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은도서관에 관한 법제적 고찰
A Study on Legal Issues of Small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8 no.3, 2014년, pp.381 - 410  

김유승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는 작은도서관 관련 법령과 조례를 통해 작은도서관의 양적 팽창과 그에 따르는 문제들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선행연구와 문헌 분석을 통해 작은도서관의 연혁과 현황을 조사하고 사회운동으로서의 작은도서관이 지니는 성격을 논하였다. 법령 분석을 통해, "도서관법"에 나타난 작은도서관의 법적 지위의 변화와 의의를 살피고, "작은도서관 진흥법"을 비롯한 작은도서관 관련 법령의 내용을 정리하였으며, 자치법규 시스템과 국가법령정보시스템을 통해 추출한 114건의 자치법규를 일반현황, 상위 법령, 정의, 시설 및 장서 기준, 운영 인력의 자격요건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론에 갈음하여 작은도서관 관련 법제도의 당면과제를 시설 및 자료 기준, 운영 인력, 지원 및 관리의 세 가지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iscuss issues related to small libraries by analyzing laws and municipal ordinances. It conducts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on the history and present conditions of small libraries and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libraries as a social movement. Based on the analysi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2년 전국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 결과보고서에서 법적 기준을 충족한 작은도서관 수는? 작은도서관이 급증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박물관정책기획단(2013, ii)의 「2012년 전국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법적 기준을 충족하여 정상 운영되고 있는 작은도서관은 3,951관에 달한다. 2010년 3,349관으로 집계되었던 것에서 2년 만에 602관이 늘어난 것이다.
작은도서관에 대한 증가 추이는?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박물관정책기획단(2013, ii)의 「2012년 전국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법적 기준을 충족하여 정상 운영되고 있는 작은도서관은 3,951관에 달한다. 2010년 3,349관으로 집계되었던 것에서 2년 만에 602관이 늘어난 것이다. 폭발적 증가 추세다.
작은도서관의 전성시대를 법령에서 어떻게 찾아볼 수 있는가? 법령도 이를 뒷받침하였다. 2009년 「도서관법」에 작은도서관 관련 규정이 등장한 이후, 2012년 「작은도서관진흥법」이 제정되었고, 2008년 단 9건이던 지방자치단체의 작은도서관 관련 조례는 2014년 7월 현재 105건으로 증가하였다. 가히 작은도서관의 전성시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강영인, 배지은, 이예지, 한상길. 2013. 작은도서관 운영현황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안양시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3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199-207. (Gang, Yeong-In, Bae, Ji-Eun, Lee, Ye-Ji and Han, Sang-Gil. 2013. "Analysis of a small library operations and Revitalization: Focused on the case in Anyang." 2013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Summer Conference, 199-207.) 

  2. 김영석. 2007. 우리나라 효율적인 공공도서관 확충방안 연구: 영국 작은 공공도서관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1): 29-48. (Kim, Young-Seok. 2007. "A Study on the Effective Enhancement of the Public Library Infrastructure in Korea: Focusing on the Operation of Small Public Libraries in the UK."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1): 29-48.) 

  3. 김영석. 2008. 재건축 아파트 단지 내 작은 도서관 건립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 J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2): 429-448. (Kim, Young-Seok. 2008. A Study on Building a Small-Size Public Library in the Area of the Reconstruction of Old Apartment Complex: A Case Study of J Apartment Complex in Seoul.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2): 429-448.) 

  4. 김세훈, 조현성, 이재희, 정현태, 최원태. 2006. 작은도서관 분관시스템 구축방안.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Kim, Se-Hun, Jo, Hyeon-Seong, Lee, Jae-Hui, Jeong, Hyeon-Tae and Choi, Won-Tae. 2006. The Construction Strategies of a small library branches Systems. Seoul: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5. 김소희. 2007. '우리동네 작은도서관, 사람을 만듭니다.' 우리동네 작은도서관. 서울: 한국어린이도서관협회. (Kim, So-Hee. 2007. "A small library in our neighborhood, which have the human touch." In: Our Neighborhood's small library. Seoul: Korean Children Library Association.) 

