관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는 위험요인인 것이다. 이러한 위험요인으로 인하여 소방관들은 호흡기질환, 심혈관계 질환, 생식기능의 장애, 근․골격계질환 등 각종 직업병 질환에 걸릴 확률이 대단히 높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최근 각종 암에 노출되는 직업군으로 규정되어 있어 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재난대응활동을 수행하는 소방공무원은 어떤 유해인자에 노출되고 있는가? 화재와 같은 재난현장에서 재난대응활동을 수행하는 소방공무원은 진압 구조 구급활동을 하는 동안 열, 연기, 유독가스에 노출되며 정신적인 스트레스, 생물학적 유해인자, 그리고 화재 진압 시 요구되는 인체공학적으로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인한 육체적 과부하 등의 다양한 유해인자에 노출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에 대한 연구는 개별적 수준에서는 일부 존재해 왔지만 화재현장에서 소방관에게 노출되는 유해인자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그 대책까지 제안한 연구는 존재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소방공무원의 노출로 인한 건강장애 및 사고 예방을 위해서 재난현장에서의 안전 및 유해인자를 종합적으로 도출하고 관련된 대응방안의 내용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은 재난현장에서의 안전 및 유해인자를 종합적으로 도출하고 그 대응방안까지 제시함으로써 소방공무원의 노출로 인한 건강장애 및 사고 예방에 기여하는 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소방업무환경별로 화재진압분야, 구조 및 구급분야, 생활환경분야로 나누어 환경분석을 하고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심리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화재현장의 유해인자를 도출하고 노출현황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물리적 유해인자 중에는 특수건강검진 결과 가장 많은 케이이스수를 차지하는 소음분야에 대하여 대처방안을 모색하였다. 화학적 유해인자는 보호장비와 클린룸 운영방안을, 생물학적 유해인자는 감염예방교육과 예방접종, 주기적 관리점검 체계확립을, 심리적 유해인자는 PTSD 경감 부스 설치와 멘토링제도의 도입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angsik Kang (2006), Fire officials and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environment and improvement, Graduate School of Fire Prevention Master's Thesis, Hoseo university. 

  2. Byeongsu Lim (2008), A study of firefighters' PTSD,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Master's Thesis, Chungbuk universtiy. 

  3. Cheolho Lee, Donkuhn Kim (1999), "Diseases and healthcare in relation to firefighters works", Journal of Fire, Vol. 1. No. 1, pp2-10. 

  4. Grace K. Lemaster, Ash M. Genaidy, Paul Succop, James Deddens, Tarek Sobeih, Heriberto Barriera-Viruet, et al (2006), "Cancer Risks among firefighers",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32 Studies, JOEM 48:1181202. 

  5. Jeongih Kim (2007), Chemical characteristics of firefighters exposed to the hazardous factors in case of fire investigation and cleanup,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6. Kwan Lee, Seongjun Park, Hyeonsul Lim (2007), " A Study on noise-induced hearing loss associated with the work of firefighters", professional environment for Medicine Conference, South Korea, pp20-23. 

  7. Kyeongran Kim (2001), " A study on the toxic exposure of firefighters at the remaining fire investigation", Fire safety inspection, Vol. 91, No. 2, pp52-57. 

  8. NEMA (2008). Research Journal of Health and Fire Safety, GOVP1200960171, 353.979-9-4, Seoul. 

  9. Reed. E, Daya MR, Jui J, Grellman K, Gerber L, Loveless MO.(1993), Occupationl infectious disease exposures in ems personnel. J Emerg Med, Vol. 11, pp9-16. 

  10. Seoul Fire Academy (2012), " A Study on hearing loss improvements due to noise exposure to the disaster site ", Fire Research Journal, Vol.15. No.1, pp34-59. 

  11. Tee L. Guidotti (2012). "Physical hazards such as noise and thermal fatigue, Reduced oxygen and combustion gas fire and chemical hazards, Biological factors such as infection,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stress, Ergonomic factors, such as musculoskeletal", Encyclopedia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4 edition (ILO) Firefighter 

  12. Terrill JB Montgomery RR, Reinhardt CF (1978), Toxic gases form fires. Science, Vol. 200, pp1343-1347. 

  13. Yeonsun Ahn (2011), Disaster site safety and health hazardous factor analysis and firefighters special health diagnostic model development, Dongguk university, KFI2010-chasaedae-001,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