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제 구축형 독서토론수업 모형 개발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an Instructional Model for Expanding Reading Debate Topics and Effects on the Model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8 no.3, 2014년, pp.459 - 490  

이보라 (군포 오금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설계기반연구를 활용하여 논제 구축형 독서토론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논제 구축형 독서토론수업 모형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논제 구축형 독서토론수업 모형은 학생들의 독서태도와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의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ctional model for expanding reading debate topic. Also, effects on reading attitude and self-directed learning are identified in this study. The instructional model is implemented for target studen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model was evaluated by a pre-te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서활동에 중심을 두고 독서토론의 개념은 무엇인가? 독서활동과 토론활동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독서토론에 대하여 양재한 외(2003)는 독서 후 스스로 내용을 이해하고 소화하여 자신의 사고나 행동에 도움이 되게 하는 독서과정의 하나라고 하였으며, 한국어문학연구소(2006)는 독자가 책을 읽고 서로 의견을 나누는 상호작용 활동으로 표현하였다. 독서활동에 중심을 두고 독서토론의 개념을 살펴보면, 독서토론은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 있는 글을 읽고 글에 대한 자신의 경험과 이해를 바탕으로 어떤 문제나 서로 다른 의견에 대해 논하는 활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독서토론수업은 어떤 장점을 가지고 있나? 이러한 교육의 대표적인 활동 가운데 하나가 독서토론수업이다. 독서토론수업은 학생들의 수업참여도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독서를 통해 창의력을 발산하고 토론을 통해 상호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21세기의 지식사회에서 이용자에게 요구하는 것은? 21세기의 지식사회는 정보와 정보기술, 그리고 네트워크의 융복합으로 점차 복잡화․전문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과거 정보를 일방적으로 획득하던 것으로부터 정보를 생산하는 과정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자신의 주체적인 관점에 따라 비판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이용자에게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김선영. 2013. 전문성 수준에 적응적인 학습활동 중심 이러닝 설계전략 개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Kim, Sun-Young. 2013. Development of e-learning design strategies based on learning activity adapting to expertise level. Ph.D. diss., Seoul Nation University.) 

  2. 김승환. 2004. 독서토론의 활성화를 위한 독서자료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3): 1-22.(Kim, Seung-Hoan. 2004. "A Study of the Reading Material Use on the Reading Discussion."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6(3): 1-22.) 

  3. 김영희. 2005. 책읽기를 좋아하는 아이로 키우는 부모의 지혜. 서울: 아침나라. (Kim, Young-Hee. 2005. The Parents' whisdom of How to Bringin up Children to Like Books. Seoul: AchimNara.) 

  4. 노명완, 김라연. 2008. 웹 게시판을 이용한 독서 토론에서의 학습자 반응 양상 분석. 독서연구, 20: 171-199. (Noh, Myeong-Wan and Kim, Ra-Yeon. 2008. "A study on Analysis of Leaner Responses in Web board-based Reading Discussions." Journal of reading research, 20: 171-199.) 

  5. 박형근. 2010. 동기요인과 자기주도학습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분석. 박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Park, Hyeong-Geun. 2010. (A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the Learning F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y Motivation Factors and Self-Directed Learning. Ph.D. diss., Hong-Ik University.) 

  6. 변우열. 2009. 독서교육의 이해. 서울: 조은글터.(Byun, Woo-Yeoul. 2009. Understandig of Reading Education. Seoul: JoeunGeulter.) 

  7.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994. 교육학 용어 사전. 서울: 하우.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 University. 1994. Terminology Dictionary of Education. Seoul: How.) 

  8. 서정혁. 2009. '찬반 대립형 독서토론' 모형 연구: 교보.숙명 전국독서토론대회 모형을 중심으로. 독서교육, 21: 257-284. (Seo, Jeong-Hyok. 2009. "A Case Study on a Pro-Con Book Debate Model - Focusing on the Kyobo-Sookmyung Book Debate Model." Journal of reading research, 21: 257-284.) 

  9. 안인자, 윤석윤. 2013. 독서토론 프로그램 효과성 요인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1): 377-398. (Ahn, In-Ja and Youn, Youn-Seak. 2013. "The Study on Effective Factors of Reading Discussion for the Young Adults Program of A Local Children Care Center in Inche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1): 377-398.) 

  10. 양재한, 김수경, 김석임. 2003. 어린이 독서지도론. 대구: 태일사. (Yangm Jae-Han, Kim, Soo-Kyoung and Kim, Suk-Im. 2003. How to Teach Reading for Children. Daegu: Taeilsa.) 