  6. 김재철. 2013. 마을공동체 구심체로서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 FOCUS 광주. 광주: 광주발전연구원. (Kim, Jae-Cheol. 2013. "A revitalization strategy for small libraries as a village community." FOCUS Gwangju. Gwangju: Gwangju Development Institute.) 

  7. 김준. 2006. '작은도서관 개념'에 대한 이해. 도서관계, vol.140. (Kim, Jun. 2006.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small libraries." Library World, vol.140.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8. 김홍렬. 2010a. 작은도서관 설치와 지원을 위한 조례의 내용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4): 191-209. (Kim, Hong-Ryul. 2010a. "Analytical Study on the Ordinance for Establishment and Support of Small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4): 191-209.) 

  9. 김홍렬. 2010b. 전북지역 작은도서관의 현 단계와 기능 확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1(1): 77-98. (Kim, Hong-Ryul. 2010b. "Analysis and Solution of Small Libraries in Jeon-buk Provin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1(1): 77-98.) 

  10. 김홍렬. 2011. 작은도서관 운영자의 직무특성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4): 51-67. (Kim, Hong-Ryul. 2011. "Analytical Study on the Job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 of Administrators in Small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4): 51-67.) 

  11. 나수미, 1995. 책과 사람의 나눔이 있는 곳 작은도서관 전국협의회. 월간 말, 105: 244-247. (Na, Su-Mi. 1995. "The Small library Nationwide Association, where books and peoples are shared." Monthly Mal, 105: 244-247.) 

  12. 노동조, 박경숙. 2013. 기부금을 활용한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1): 171-187. (Noh, Dong-Jo and Park, Kyung-Sook. 2013. "A Study on the Vitalization Methods of Small Libraries Using Donation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4(1): 171-187.) 

  13. 문화체육관광부 도서관박물관정책기획단. 2013. 2012년 전국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Library and Museum Poliy Division. 2013. 2012 Nationwide Survey reports on small libraries' management.) 

  14. 박미라, 이응봉. 2010. 작은도서관 운동의 현단계와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제17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23-131. (Park, Mi-Ra and Lee, Eung-Bong. 2010. "A Study on the Present Stage and Development Strategy Small Libraries Movement in Daejeon." The 17th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123-131.) 

  15. 박영숙. 2003. 작은도서관에서 마을공동체 문화를 일구는 사람들: 경기도 용인시 수지읍 느티나무 도서관. 국토, 260: 132-137.(Bak, Yeong-Suk. 2003. "People who create village community culture at a library: Gyoenggi-do Yong-In City Suji-Eup Zelko Library." Planning and Policy, 260: 132-137.) 

  16. 박영숙. 2005. 아이들과 함께 자라는 도서관 이야기: 작은도서관 사례. 창비어린이, 가을호, 3(3): 68-76. (Bak, Yeong-Suk. 2005. Library talk with the children growing up: a small libray case. Chang-Bi Children, 3(3): 68-76.) 

  17. 박영애, 이재윤. 2010. 대출 및 상호대차 통계를 활용한 작은도서관 장서 평가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2): 333-356. (Park, Young-Ae and Lee, Jae-Yun. 2010. "An Experimental Study on Small Library Collection Evaluation Utilizing Circulation Statistics and Interlibrary Loan Dat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2): 333-356.) 

  18. 안인자, 윤소영, 차성종. 2011. 작은도서관 통계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4): 375-393. (Ahn, In-Ja, Yoon, So-Young and Cha, Sung-Jong. 2011. "A Study to Improve the Statistical Indicators of Small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4): 375-393.) 

