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건설현장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 분석
The Analysis on the Unsafe Acts of Laborers at Domestic Construction Sites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29 no.4, 2014년, pp.132 - 139  

한인혜 (경기대학교 플랜트.건축공학과) ,  양기남 (경기대학교 플랜트.건축공학과) ,  조홍규 (부천대학교 건축학과) ,  정경환 (경기대학교 플랜트.건축공학과) ,  김광희 (경기대학교 플랜트.건축공학과) ,  신윤석 (경기대학교 플랜트.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foreign laborers at domestic construction sites, it's necessary to research in terms of the unsafe acts of both Korean and foreign laborers in order to prevent construction disaste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improvement pri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외국인 근로자들의 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현 실정을 고려하였을 때, 건설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국내 근로자 뿐 만 아니라 외국인 근로자들의 불안전한 행동을 포함한 종합적인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설현장에서 근무하는 한국인 및 외국인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들을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기법으로 분석하여 그 특성과 개선이 필요한 우선순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국내 현장의 한국인 및 외국인 근로자의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안전관리 계획 및 교육 등의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건설 현장에서 외국인 근로자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을 고려한다면, 건설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국내 근로자뿐 만 아니라 외국인 근로자들의 불안전한 행동을 포함한 종합적인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설현장에서 근무하는 한국인 및 외국인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들을 IPA기법으로 분석하여 그 특성과 개선이 필요한 우선순위를 규명해보았다. 그 결과, 불안전한 행동에 관한 19개 항목에 대한 중요도와 관리도 측면에서 한국인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이러한 관련 연구들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건설현장에서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설현장의 한국인과 외국인 근로자를 모두 대상으로 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그 결과, 불안전한 행동에 관한 19개 항목에 대한 중요도와 관리도 측면에서 한국인 근로자와 외국인 근로자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IPA 결과를 통해 안전관리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불안전한 행동들이 무엇인지를 규명하였다. 이 결과는 건설현장의 안전관리 실무자에게 국내외 근로자들이 어떠한 불안전한 행동에 대해서 불안해하고 위험하다고 느끼는 가를 파악하고, 해당 행동과 관련된 작업과 근로자들을 효과적으로 교육 및 관리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
  • 일반적인 IPA 활용방법은 평가 역량의 중요도와 실행도(현재역량)값을 활용하여 X, Y축으로 매트릭스 구조의 2차 평면상에 각 역량별 좌표 값을 표현하고 있으며 복잡한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지 않고도 평가 역량의 중요도 및 실행도(현재역량)에 대한 평균값을 활용하여 빠르고 간편 하게 중요 관리 역량을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한 연구방법이다12).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IPA의 장점을 통해 보다 복합적인 기준을 적용한 불안전한 행동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설 재해에서 직접적인 원인으로 어떤 것이 있는가? 건설 재해에서 직접적인 원인은 크게 ‘불안전한 행동’과 ‘불안전한 상태’ 2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특히, ‘불안전한 행동’은 건설 재해의 주요 요인이라 할 수 있다4). 산업재해발생 원인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점차 불안전한 물리적 업무 환경으로 인해 산재가 발생한다는 기존의 입장에서 벗어나 근로자 개인의 특성이나 사회⋅심리적 환경과 산업재해 유발요인간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5).
외국 근로자들의 불안전한 행동들에 대한 안전관리가 미흡하다고 보이는 근거는 무엇인가? 또한, 한국인 근로자들은 중요도가 높은 항목들이 관리도 역시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나고 있는 반면에, 외국인 근로자들은 상대적으로 중요도와 관리도의 우선순위가 높은 항목들이 상당 부분 일치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외국인 근로자들이 위험하다고 생각하는 불안전한 행동들에 대한 안전관리가 미흡하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건설현장 작업환경을 개선하고 외국인 근로자들의 불안감을 완화할 수 있도록 중요도가 높은 항목에 대한 관리도 향상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건설업과 같은 고위험업종의 고용시장은 왜 외국인의 유입이 늘어나는가? 한편 건설업과 같은 고위험업종의 고용시장은 한국인 근로자의 수급 부족과 동시에 급격한 인건비 상승으로 매년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이 이루어지고 있다2).2010년 말을 기준으로 국내에 체류 중인 외국인 근로자의 수는 약 120만 명으로 추정되고, 이 중 건설업에 종사중인 외국인 근로자의 수는 합법적으로 취업한 해외국적동포와 불법체류자인 인력까지 합산하면 약 8만 명으로 전체 근로자의 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The statistics of Great Disaster of Construction Industry : KOSHA 2002-2010", Available from: http://www.kosha.or.kr/. 

  2. B. J. Park, S. K. You, J. H. Kim and J. J. Kim, "A Study on the Employment Condition and the Change of the Work Ability for the foreign Labors in Construction Field",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pp. 7-9, 2011. 

  3. M. S. Bang and G. W. Kim, "A Investigation and Prevention Method on Industrial Disasters for Foreign Workers at Construction Work", Proceedings of Spring Annual conference of Korean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pp. 365-371, 2011. 

  4. W. Dester and D. Blockley , "Safety Behavior and Culture in Construction,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Architectural management, Vol. 2, No.1, pp. 17-26, 1995. 

  5. A. Oliver, A. Cheyne , J. M. Tomas and S. Cox,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Factors on Occupational Accident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75, Issue 4, pp. 473-488, 2002. 

  6. S. W. Ryu and D. G. Her, "A Study on Evaluating Background Factors of the Unsafe Behavior using AHP", Proceedings of Autumn Annual Conference of Korean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pp. 1-7, 2009. 

  7. D. P. Shin and D. E. Lee, "The Structural Analysis between Safety Factors Having an Effect on the Construction Workers' Behavior",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4, No. 1, pp. 101-114, 2013. 

  8. S.I. Choi and H. Kim, "A Study on the Safety Climate and Worker's Safe Work Behavior in Construction Sit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Safety, Vol. 21, No. 5, pp. 60-71, 2006. 

  9. H. C. Lee, S. K. Yeo and S. S. Go, "A Study on the Improving Safety Management by analyzing Safety Consciousness of Construction Labor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ol. 9, No. 3, pp. 51-58, 2009. 

  10. H. D. Lee, "Analysis of Construction Workers through a Survey Study on Iimproving Safety Awareness", Yeongnam University, pp. 1-69, 2011. 

  11. J. A. Martilla and J. C. Jame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king, Vol. 41, Issue 1, pp. 77-79, 1977. 

  12. C. R. Duke and M. A. Persia, "Performance-importance Analysis of Escorted Tour Evaluations", Journal of Travel and Tourism Making, Vol. 5, No. 3, pp. 207-223, 1996. 

  13. H. R. Kim, N. K. Lee and H. S. Jang, "Analysis of Competency Assessment using IPA for Construction Project Manager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 14, No. 1, pp. 115-123, 2013. 

  14. H. S. Lee, J. H. Lim, "Basic SPSS Manual", Jyphyunjae Publishing Co., Seoul(Korea), pp. 1-376,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