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민방위 대피시설 계획 및 설계 방안에 관한 연구 2 - 미국의 대피시설 계획 및 설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nning of Civil Defense Shelter and Design 2 - Focused on Planning and Design of Defense Shelter the U.S. -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0 no.3 = no.25, 2014년, pp.442 - 451  

Park, Namkwun (Public Safety Committee, Seoul Metropolitan Council) ,  Kwon, Taeil (Department of Security Service, University of Yongin) ,  Kim, Twehwan (Department of Security Service, University of Yongin)

초록

현재 국내에 2만 여개의 대피시설이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북한의 화생방공격 혹은 화생방테러로부터 방호가 가능한 시설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또한 공공용 대피시설은 단순 방공호 수준의 성능만을 보유하고 있으며, 화생방공격에 대한 기준 확립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의 화생방 대피시설 중 SIP(건물 내 대피시설)를 중심으로 개념과 기준등의 현황분석을 통하여, 한국형 대피시설의 계획 및 구축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ver 20,000 defense shelters are currently designated and operated in Korea. However, only few sheltershave the capacity to defend against CBR attack or terror from North Korea. Furthermore, as public defense shelters are only equipped with air-raid shelters, it is urgent to establish standard for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국내에 2만 여개의 대피시설이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나, 북한의 화생방공격 혹은 화생방테러로부터 방호가 가능한 시설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또한 공공용 대피시설의 경우, 단순 방공호 수준으로서 공공용대피시설의 기준 확립이 시급하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화생방 대피시설 중 SIP(건물 내 대피시설)를 중심으로 개념과 기준 등의 현황을 분석하여 한국형 대피시설의 계획 및 구축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 및 제안사항은 다음과 같다.
  • 미국의 대피시설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기에 앞서 국내의 화생방 대피시설 운영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정부지원시설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화생방 대피시설은 화생방 공격에 대한 대응을 예상하여 구체적인 기준을 명시하고 있으며, 군과 대등한 규격의 적용으로 인해 고폭탄과 화생방 무기 공격에 대한 효과적인 방어가 가능하도록 고안되어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국민의 사용을 고려하여 미국의 화생방 개념 중 「SIP(건물 내 대피시설)」 를 중심으로 현황을 파악, 분석하여 민방위 대피시설의 계획 및 설계시의 고려사항에 대하여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민방위 대피시설은 어떻게 분류될 수 있나요? 현재 민방위 대피시설은 크게 정부지원시설과 공공용지원시설로 분류되어 전국에 2만여 개의 대피소가 존재하고 있으나, 이 중에 화생방 방호가 가능한 대피시설은 극소수에 불과한 실정이다. 그리고 정부지원시설에는 설계기준이 제시되어 있으나, 공공용대피시설은 방공호 수준의 기준을 근거로 하여 단순히 단기대피시설로 사용이 가능한 시설의 지정만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으로 공공용대피시설의 기준 확립이 시급한 시점이다.
전국에 민방위 대피시설은 몇 개 있나요? 현재 민방위 대피시설은 크게 정부지원시설과 공공용지원시설로 분류되어 전국에 2만여 개의 대피소가 존재하고 있으나, 이 중에 화생방 방호가 가능한 대피시설은 극소수에 불과한 실정이다. 그리고 정부지원시설에는 설계기준이 제시되어 있으나, 공공용대피시설은 방공호 수준의 기준을 근거로 하여 단순히 단기대피시설로 사용이 가능한 시설의 지정만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으로 공공용대피시설의 기준 확립이 시급한 시점이다.
해외대피시설의 종류인 유럽형과 대륙형에 대한 설명은? 해외대피시설의 경우는 형태에 따라 크게 유럽형과 대륙형으로 구분되고 있다. 유럽형은 스위스를 중심으로 CPS1)기반 대피시설 체계가 발달되어 있으며, 대륙형은 미국을 중심으로 SIP2)기반 대피시설 체계가 발달되어 있다. 유럽의 CPS 개념 집단보호시설은 국내의 정부지원 대피시설 및 군에서 운영 중인 대피시설과 거의 유사한 형태로 일정 깊이의 지하시설에 견고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하여, 장기대피가 가능한 집단보호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대륙형 대피시설은 독립구조의 형태를 비롯하여 「건물 내 대피시설 개념」을 함께 적용하고,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방호기준과 시설 기준을 설정하여 구축 운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SIP개념은 1983년 NATO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1980년 중반 이스라엘의 시민보호개념에 의해 발전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DoD (2008) Security Engineering : Procedures for Desigining Airborne Chemical, Biological, and Radiological Protection for Buildings, UFC 4-024-01, p.3-17-3-18, 3-26, 3-29, D-4-D-6 

  2. FEMA (2006) Safe Rooms and shelters : Protecting People Against Terrorist attacks, FEMA 453, pp.i-iv, 1-19-1-23, 1-28-1-34, 3-8, 3-21, 3-28-3-29, 

  3. FEMA (2008) Design and Construction Guidance for Community Safe Rooms, FEMA P-361, Second Edition, p.8-10 

  4. John H.(2001) Will duct Tape and Plastic Really Work? - Issues Related To Expedient Shelter-In-Place-,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U.S. Department of Energy, ORML/TM-2001/154, pp.1-2 

  5.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2011). "Civil Defense and Emergency Evacuation Planning Guidelines". 

  6.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2012) Civil Defense Facility and Equipment Operation Manual, p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