  19. 안찬수. 2006. 문고가 아닌 어엿한 도서관으로! 도서관계, 141: 12. (Ahn, Chan-Su. 2006. "Mungoga Anin Eoyeotan Doseogwaneuro!" Library World. Vol.141: 12.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20. 양병훈. 2012. 작은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활성화에 관한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1): 289-309. (Yang, Byeung-Hoon.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ultural Programs in Small Libraries: The Caseof Seoul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6(1): 289-309.) 

  21. 양영균. 2012. 도시 지역공동체 형성과 작은도서관: 용인시의 사례. 정신문화연구, 35(2): 35-67. (Yang, Yeong-Gyun. 2012. "Building an urban community and small libraries: a case of Yong-in city." Korean Studies Quarterly, 35(2): 35-67.) 

  22. 양재한. 2008. 마산지역 작은도서관의 사회적 역할 변화과정과 운동의 방향.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3): 27-52. (Yang, Jae-Han. 2008. "A Study on the Processes of Small Libraries Changing Sociological Role and Its Direction of Movement in Masan Cit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3): 27-52.) 

  23. 유양근, 박송이. 2010. 작은도서관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1): 175-192. (You, Yang-Keun and Park, Song-Yi. 2010. "A Study on the Effective Management Plan for Small Libraries: Focus on Gyeonggi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1): 175-192.) 

  24. 윤명희, 이영옥, 심승희, 황수경, 정종모. 2011. 경기도도서관총서6: 소통과 협력으로 성장하는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 수원: 경기도사이버도서관. (Yoon, Myeong-Hee, Lee, Yeong-Ok, Shim, Seung-Hee, Hwang, Su-Gyeong and Jeong, Jong-Mo. 2011. Gyeong-gi-Do Library Edition 6: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of the public library, and a small library. Suwon: Gyeong-gi-Do Cyber Library.) 

  25. 이승원. 2011. 지방자치단체의 작은도서관 지원에 관한 연구: 조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4): 223-241. (Lee, Seung-Won. 2011. "A Study of Local Government Supports for Small Libraries: Analysis on the Ordinan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4): 223-241.) 

  26. 이연옥. 2005. 현단계 어린이도서관운동의 내용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1): 309-327. (Lee, Yeon-Ok. 2005. "A study on the children Library Movement of the Presen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6(1): 309-327.) 

  27. 이용남. 2002. 마을문고운동 추진 전략과 형태에 관한 분석적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1): 91-109. (Lee, Yong-Nam. 2002. An Analysis on the Strategies and Managing Behaviors of the Village Mini-Library Movement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6(1): 91-109.) 

  28. 이재희. 2006. "작은도서관-공공도서관 협력모델 국내 사례" 작은도서관-공공도서관 협력시스템 구축방안 국제세미나 자료집, 39-45. 국립중앙도서관. (Lee, Jae-Hee. 2006. "A small library-public library cooperation model domestic case." In International Seminar for Cooperation System between Small Libraries and Public Libraries, 39-45.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29. 이정호. 2012. 작은도서관 협력 네트워크 특성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 2012년도 추계 공동학술대회, 77-96. (Lee, Jeong-Ho. 2012.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Network with Small Libraries."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12 Autumn Conference, 77-96.) 

  30. 이정호. 2013. 작은도서관 협력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부천지역 작은도서관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1): 149-169. (Lee, Jeong-Ho. 2013.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llaborative Network with Small Libraries: Focus on Bucheon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4(1): 149-169.) 

  31. 이진우. 2006. 작은도서관 설립운동의 실체와 공공도서관과의 관련성. 한국도서관.정보학회 동계학술발표대회, 155-177. (Lee, Jin-Woo. 2006. "An establishing movement of a small libraries and a relevance of public libraries."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Winter Conference, 155-177.) 

  32. 정다솜, 이은진. 2013. 작은도서관 상호대차 서비스에 관한 연구: 서울시 관내 상호대차 서비스 지역을 중심으로. 제20회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151-155. (Jeong, Da-Som and Lee, Eun-Jin. 2013. "A Study on Interlibrary Loan Services in Small Libraries: Focused on Seoul Province." The 20th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151-155.) 

