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은도서관 운영실태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motion of Small Libraries through an Analysis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ir Operation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9 no.4, 2015년, pp.31 - 52  

김보일 (강서구립곰달래도서관, 나사렛대학교 점자문헌정보학과) ,  조미아 (경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변현주 ((사)작은도서관만드는사람들 사무국)

초록

본 연구는 작은도서관의 운영 실태조사를 통해 작은도서관 운영의 흐름을 진단하고 운영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공립작은도서관과 사립작은도서관 중 아파트 도서관 증가 추세 반영, 작은도서관의 내실화 방안, 도서관 운영 전문성 향상을 위한 인력 배치, 공 사립도서관의 운영현황 차이를 고려한 활성화 대책,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의 협력체계 구축, 통계데이터의 정확성을 증대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은도서관 활성화 방안으로 양적인 조성보다는 질적인 운영지원으로 방향의 전환, 공립작은도서관의 운영의 안정화 노력, 사립작은도서관 전문성 향상 및 협력체계 구축, 작은도서관 법적기준의 강화, 작은도서관 캠페인을 통한 기업 참여유도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s to diagnose the trend of operation of small libraries and suggest direction for promoting them through a fact-finding survey on small librarie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it was important to make efforts for improvement such as reflecting the trend of increasing number of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상의 선행연구를 통해 볼 때 작은도서관 운영 활성화를 위한 연구를 위해 활용된 운영 실태 조사 결과는 대부분 1년 동안의 결과만을 활용한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 동안 진행된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 결과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간 작은도서관의 운영 실태조사 결과를 통해 나타난 작은도서관의 운영 현황을 비교하여 작은도서관 실태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운영 적정성에 대한 검토를 시행하여 지역주민들의 공동체 문화 형성, 독서문화향유권 신장을 위한 활동, 지역 공공도서관과의 연계체계 구축 등 주민 밀착형 생활문화공간으로 작은도서관의 다양한 기능을 강화하고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그러므로 최근 몇 년간 작은도서관의 종류별, 지표별 통계의 변화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종합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간 작은도서관의 운영 실태조사 결과를 통해 나타난 작은도서관의 운영 현황을 비교하여 작은도서관 실태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운영 적정성에 대한 검토를 시행하여 지역주민들의 공동체 문화 형성, 독서문화향유권 신장을 위한 활동, 지역 공공도서관과의 연계체계 구축 등 주민 밀착형 생활문화공간으로 작은도서관의 다양한 기능을 강화하고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2012년과 2013년 전국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 결과 자료를 바탕으로 2014년 운영 실태와 비교하여 최근 3년간의 연도별 운영 현황 추이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차성종, 안인자, 윤소영(2012)은 2010년 전국 작은도서관에 대한 기본정보, 소장자료, 시설 및 설비, 인적자원, 예산, 이용 및 이용자 서비스현황 등 정확한 통계자료를 산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크게 4단계의 단계별 조사 방식으로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작은도서관의 열악한 현실을 극복하여 향후 작은도서관 통계 관리 및 운영 활성화를 꾀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미아, 변현주, 김보일(2013)은 전문성 부족으로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작은도서관의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효율적인 도서관 운영을 지원하고자 『2011년 전국 작은도서관 운영실태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운영 진단을 하였다.
  • 본 연구는 2014년도 전국에서 운영 중인 작은도서관 5,234개관의 운영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최근 3년간 작은도서관 변화추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작은도서관 운영활성화 방안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은도서관 설치를 의무화하게 된 배경은? 최근 지역단위 주민 밀착형 생활문화 공간 역할을 수행하는 작은도서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주거형태 중 공동주택인 아파트의 비중이 커지면서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500세대 이상 공동주택단지에 작은도서관 설치를 의무화 하고 있다.
2013년 전국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에 의하면 얼마나 많은 작은도서관이 운영되나? 전국적으로 작은도서관의 설립 및 운영이 크게 증가하여 2013년 전국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문화체육관광부 2014) 결과에 따르면 4,686개소의 작은도서관이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2013년의 전국 공공도서관 825개소 대비 약 5배 이상의 작은도서관이 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에 따른 현황 파악 및 분석이 중요한 이유는? 작은도서관의 양적 증가에 따라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에 따른 현황 파악 및 분석은 중요하다. 이를 통하여 작은도서관의 정책 방향이나 운영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요구되는 가장 기본적인 자료이기 때문이다. 전국 각 지역에 산재하고 있는 작은도서관의 실제적인 환경 및 운영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작은도서관 진흥법」 제12조)가 매년 실시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경기도. 2011. 경기도 작은도서관 평가사업 결과보고서. 수원: 경기도.(Gyeonggi-Do. 2011. Results Report of a Small-Library Evaluation Business of Gyeonggi-do. Suwon: Gyeonggi-Do.) 

  2. 문화체육관광부. 2014. 작은도서관 운영통계지표조사 및 운영진단시스템 구축. 서울: 문화체육 관광부.(Minister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4. Statistical Indicators Research and Operating Diagnostic System Construction of Small Libraries. Seoul: Minister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3. 유양근, 박송이. 2010. 작은도서관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1): 175-192.(You, Yang-Keun and Park, Song-Yi. 2010. "A Study on the Effective Management Plan for Small Libraries: Focus on Gyeonggi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1): 175-192.) 

  4. 정현태 외. 2010. 생활밀착형 사립작은도서관의 연계?활성화 방안연구.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Joung, Hyun-Tae et al. 2010. A Study on the Connection & Vitalization of Private Small- Libraries in Living Space. Seoul: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ibrary and Information.) 

  5. 조미아, 변현주, 김보일. 2013. 운영진단을 통한 유형별 작은도서관 사례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 학회지, 47(2): 293-314.(Cho, Mi-Ah, Byeon, Hyeon-Ju and Kim, Bo-Il. 2013. "A Case Study on Measures to Revitalize Small Libraries of the Type through Operational Diagnositc."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7(2): 293-314.) 

  6. 차성종, 안인자, 윤소영. 2012. 전국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 및 분석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3(1): 153-178.(Cha, Sung-Jong, Ahn, In-Ja and Yoon, So-Young. 2012. "A Study on Nationwide Survey and Analysis of Operating Small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1): 153-178.) 

  7. 한윤옥 외. 2012. 작은도서관 운영 진단 및 컨설팅 지원 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Han, Yoon-Ok et al. 2012. A Study on Operational Diagnostic and Consulting Support to Small Libraries Management. Seoul: Minister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