  11. 양명희. 2000. 자기조절학습의 모형 탐색과 타당화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Yang, Myong-Hee. 2000.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elf-regulated learning model. Ph.D. diss., Seoul Nation University.) 

  12. 이형래. 2009. 교실 독서토론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39: 451-492. (Lee, Hyeong-Rae. 2009. "A Study on the Classroom Reading discussion Model." Jour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39: 451-492.) 

  13. 이황직. 2007. 개방형 논제 제시 독서토론 모형 연구: 교보.숙명 독서토론 방식을 중심으로. 독서연구, 17: 309-330. (Yi, Hwang-Jik. 2007. "A Case Report on the Kyobo-Sookmyung Book Discussion Model." Journal of reading research, 17: 309-330.) 

  14. 정종기. 2005. 면대면 독서토론과 웹기반 독서토론의 효과 비교.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3): 291-312. (Jung, Jong-Kee. 2005. "Comparison on Effects of Face - to - face Reading Discussion and Web - based'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5(3): 291-312.) 

  15.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06. 독서 교육 사전. 서울: 교학사. (Korea Language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2006. Dictionary of Reading Education. Seoul: Kyohak.) 

  16. 호양선. 2012.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독서태도와 초인지적 읽기전략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Ho, Yang-Sun. 2012. Reading Attitude and Metacognitive Awareness of Reading Strategies of Gifted and Average Students. M.A. thesis, Gradute School of Education University Tncheon.) 

  17. Alexander, J. E. and Filler, R. C. 1976. Attitudes and reading.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18. Bell, P., Hoadley, C. M. and Linn, M. C. 2004. "Design-based research in education." In M. C. Linn, E. A. Davis, & P. Bell(Eds.), Internet Environments for Science Education: 73-85.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 Burns, B. 1998. "Changing the classroom climate with literature circle." Journal of Adolescent & Adult Literacy, 42(2): 124-129. 

  20. Daniel, H. 1994. Literature Circle: Voice and Choice in the Student-Centered Classroom. York, ME: Stenhouse. 

  21. Fishbein, M. and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Reading, MA: Addison-Wesley. 

  22. Gambrell, L. B. and Mazzoni, S. A. 1999. "Principles of best practice: Finding the common ground." In L. B. Gambrell. L. M. Morrow. S. B. Neuman. & M. Pressley (Eds.). Best practice in literacy instruction, 11-21. NY: Guilford. 

  23. Guglielmino, L. M. 1997.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Ph.D. diss. the University of Georgia. 

  24. Jang, S. 2011. An Instructional Support System Design Model for Ill-structured Problem-Solving in Online Learning.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5. King, C. 2001. "I like group reading because we can share ideas: the role of talk within the Literature Circle." Reading, 35(1): 26-32. 

  26. Knowles, M. 1975. Self-Directed Learning: A Guide for Learner and Teachers. Chicago. IL: Follett Publishing Co. 

  27. Long, H. B. 1988. Foreword to the New Edition. in the 1998 edition of Cyril O. Houle's. The inquiring mind. Norman. OK: Oklahoma Research Center for continuing Professional and Higher Education. 

  28. Long, T. W. and Gove. M. K. 2003. "How engagement strategies and literature circles promote critical response in a fourth-grade, urban classroom." The Reading Teacher, 57(4): 350-361. 

  29. Mathewson, G. C. 1994. Model of attitude influence upon reading and learning to read. In R. B. Ruddell, M. R. Ruddell. & H. Singer (Eds.). Theoretical models and processes of reading (4th ed, pp.1131-1161).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30. Mckenna, M. C. 1994. Toward a model of reading attitude acquisition. In E. H. Cramer & M. Castle (Eds., pp. 18-40). Fostering the love of reading,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31. Sandoval, W. A. 2004. "Developing Learning Theory by Refining Conjectures Embodied in Educational Designs." Educational Psychologist, 39(4): 213-223. 

  32. Smith, M. C. 1990.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Reading Attitude Development from Childhood to Adulthood."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3(4): 215-219. 

  33. Tierney, R. J., Readence, J. E. and Dishner, E. K. 1995. Reading Strategies and Practice, Boston: Allyn and Bacon. 

  34. Voight, C. and Swatman, P. 2005. Interaction in Case Discussion: A design-based research approach. Available: http://www.insyl.unisa.edu.au/publications/working-papers/2005-21.pdf 

  35. Zimmerman, B. J. 1990.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n Overview." Educational Psychologist, 25(1): 3-1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