  33. 장덕현. 2011. 작은도서관 장서개발 과정에 관한 현상적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4): 203-221. (Chang, D. H. 2011. "A Descriptive Study on the Collection Development Processes in Small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2(4): 203-221.) 

  34. 장지숙, 송경진, 이진우, 차미경. 2010. 지방자치단체의 공공도서관 정책 분석: 중장기 계획과 담당 조직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2): 15-28. (Jang, Ji-Suk, Song, Kyeong-Jin, Lee, Jin-Woo and Cha, Mi-Kyeong. 2010. "A Study on the Public Library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Focusing on the Long-Term Planning and Organization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2): 15-28.) 

  35. 정현태. 2006. 작은 도서관 조성사업의 활성화 방안: '작은도서관 중장기 발전 방안 연구' 공청회 자료. 한국문헌정보학회 학술발표논집, 21: 217-253. (Jeong, Hyun-Tae. 2006. "Revitalization of Small Library Project: 'A study on long term development strategies for small library' Hearing Resources."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nference, 21: 217-253.) 

  36. 정현태, 조미아, 이진우, 박영애. 2010. 생활밀착형 사립작은도서관 연계활성화 방안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Jeong, Hyun-Tae, Cho, Mi-Ah, Lee, Jin-Woo and Park, Young-Ae. 2010. A study on promotion strategies of private small library. Seoul: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Library and Information.) 

  37. 정희수. 2001. 작은도서관으로 지역사회에 선한 이웃이 되어가는- 동녘감리교회. 새 가정, 48(520): 92-97. (Jeong, Hee-Su. 2001. "A small library in the community are becoming good neighbors - Dongnyeok Methodist Church." New Family, 48(520): 92-97.) 

  38. 조미아, 변현주, 김보일. 2013. 운영진단을 통한 유형별 작은도서관 사례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2): 293-314. (Cho, Mi-Ah, Byeon, Hyeon-Ju and Kim, Bo-Li. 2013. "A Case Study on Measures to Revitalize Small Libraries of the Type through Operational Diagnostic."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2): 293-314.) 

  39. 조윤희. 2010. 공공도서관 협력 네트워크 구축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2): 177-197. (Cho, Yoon-Hee. 2010.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 Cooperative Network 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4(2): 177-197.) 

  40. 조은길, 장우석, 손광호. 2010. 작은도서관의 공간특성 및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지인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74-178. (Cho, Eun-Kil, Jang, Woo-Seok and Son, Kwang-Ho. 2010.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Using Condition of Small Library."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010 Autumn Conference, 174-178.) 

  41. 차성종, 안인자, 윤소영. 2012. 전국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 및 분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1): 153-178. (Cha, Sung-Jong, Ahn, In-Ja and Yoon, So-Young. 2012. "A Study on Nationwide Survey and Analysis of Operating Small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1): 153-178.) 

  42. 천경배. 1994. 인천에 '작은도서관 운동'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황해문화, 2(3): 31-33. (Cheon, Gyeong-Bae. 1994. "Small library movement is unfolding in Incheon." Hwangae Review, 2(3): 31-33.) 

  43. 최미순. 2006. '미국의 작은도서관-공공도서관 협력.' 작은도서관- 공공도서관 협력시스템 구축방안 국제세미나 자료집. 국립중앙도서관.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Choi, Mi-soon. 2006. "The cooperation between public libraries and small libraries." In The International Seminar for Cooperation System between Small Libraries and Public Libraries.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44. 한상우, 오현석. 2011. 경남지역 작은도서관 운영현황과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 정책포커스, 2011-10: 1-44. (Han, Sang-Wook and Oh, Hyun-Suk. 2011. "Operational status and active policy measures of Small library in Gyeongnam." Policy Focus. 2011-10: 1-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