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근로자가 인식하는 안전의식이 불안전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조절후원인식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Safety Awareness Perceived by Construction Workers on Unsafe Act: Mediation Effect of Job Satisfaction and the Adjustment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11, 2019년, pp.27 - 32  

최재덕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건축공학과) ,  이승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건설근로자들의 불안전한 행동을 감소시키는 방안으로 건설근로자들이 인식하는 안전의식이 불안전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조직후원인식조절효과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9년 7월1일부터 7월20일까지 전국 23개 건설현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439명의 설문지를 받아 데이터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건설근로자가 지각하는 안전의식은 직무만족에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설근로자가 인식하는 직무만족은 불안전행동에 직접적으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건설근로자가 인식하는 안전의식과 불안전행동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을 매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안전의식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조직후원인식의 조절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설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을 감소시키는 방안으로 건설근로자들이 인식하는 안전의식이 직무만족을 매개로하여 불안전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가 검증되었고, 구성원들이 조직후원인식을 얼마나 인식하는지에 따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지 통계적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건설현장에서 근로자들이 불안전한 행동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근로자들이 인식하는 안전의식과 직무만족이 향상에 따라 안전행동이 증가하고 불안전행동의 감소된 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ed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the control effects of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wareness on the effects of safety awareness recognized by construction workers on unsafe acts as a way to reduce unsafe acts. To this end, 439 workers at 23 construction site...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건설현장 근로자들이 인식하는 안전의식이 불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하고, 직무 만족의 매개효과와 조절후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실증해보기로 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1. 근로자가 지각하는 안전의식은 직무만족에 정 (+)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 가설2. 근로자가 인식하는 직무만족은 불안전 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 가설3. 안전의식과 불안전행동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이 매개할 것이다. ;
  • 가설4. 안전의식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조직후 원인식이 조절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7년 산업재해현황 분석은 어떤가? 2017년 산업재해현황 분석에 따르면 업무상사고 재해자가 80,665명이 발생하였고, 건설업 근로자의 산업재해가 24,7183명이고 30.6%를 차지했고, 전 산업 업무상 사고 사망자는 964명이고, 건설업에서 사망자가 506명으로 52.3%를 차지하고 있다. 건설업이 전 산업에서 업무상 사고 재해자 및 사망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건설업의 산업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그동안 접근한 기술적, 공학적 접근법에서 건설근로자에게 발견하지 못한 근본적인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해되는 이유는? 이를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건설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에 주목하였다. 전 산업재해의 30%이상을 건설업에서 발생되고, 건설업 업 무상 사고 사망자는 52.3%로 절반을 넘고 있다. 따라서 건설업의 산업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그동안 접근한 기술적, 공학적 접근법에서 건설근로자에게 발견하지 못한 근본적인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기 진행되고 있다.
산업안전 분야에서 수행되는 연구의 최종 목표는? 산업안전 분야에서 수행되는 연구의 최종 목표와 기대 효과는 산업현장의 사고와 재해를 예방하는 것이고, 본 연구의 최종 목표 역시 동일하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건설 근로자의 불안전한 행동에 주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J. W. Choi. C. S .Park, "Survey and Analysis about the Safety Perception and Attitude of Managers in Construction Sit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29 No.4, pp. 97, 2014 DOI: https://doi.org/10.14346/jkosos.2014.29.4.097 

  2. M. G. Shin, H. S. Lee, M. S. Park, M. G Moon, S. W. Han, "A system dynamics approach for modeling construction workers' safety attitudes and behaviors"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Vol.68, pp.95-105, July 2014. DOI: https://doi.org/10.1016/j.aap.2013.09.019 

  3. J. W. Kim, H. S. Lee, M. S. Park, N. H. Kwon, " A System Dynamics Approach for Modeling Cognitive Process of Construction Workers' Unsafe Behavior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18, no.2, pp. 38-39, 2017, DOI : https://doi.org/10.6106/KJCEM.2017.18.2.038 

  4. D. H. Kim, B. I. Ko, H. K. Im, "Effective Safety Education Schemes at Construction Sites for Enhancing Safety Consciousness of Workers and Engine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14 No.2 [1999] 

  5. J. W. Choi, A Studyon thesafety perception and attitude ofconstruction employeesusing DAGMAR model, Ph, Ddissertation, Chung-AngUniversity, seoul, korea, pp3, 2014. 

  6. S. H. Kim, The Study on the Effect of Unsafe Behavior on the Safety Awareness of the Employees in the Cooperative Display Companies, Hoseo University Asan, Korea, pp.3-4, 2014. 

  7. S. B. Park, A Study on the Key Factors to Prevent Unsafe Behavior of Construction Workers, Master's thesis, Seou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Korea, pp.3-4, 2016. 

  8. K. J. Lee, K. H. Yeo, "The Effect of Safety Climate and Safety Awareness on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 32 No. 1, pp.26, 2017. 

  9. J. K. Park,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d Women's Housework and Job Satisfaction" The Women's Studies, No. 1, pp51-52, 2003. 

  10. H. Y. Seo. The effect of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on safety-unsafety behavior,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Korea, pp.36-40,2010. 

  11. J. H. Kim, S. H. Hong, B. D. Choo,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Management Studies: A Critical Review", korean management review, vol.36, no.4, pp., 2007. 

  12. Preacher. K, A. F. Hayes, "SPSS and SAS Procedures for Estimating Indirect Effects in Simple Mediation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 computers: a journal of the Psychonomic Society, 36(4) pp.717-31. December 2004. DOI: https://doi.org/10.3758/BF03206553. 

  13. S. J. Lee, L. N. Li, C. C. Won, "The Effects of Safety Awarenes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gional industry review, vol.39, no.1, pp. 103-122, 2016. 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